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scavenging activity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39초

시설재배 오이의 품종별, 생육단계별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Greenhouse-Grown Cucumb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th Stages)

  • 양승렬;김홍기;이숙재;차원미;안철현;부희옥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8-556
    • /
    • 2013
  • 시설오이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4 품종을 선발하여 생육단계별로 DPPH radical 소거활성, 아질산염 소거활성, ABTS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죽청장 품종이 모든 생육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품종들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생육단계별로는 수확기에 못 미친 미성숙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pH가 1.2일 경우 모든 품종과 생육단계에서 40% 이상 분해시켰으며, 특히 장형낙합과 신조은백다다기 품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pH 4.0에서는 추출물 모두에서 3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pH 6.0에서는 대부분 활성이 없었다. ABTS 소거활성은 장죽청장과 늘푸른 청장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고, 생육단계별로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ABTS 소거능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SOD 활성은 모든 품종과 전 생육단계에서 95%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품종 간에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AT 활성은 전체적으로 장죽청장과 늘푸른청장 품종이 그리고 APX 활성은 늘푸른청장, 장형낙합 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POX 활성은 생육단계별로 뚜렷한 경향을 보여 수확기에 이를수록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 오이의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이용 가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항돌연변이 효과 (Nitrite-scavenging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 심기환;배영일;정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2-96
    • /
    • 2002
  • 비파 부위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출용매 중 활성이 높게 나타난 메탄올 추출물을 비극성∼극성 용매별로 계통분획한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잎은 80%, 씨를 제거한 과실 81%, 과피 73% 및 종자 63%로 아질산염 소거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하여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과 씨를 제거한 과실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각각 53.1%, 48.3%로 높게 나타났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잎과 씨를 제거한 과실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5 mg과 5.0 mg 첨가시 각각 65.5%, 71.2%와 63.4%, 69.2%로 분획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돌연변이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볶음 새송이버섯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 in Quality Properties of Extracts from Roasted Pleurotus eryngii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

  • 윤성란;이명희;김현구;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32-739
    • /
    • 2006
  • 볶음처리한 새송이버섯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즉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 및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pH 1.2에서의 아질산염소거능은 5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75% 에탄을 농도로 추출하였을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7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D유사활성 및 아질산염소거능의 경우추출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power 의 경우 100 W로 추출하였을 때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 및 전자공여능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은 25 W일 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질산염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만가닥버섯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Lyophyllum ulmarium)

  • 김현구;최윤정;정승원;김공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5-390
    • /
    • 2002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MAE)을 이용하여 만가닥버섯을 물, 50% 에탄올, 99%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의 power와 시간에 따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 작용(EDA),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Microwave power를 60∼120 W로 증가시킴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만가닥버섯의 전자공여능이 90 W에서 평형에 이른 반면에 tyrosinase 저해능은 90 W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50% 에탄을 추출물과 99% 에탄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microwave power를 증가시킴에 따라 확연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 1.2에서 99% 에탄을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약 5배 정도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을 살펴본 결과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시간 5분에서 평형에 이르렀다. 전자공 여능은 5∼10분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10분에서 평형에 이르렀으며 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능은 microwave power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 홍주연;남학식;이양숙;윤경영;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3-419
    • /
    • 2006
  •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의 일환으로 추출용매별, 추출농도별에 따른 전자공여능, linolen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SOD유사활성,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Linoleic acid system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 또한 높아졌고,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SOD 활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타나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저해정도는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낮을 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추출물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다. 각 추출물과 pH의 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한 결과는 pH가 낮을수록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효과는 높게 나타났고, 물 추출물의 pH 1.2에서 77.35%로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도 물 추출물에서와 같이 pH가 낮을수록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다.

Antioxidant Activity of Several Cabbage (Brassica oleracea L.) Cultivars

  • Yang, Sung-Ryeul;Songzhuzhao,;Boo, Hee-Oc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2-320
    • /
    • 2015
  • Total phenol, flavonoid and antioxidant components of cabbage leaf samples derived from different cultivar were determined.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methanol extracts from ‘YR Howol’ cultivar (11.72 ㎎/g), followed by ‘Harutame’ (10.66㎎/g), ‘Winstar’ (10.34 ㎎/g) and YR Hero (10.20 ㎎/g). The highest amount of total flavonoid content was observed from the methanol extracts of Harutame (5.39 ㎎/g), followed by Winstar (4.28 ㎎/g), Wialhowol (4.10 ㎎/g). The SOD enzyme activity showed a high activity of ‘YR Hogeo’ cultivar, and the cultivar of ‘YR Howol’ cultivar showed the lowest activity of SOD. The activity of CAT and APX showed higher values ‘Ogane’ and ‘YR Hogeol’ cultivars than the other cultivars. The POD activities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Ogane’ and ‘YR Howol’ cultivars compared with other cultivars. The free radical (DPPH) scavenging activity showed lower IC50 values of ‘Harutame’ (15.71) and ‘YR Howol’ cultivar (16.88), however methanol extract of ‘YR Hero’ cultivar (22.49) being the highest. The extracts of all cabbage cultivars in the reaction solution of pH 1.2 could be decomposed nitrite more than 50%. Especially, the cultivar ‘YR Hogeol’ and ‘Ogane’ showed a relatively high nitrite scavenging activity for each 60.13% and 57.20% respectively. The IC50 values of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ed by ABTS were lower in ‘Harutame’ (17.04) and ‘YR Howol’ cultivar (17.97), and its results observed similar with values obtained from the same extracts by DPP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Brassica oleracea L. contains the high amount of phenolic and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감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 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75-1682
    • /
    • 2010
  • 해조류 감태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감태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O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높은 항산화능이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로 잘 알려져 있는 BHA, VitC, catechin의 활성보다 높거나 유사하게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 positive control인 VitC와 감태 열수 추출물은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pH 1.2에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VitC 보다 약간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감태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은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acetaldehyde의 분해능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미용효능은 tyrosinase와 elastaase 억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Tyrosinase 저해능 분석에서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kojic acid는 0.1 mg/ml의 농도에서 65%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8%의 저해효능을 보였다. 비록, 그 효능이 충분히 높지는 않지만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므로 충분한 미백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감태 열수 추출물 0.5 mg/ml에서 38%, 1 mg/ml에서 44%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Positive control로 elastase 저해 활성 효과가 알려진 VitC는 1 mg/ml의 농도에서 36%의 저해활성이 나타났고 elastase 활성저해제인 oleanolic acid는 농도 0.5 mg/ml에서 elastase를 32% 정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주름 예방 효능에 있어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기능성이 예상된다.

국내 주요 재배 매실 품종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ajor Cultivars Prunus mume in Korea)

  • 서호진;임순희;송장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77-48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재배 매실 품종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64.13-93.43mg{\cdot}100g^{-1}$으로 품종 간 함량에 차이가 있었다. 이 중 '앵숙'과 '단아'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6.16-18.57mg{\cdot}100g^{-1}$으로 총 페놀과 같이 품종 간에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 중 '고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남고', '회향실', '장속', '단아', '앵숙'에서 모두 50% 이상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모든 품종에서 80%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은 소거할성을 보였다. 이 중 '앵숙'이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 능력은 모든 품종에서 50% 이상의 높은 소거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이중 '남고'(76.03%), '고성'(70.56%), '양로'(70.32%)에서 7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수순(水醇)추출법으로 조제된 오공 약침액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 김성철;서근영;이성원;박성주;김재효;안성훈;황성연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3
    • /
    • 2010
  • Reactive Oxygen Species(ROS) are continuously produced at a high rate as a by-product of aerobic metabolism. Since tissue damage by free radical increases with age, the reactive oxygen species(ROS) such as hydrogen peroxide($H_2O_2$), nitric oxide(NO). Several lines of evidence provided that ROS appears to cause to develop aging-related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arthritis, cardiovascular disease. Our reserch objective was to examine the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nclud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was 35.859mg/L. Elctron donation ability on DPPH was 36.82%. The 2,2'-azinobis-3-ehtlbe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decolorization (ABTS) was 84.7%.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was 44.33%.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s were pH dependent, and were highest at pH 1.5(45.2%) and lowest at pH 6.0(11.3%). We conclude that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may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s of antioxidant.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팽이버섯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 김현구;최윤정;김공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13-1017
    • /
    • 2002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이용하여 팽이버섯을 물, 50% 에탄올, 99%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의 power와 시간에 따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작용 (EDA),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power를 $60{\sim}120\;W$로 증가시킴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90 W에서 평형에 이르러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Tyrosinase 저해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 증가에 따라 뚜렷한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능은 추출시간을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각각 추출시간 10분, 5분에서 평형에 이르렀다. 용매별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와 추출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pH에 의존적인 소거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