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y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4초

수순(水醇)추출법으로 조제된 오공 약침액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 김성철;서근영;이성원;박성주;김재효;안성훈;황성연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3
    • /
    • 2010
  • Reactive Oxygen Species(ROS) are continuously produced at a high rate as a by-product of aerobic metabolism. Since tissue damage by free radical increases with age, the reactive oxygen species(ROS) such as hydrogen peroxide($H_2O_2$), nitric oxide(NO). Several lines of evidence provided that ROS appears to cause to develop aging-related various diseases such as cancer, arthritis, cardiovascular disease. Our reserch objective was to examine the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nclud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was 35.859mg/L. Elctron donation ability on DPPH was 36.82%. The 2,2'-azinobis-3-ehtlbe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decolorization (ABTS) was 84.7%.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was 44.33%.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s were pH dependent, and were highest at pH 1.5(45.2%) and lowest at pH 6.0(11.3%). We conclude that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may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s of antioxidant.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에 의한 토마토 첨가 두유 요구르트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Yogurt added Tomato Extract by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양밍;곽정순;장세리;찌아위엔;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0-2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원료 콩에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와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혼합 발효를 통해 대두 발효 제품의 개발을 목표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 발효 두유, Lactobacillus plantarum 단독 배양 발효 두유, 또한 두 균을 혼합 배양한 발효 두유의 항산화 활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 발효 두유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이 각각 3580.91 ${\mu}g/m{\ell}$, 67.14%, 6.54$mg/m{\ell}$, 83.63%로 가장 높았다. 혼합 발효 두유의 기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토마토 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 두유를 제조하였고, 토마토 에탄올 추출물을 0, 0.25, 0.5, 그리고 1.0% 첨가한 토마토 요구르트의 항산화력은 토마토 첨가량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토마토 무첨가구는 28.39%인데 비해, 토마토 요구르트는 33.46~57.12%까지 증가하였다.

장기저장을 위해 제조한 동결건조 산채 블록의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Preparing Freeze Dried Wild Vegetable Block for the Long-term Storage)

  • 유진균;정미자;김대중;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49-1655
    • /
    • 2009
  • 곰취(Ligularia fischeri, GC), 고추잎(Capsicum annuum L., GCY), 취나물(Aster scaber, CNM), 머위대(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MYD) 및 고구마순(Ipomoea batatas L. (Lam), GGM)과 같은 산채들의 물 추출물의 항산화능력을 평가하고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과 비교하였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 측정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작용,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같은 방법에 의해 알아보았다. 산채 물 추출물은 그들의 동결건조 물 추출물보다 총 페놀함량이 더 높았다.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추출물들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471.66{\pm}3.52\;{\mu}g/mg,\;141.33{\pm}2.51\;{\mu}g/mg,\;177.33{\pm}2.88\;{\mu}g/mg,\;238.66{\pm}9.50\;\mu}g/mg\;그리고\;122.67{\pm}3.51\;{\mu}g/mg$이었다. 1000 ppm GC, GCY, CNM 그리고 GGM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보다 더 높았고, 1000 ppm CNM, GC, GCY, MYD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각각 90.9%, 89.9%, 76.6%, 71.1% 그리고 57.4%였다. 10000 ppm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 추출물들은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각각 38.8%, 33.4%, 35.9%, 34.3% 그리고 33.8%까지 증가시켰고, GCY, CNM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은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GC와 MYD의 물 추출물이이들 동결건조 블록들의 물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보다 약간 더 영향력이 있었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은 실험된 모든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작용 및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현저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그것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동결건조블록이 산채와 비교하여 산채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 홍주연;남학식;이양숙;윤경영;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3-419
    • /
    • 2006
  • 뜰보리수 열매의 식품영양학적 평가의 일환으로 추출용매별, 추출농도별에 따른 전자공여능, linolen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활성, SOD유사활성,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Linoleic acid system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 또한 높아졌고,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SOD 활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타나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저해정도는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낮을 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추출물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다. 각 추출물과 pH의 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한 결과는 pH가 낮을수록 농도가 증가할수록 소거효과는 높게 나타났고, 물 추출물의 pH 1.2에서 77.35%로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메탄올 추출물도 물 추출물에서와 같이 pH가 낮을수록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다.

침출 조건에 따른 보리잎차와 녹차의 항산화능 비교 (A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ccording to Leaching Conditions in Distilled Water)

  • 장재희;최희선;정효숙;강옥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98호
    • /
    • pp.165-17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mounts and properties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t under various leaching conditions. The leaching temperatures and times of the distilled water were 50, 70 and $90^{\circ}$C for 1, 3 and 5 min, respectively. The levels of crude fat and ash in the barley leaf tea were higher than those in green tea. Brown color intensity and flavonoid absorbance increased with leaching temperature. The highest vitamin C levels and water-soluble phenol resulted at $90^{\circ}$C for 3 m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barley leaf tea and of green tea were 11.06 and 50.56%, respectively, compared to 2.9% for L-ascorbic acid (150 ppm).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were 95.11 and 74.88%, respectively. The SOD-like activities of barley leaf tea, green tea, and L-ascorbic acid (150 ppm) were 12.99, 8.33, and 12.75%,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effect of green tea was higher than that of barley leaf tea and lastly, the SOD-like activity of barley leaf tea was as high as that of green tea.

UV 조사한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Angelica keiskei and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Vegetable Juices Treated with UV Irradiation during Storage)

  • 최구희;권상철;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87-1193
    • /
    • 2010
  • 녹즙은 가열살균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매우 짧아 비가열 살균기술 중의 하나인 UV 살균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온살균방법 중 UV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UV 처리에 따른 저장기간 내 항산화 활성의 변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UV 처리에 의하여 다소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대조군 및 UV 처리군 모두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의 변화는 UV 처리 직후 대조군에 비하여 UV 처리군이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고 저장기간 내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UV 처리군 간에는 크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TS 활성을 보면 UV 처리 직후 녹즙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UV 처리군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케일의 경우 UV 처리군간에는 처리 유속이 느릴수록 낮게 나타났다. 금속이온 제거능에서는 신립초의 경우 UV 처리 직후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UV 처리군이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UV 처리 유속과는 크게 관계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일의 경우, 대조군과 UV 처리군 모두 제조 직후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신립초와 마찬가지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신립초와 케일 모두 blank에 비하여 낮은 O.D.값을 보여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있었으며 대조군보다 UV 처리군이 다소 높은 O.D.값을 보여 UV 처리 시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감소함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대조군과 UV 처리군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pH 1.2에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마가목 줄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stem of Sorbus commixta Heal)

  • 유지현;도은수;장준복;길기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36
    • /
    • 2017
  • Objective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orbus commixta Heal. stem (SC) as a natural ma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examined. Methods : The samples of SC were pulverized, and fractions were extracted repeatedly three times from hot water and 70% 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from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DPPH, ABTS, hydroxyl radical, $Fe2^+$ chelating,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Results :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thanol extract group ($504.39{\mu}g/m{\ell}$) than in hot water extract group ($364.64{\mu}g/m{\ell}$).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ethanol extract group ($160.09{\mu}g/m{\ell}$) than in hot water extract group ($124.59{\mu}g/m{\ell}$). DPPH, ABTS, $Fe2^+$ chelating were slightly higher in ethanol extract gorups than in hot water extract groups, and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8.42~23.61%) of ethanol extract groups were shown to be approximately twice higher than that (7.63~10.37%) of hot water extract groups at $12.5{\sim}50{\mu}g/m{\ell}$ concentration.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both ethanol and hot-water extract groups were shown to be higher in a dose dependent manner at the concentration of $12.5{\sim}50{\mu}g/m{\ell}$ at pH 3.0 than at pH 1.2, and ethanol extract groups (86.55~96.64%) had higher activity than the hot water extract groups (42.59~92.6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tioxidant BHT (72.96~80.11%). Conclusions : The extracts of SC displayed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suggested a natural material can be developed to functional material.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항산화능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 김순임;고서현;이영주;최해연;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8-366
    • /
    • 2008
  •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ginseng extracts prepared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were evaluated by a variety of antioxidant assays, including $DPPH^{\cdot}$ radical scavenging, $ABTS^{+\cdot}$ radical scavenging, superoxide anion scavenging, nitrite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activities.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also determined. The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ed to positive controls such as Trolox, tannic acid and ascorbic aci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of the extracts were shown to be the highest in the ethanol extract.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red ginseng powder were the lowest among the samples. The amou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at a maximum in the ethanol extract.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he phenolic compounds contents of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was increased as the result of the addition of red ginseng extra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yogurt to which red ginseng extract was added were similar to those of yogurt without red ginseng extract. The overall sensory score and color of yogurt made from 0.5% red ginseng was the best of the tested yogurts. In accordance wit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red ginseng extract was approximately 0.5%.

감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 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75-1682
    • /
    • 2010
  • 해조류 감태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감태열수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XO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높은 항산화능이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로 잘 알려져 있는 BHA, VitC, catechin의 활성보다 높거나 유사하게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 positive control인 VitC와 감태 열수 추출물은 시료농도가 증가할수록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pH 1.2에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VitC 보다 약간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감태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감태 열수 추출물은 알콜과 acetaldehyde 분해능을 모두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acetaldehyde의 분해능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감태 열수 추출물의 미용효능은 tyrosinase와 elastaase 억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Tyrosinase 저해능 분석에서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kojic acid는 0.1 mg/ml의 농도에서 65%의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낸 반면, 감태 열수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의 농도에서 58%의 저해효능을 보였다. 비록, 그 효능이 충분히 높지는 않지만 감태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므로 충분한 미백효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lastase 억제 효능 분석에서는 감태 열수 추출물 0.5 mg/ml에서 38%, 1 mg/ml에서 44%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Positive control로 elastase 저해 활성 효과가 알려진 VitC는 1 mg/ml의 농도에서 36%의 저해활성이 나타났고 elastase 활성저해제인 oleanolic acid는 농도 0.5 mg/ml에서 elastase를 32% 정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주름 예방 효능에 있어서 감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기능성이 예상된다.

초석잠 분말 첨가 국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s added with Chinese Artichoke Powder)

  • 박어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68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noodle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Chinese artichoke powder. Noodles were prepared at ratios of 0%, 0.5%, 1%, 1.5%, and 2% Chinese artichoke power based on flour weight. The weight, volume, and water absorption of cooked noodl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Chinese artichoke powder. Turbidity of noodles increased according to addition of Chinese artichoke powder. The noodles showed decreased L and b values, and increased a values with increasing Chinese artichoke powder content in the flour composite. Hardness of cooked noodl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 ing Chinese artichoke powder content.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Chinese artichoke powd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with addition of Chinese artichoke powder. Finally-,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that noodles containing 1% Chinese artichoke powder had higher quality as compared to other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