• 제목/요약/키워드: noise reduction coefficient (NRC)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알루미늄 소결재를 이용한 흡음 특성 연구 (Study of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ing the sintered aluminium plate)

  • 노대호;김재수;윤진국;강현주;신종철;김원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71-107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intered Al(aluminum) plat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 and theoretical analysts by using empirical formula are made. Based on comparison. it is found that Voronina model gives more reasonable explanation for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intered Al plates. Effect of air gap with varying the thickness of plates are also investigated, which concludes that the air gap generally increase absorption but for too thick thickness of Al plates. Al plates with air gap shows 0.85∼0.9 of NRC(Noise Reduction Coefficient) measured in reverberation room. which is comparable to glass wool. Comparison between normal and random Incident absorption shows that random incident absorption is higher than normal incident absorption.

  • PDF

Investigation of Sound Absorption Ability of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Cubes

  • JANG, Eun-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365-374
    • /
    • 2022
  • Today, commercialized Hinoki cypress cubes are used for fragrance, humidification, and pillows in Korea. In this study, the sound absorption ability of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cubes was examined. The three groups of Hinoki cypress cubes were prepared depending on their dimension (L: 9 × 9 × 9, M: 7 × 7 × 7, S: 4 × 4 × 4 mm). Their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was examined after filling 6, 8, 10, and 12 cm height in impedance tubes, respectively. Overall, the sound absorption ability depending on dimension was superior in the M group compared to the L and S groups. Also, as the filling height increased, the sound absorption capacity increased. In sum, noise reduction coefficients (NRC) of all Hinoki cypress cubes were 0.41-0.59. Thus, this research found that Hinoki cypress cubes have a sound-absorbing function.

참오동나무의 열처리가 기체투과성, 흡음율과 음향투과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Gas Permeability,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Sound Transmission Loss of Paulownia tomentosa Wood)

  • KANG, Chun-Won;JANG, Eun-Suk;JANG, Sang-Sik;Cho, Jae-Ik;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644-654
    • /
    • 2019
  • 참오동나무의 섬유방향기체투과성(gas permeability), 횡단방향 흡음율(sound absorption coefficient)과 음향투과손실(sound transmission loss)을 평가하고 열처리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참오동나무 원반을 100, 160, $200^{\circ}C$로 열처리하고 기체투과성, 흡음율, 음향투과손실을 각각 측정하여 무처리 원반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께 20 mm 참오동나무 원반의 섬유방향 기체투과성(specific permeability)은 무처리, 100, 160, $200^{\circ}C$ 열처리의 경우 각각 0.254, 0.279, 0.314, 0.452로 열처리에 의해 기체투과성이 약간 증가하였다. 두께 20 mm 무처리 참오동나무 원반의 50-6400 Hz 평균흡음율은 0.101이었으며 온도 100, 160, $200^{\circ}C$로 열처리한 목재의 50-6400 Hz 평균흡음율은 0.109, 0.096 그리고 0.106이었다. 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 는 각각 0.060, 0.067, 0.062 그리고 0.071 이었다. 두께 20 mm 무처리 참오동나무 원반의 50-6400 Hz 주파수범위에서 음향투과손실은 평균 36.93 dB이었다. 열처리에 의해 참오동나무 원반의 기체투과성과 흡음율은 열처리에 의해 그리고 열처리 온도 증가에 의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증가정도는 미미하였다.

재활용 석고 부산물을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흡음재 개발 연구 (A Study on Organic-Inorganic Hybrid Sound Absorbing Materials Using by Recycling Gypsum)

  • 신현규;전보람;하주연;전찬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81-48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유기계 소재의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무기계 바인더 용액에 함침시킴으로써 유무기 하이브리드 구조의 흡음재를 개발하였다. 무기계 바인더 용액은 ${\alpha}$형 반수석고에 60%의 물과 경화 지연제, 유동화제, 아크릴 수지 등의 혼화 재료를 첨가하여 슬러리 용액으로 제조하였으며, 무기계 바인더 용액에 함침시킨 유기계 스펀지를 함침, 가압탈수, 건조시킴으로서 특성평가용 시료를 제작하였다. 개발 시료의 흡음률을 임피던스 관내법을 이용하여 시험 평가한 결과, NRC 흡음계수 값은 0.41로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흡음재들과 비교하여 2배 이상으로 우수한 흡음성능을 나타냈으며, 불연성능 시험평가 결과 준불연재료(2급) 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축 내장재로서의 기초 시험평가 및 EL248. 규격에 따른 유해성분 시험평가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가 흡음재뿐만 아니라 단열 및 보온재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며, 유해성 기준을 만족하는 친환경 건축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배합요인에 따른 바텀애시 미분말을 사용한 흡음형 기포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Sound Absorbing Foamed Concrete Using Bottom Ash Depending on Mix Factors)

  • 김진만;강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63-70
    • /
    • 2009
  • 본 연구는 실리카와 칼슘의 수열합성 반응에 의해 제조하는 흡음형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이다. 원료는 석탄화력발전소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바텀애시를 미분화한 것을 실리카원으로 사용하였고, 1종보통포틀랜드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소석회를 칼슘원으로 사용하였다. 경화체 내에서 연속기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포제를 이용하여 발포한 기포를 슬러리와 혼합한 후 몰드에 타설하는 선발포 방식으로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인자는 물분체비, 기포제 희석비, 기포 혼입비로 설정하였고 이들 요인이 흡음형 기포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절건밀도, 전공극률, 연속공극률, 흡음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기포콘크리트의 흡음성능은 거의 모든 실험 수준에서 흡음재료를 위한 NRC의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포비는 가장 지배적인 인자이고 이 연구에서 기포콘크리트의 모든 특성에 현저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분체비는 압축강도와 절건밀도 뿐만 아니라 전공극률과 연속공극률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기포제 희석비는 거의 모든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흡음성능과 흡수시간 및 연속공극률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흡수시간은 연속공극률과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ound Absorption Rate and Sound Transmission Loss of CLT Wall Panels Composed of Larch Square Timber Core and Plywood Cross Band

  • Kang, Chun Won;Jang, Sang Sik;Kang, Ho Yang;Li, Chengyu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33-39
    • /
    • 2019
  • The square timbers of larch having cross section of $90mm{\times}90mm$ were glued laterally to be formed $1,200mm{\times}2,400mm$ panels which were used as cores for CLT wall panels. Then, structural plywood panels having size of $1,200mm{\times}2,400mm$ were used as cross band covering the small square timber cores to manufacture CLT wall panels. The sound absorption rate of CLT wall panels and polyester board attached CLT wall panels were investigated. The mean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in the frequency range of 100-6400 Hz were 0.21 and 0.74, respectively. The noise reduction coefficients (NRC) of those were 0.21 and 0.40, respectively. Also, the mean sound transmission loss of CLT wood panel in the frequency range of 50-1600 Hz was 45.12 dB and that value at the frequency of 500 Hz was 42.49 dB. It was suggested that the polyester board attached CLT wall panels could be used as housing wall because of its high sound absorption rate and high sound transmission l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