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effec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9초

대추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작용 (Physiological Activity of Zizyphus jujuba Leaf Extracts)

  • 김청;박정륭;김종배;차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93-598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utilization of Zizyphus jujuba leaves as a source of functional ingredients.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prepared from ethanol extract of Zizyphus jujuba leaves were analyze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was very high in all fractions except chloroform fraction. The very high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observed in the ethylacetate fraction and the effect was similar to 0.1% tocopherol.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all fractions was more than 40% even at low concentration of 1mg/ml and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appeared in ethyl acetate and chloroform fractions only at high concentraton.

  • PDF

단삼, 도인, 당귀미 및 솔잎의 열수추출물이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Bge., Prun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i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 김수민;조영석;김은주;배만종;한준표;이신호;성삼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9-405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rb extracts on lipid oxidation and free radical reaction in iron sources reacted with active oxygen species. The catalytic effects of active oxygen on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tended to show more active in the order of OH, H2O2 and KO2. Herb extracts tended to show a little catalytic effect and active oxygen scavenging ability of herb extracts didn't show. But herb extracts played role as a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if Fe2+ ion exist in oil emulsion. The contents of Fe2+ ion and total iron in Salvia miltiorrhiza Bge. and Angelica gigas Nakai were higher than those of Prunus persica Stockes and pinus strobus. The content of asocrbic acid in Pinus strobus showed the highest (26.97ppm) among several herb extracts.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Pinus strobus and Salvia miltiorrhiza Bge. were 79.54% and 77.11%,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contents than those of Prunus persical Stokes and Angelica gigas Nakai. The SOD-like activity of Prunus persca Stokes showed 0.16 optical density (O.D), which means the most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mong other herb extracts. The nitrite scavening effects tend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pH. Pinus strobus and Angelica gigas Nakai showed 99.8% and 98.6% nitrite scavening effects at pH 1.2. And the effects were decreased as pH was increased. Especially, they didn't show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in pH 6.0. In conculsin, the Prinus strobus extract among herb extracts were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by evaluating several functional tests.

  • PDF

미성숙 목화다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 (Evaluations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Immature Cotton Boll)

  • 박희정;이기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6-4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목화다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다래를 크기별로 구분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의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목화다래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및 ABTS radical의 소거능 또한 작은 크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들에서와 같이 페놀함량이 높은 실험군에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이 높게 나타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인체 위 내부환경과 같은 pH 1.2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이다가 pH 4.2에서는 점차로 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중성에 가까운 pH 6.0에서는 아질산염 소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하면 낮은 활성이었지만, 기 보고된 다른 천연물들의 효소활성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거나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해 미성숙 목화다래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 등에 있어서 새로운 소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서, 그동안 주로 천연 솜의 생산을 위해 재배되어왔던 목화의 제한적 활용성을 더욱 다양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갈근 및 녹차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간독성 보호효과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the Puerariae Radix and green tea extract on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liver damage in mice)

  • 윤이란;최유정;허정호;최철웅;성태종;김윤근;김종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5-285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d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the Puerariae Radix and green tea extract on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liver damage in mice. The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for major antioxidants, isoflavones, puerarin, catechine and caffeine in galgun (Puerariae Radix) and green tera extract were established by HPLC. Contents of isoflavones, such as daidzin, genistin, daidzein and genistein were 4.23g/100g, 0.13g/100g, 0.07g/100g, and 0.03g/100g, and puerarin contents was 8.99g/100g, respectively. The total catechins and caffeine contents of green tea extract were 49.24g/100g and 6.53g/100g.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galgun extract (pH 1.2, 100mg/ml) was 98.07% and it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It was the highest at the pH 1.2 and more than 64% in 25~100mg green tea extract, and was dependents on pH and concentration of the samples.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from the root of gal gun and standard puerarin were evaluated against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liver damage in mice. Galgun extract and standard at a dose of 100mg/kg and 10mg/kg, 50mg/kg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daily for successive 5 days and then a lead acetate and cadmium were orally at 3 hrs after the every day administration of galgun. The substantially elevated serum enzymatic activities of alanin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were due to lead acetate and cadmium treatment was dose dependently restored to the near normal level. In addition, galgun extract also significantly prevented the elevation of hepatic malon-dialdehyde formation in the liver of lead acetate and cadmium intoxicated mic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d that green tea and galgun extracts had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galgun extract had potent hepato-protective effects against lead acetate and cadmium-induced hepatic damage in mice and standard puerarin was also showed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galgun extracts.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이 N-Nitrosodimethyl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Camellia sinensins) and Maesil(Prunus mime) Extracts on Endogenous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 성낙주;최선영;정미자;신정혜;김행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22
    • /
    • 2002
  • 녹차 및 매실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 전자 공여능 및 NDMA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질산염과 아민이 풍부한 식단(CW)에 인공타액과 위액을 이용한"simulated digestion"에서 확인하였다. 녹차와 매실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pH 1.2,4.2 및 6.0에서 실험한 결과, pH가 낮을수록, 시료 첨가량이 많을수록 효과적이었으며 pH 1.2에서 녹차 추출물 0.5ml 첨가시킬 경우 99.6%의 높은 소거작용을 나타내었고, 매실 추출물 3ml 첨가시 77.2%의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전자공여 시용은 각각 70.6%, 75.1%로 높게 나타났다. 녹차와 배 신 추출물의 NDMA 생성억제 효과는 pH 1.2에시 가장 뛰어났을,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억제효과가 높아 3ml 첨가시에 82.1%와 73.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식이에 녹차 및 매실 추출물의 텀가량을 달리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NDMA생성억제 효과는 시료 첨가량에 비례하여 각각 20m1첨가시 녹차 추출물은 57.9%, 매실 추출물은 48.4%의 NDMA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막걸리 열수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알코올 분해능 및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효과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 조은경;김희연;변현지;김수원;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68-774
    • /
    • 2010
  • 전통발효주 막걸리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S사막걸리로부터 구입한 막걸리 침전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radical 소거능은 10 mg/ml에서 48.0%으로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98.7%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0.1 mg/ml에서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 10 mg/ml에서는 74.0%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1 mg/ml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4~64%, pH 6.0에서는 45%의 소거능을 보인반면,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51~42%, pH 6.0에서는 2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막걸리 침전물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막걸리 침전물의 우수한 기능성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미역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 제거효과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Undaria pinnatifida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 김윤수;남형근;신현재;나명순;김미혜;이철원;김종수;박옥란;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51-156
    • /
    • 2011
  •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and cosmetics using the hot water extract of Undaria pinnatifida, the concentrations of vitamin, amino acid and element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Vitamin C and E concentrations were 0.301 and 0.11 mg/100 g, respectively. Mineral concentrations were an order of Ca > Mg > K > Fe. The concentrations of total amino acids were an order of Glu > Ala > Val > Leu > Gly > Pro. Total phenol concentration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of extract. Especially, when the extract concentrationwas increased from 1.0 to 10.0 mg/mL, the total pheno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0.043 to 0.125 OD 725 nm.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50 mg/mL was 70.1%.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was stable in range of 80 to $140^{\circ}C$ and pH 3-9.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with the decreaseof pH and the increase of it's extract concentration. Especially, it was 83.4% at 50 mg/mL (pH 1.2).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ot water extract of U. pinnatifida can be applied to functional food and cosmetics.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비빔밥) 및 그 재료들의 항산화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Materials in a Traditional One-dish Meal (Bibimbab))

  • 김업식;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77-683
    • /
    • 2004
  •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인 비빔밥에 들어가는 재료로 호박(squash), 참취(frugrantedible wild aster), 표고버섯(shiitake mushroom, Cortinellus shiitake), 고사리 (roots of ballonflowers, Platycodongroundiflourum), 도라지(fornbraber) 및 당근(carrot)을 생시료, 간단 조리 및 양념 조리 한 것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DPPH 수소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사람의 소화기관 환경과 유사한 $pH\;1.2\~3.0$(위 환경)과 pH 6.0(장 환경)에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소공여능은 생시료, 간단조리, 및 양념조리 모두 참취가 월등히 높았고, 그 다음이 표고버섯이었다. 전반적으로 간단조리시나 양념 조리함으로써 항산화성이 향상되었다. 비빔밥을 한 그릇 음식인 김밥 및 햄버거와 비교했을 때 비빔밥>김밥>햄버거의 순으로 비빔밥의 항산화성이 월등히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아질산염 소거능을 사람의 소화기관 환경과 유사한 $pH\;1.2\~3.0$(공복 시 및 비공복시 위 환경)과 pH 6.0(장 환경)에서는 비빔밥 재료들의 생시료, 간단조리 및 양념조리 시 시료간에 유의적 차가 없었으나(p<0.05), 생시료보다 간단조리나 양념조리 경우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간 향상되었으며 공복환경(pH 1.2)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참취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장 환경에서 시료간 조리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위한경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비빔밥을 김밥이나 햄버거와 비교시 비빔밥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위 환경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 평가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Olea europaea L.) Fractions)

  • 최남영;이재환;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7-2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호주산과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이화학적 특성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호주산과 스페인산 모두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2.7, 23.9%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는 물 분획물(1.5% 내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도 부탄올 분획물(18% 내외)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분획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능은 0-36.08%의 범위이었으며 모든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36.08%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제거활성은 호주산 올리브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63.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와 함께 시료를 처리하여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정도는 호주산 올리브 잎 분획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산화억제활성이 나타난 반면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경우 몇몇 분획물에서 약한 산화억제활성을 나타냈을 뿐 산화억제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발암물질인 nitrosamine 생성의 원인물질인 nitrite 제거활성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탄올 분획물은 nitrite 제거활성이 65.70, 73.10%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헥산과 물 분획물은 제거능력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생리기능적 특성- 돌연변이원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중심으로 (Bio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Isolated from Korean Red Ginseng-Study on the Antimutagenic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 이종원;배영일;심기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118-121
    • /
    • 2001
  • 고려홍삼에서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생리기능적 특성 중 항돌연변이원성 및 아질산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성 갈변물질을 Salmonella typhimurium의 변이주인 TA 98과 TA 100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투석내액과 투석외액 물질을 각각 400$\mu\textrm{g}$/$m\ell$을 첨가 했을시 L분획 61% 및 55%, S-1분획 56% 및 52% 그리고 S-2 분획 49% 및 45%로 억제하여 투석내액 갈변물질이 투석외액 갈변물질 보다 억제능이 높았다. 수용성 갈변물질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실험한 결과 L분획 38.7%, S-1분획 27.6% 그리고 S-2분획 15.9%로 억제하여 투석내액 갈변물질이 투석외액 갈변물질 보다 억제능이 높았다. 따라서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갈변물질의 투석내액이 투석외액 물질보다 항돌연변이원성 및 아질산 소거능 조사에서 물질의 분자량이 높을 수록 억제능 증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