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c oxide

검색결과 4,136건 처리시간 0.042초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C57BL/6 쥐에서 발효 무궁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ermented Hibiscus syriacus Extract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 이하늘;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90-79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쥐에서의 발효 무궁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다. 항산화 실험은 in vivo와 in vitro 둘 다 진행하였다. In vitro 실험은 산화질소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발효 무궁화 추출물에서의 산화질소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은 비발효 무궁화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In vivo 실험은 정상식이군(NOR), 고지방식이군(CON), 고지방식이+발효 무궁화 추출물군(FH)과 고지방식이+비발효 무궁화 추출물군(NFH)로 나눴고, 4군은 4주 동안 복강투여하였다. 그리고 간 균질액의 SOD, CAT, MDA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H군의 SOD와 CAT 수준은 CON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FH군의 MDA 수준은 CON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발효 무궁화 추출물은 비만 쥐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와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효과를 가지며, 유용한 천연 항산화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13종 허브추출물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과 세포독성 및 면역증강 효과의 in vitro계 검색 (In vitro Studies o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 정하열;김현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99-705
    • /
    • 2000
  • 인간의 체내에서 과량으로 생성된 활성산소가 자체 방어기전에 의해서 분해 혹은 소거되지 않는 경우에 이는 생체 조직 내 세포와 면역체계에 관련된 효소들을 손상시켜 암이나 면역질환과 같은 퇴행성 질환을 야기 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 시대이래 지금까지 서구에서 약초 혹은 향초로서 사용되어온 13종 허브추출물에 대해서 유해산소 소거능을 검색하고 SRB assay 방법에 따라 두가지 암세포주(Hepa-lclc7, KB-3-1)와 정상세포주(L-929)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같은 면역체계의 증강 유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NO test에 따라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3종류의 허브추출물에서 일반적으로 medicinal 허브로 분류되고 있는 eucalyptus, peppermint, mate, sage, thyme, yarrow 등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이 다른 허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Hepa-1c1c7, KB-3-1과 같은 암세포주 및 L-929와 같은 정상세포주에 대하여도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각각의 허브추출물에 의해 측정된 암세포주에 대한 $IC_{50}$ 값들은 정상세포주에 대한 $IC_{50}$ 값들보다 크거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암세포주에만 선택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면역증강 활성실험에 있어서는 수퍼옥사이드 소거능이 다른 허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6종류의 허브추출물 중에서 sage 만이 표준시료의 37%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어 각 시료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과 면역증강 활성과의 연관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효모변이주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세포벽 유래의 베타글루칸 면역활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beta}$-Glucan Isolated from the Cell Wall of Yeast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 박정훈;강만식;김홍일;정봉현;이광호;문원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88-492
    • /
    • 2003
  • S. cereviaiae KCTC 7911에 돌연변이를 유도하고 selective pressure로서 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sae와 mechanical stress인 glass bead를 차례로 처리하여 효모변이주를 S. cerevisiae IS2를 선발하였다. S. cerevisiae IS2는 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ase의 농도별 내성실험 결과 wild-type에 비해 훨씬 강한 내성을 보여 세포벽에 변화가 일어난 균주로 예상된다. 효모변이주와 wild-type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추출하여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생쥐의 복강에 주사하고 생성되는 면역세포의 수, NO 생성능, 및 면역세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대식세포의 탐식능을 측정하였다. 베타글루칸을 쥐의 복강에 주사하였을 때 베타글루칸의 종류에 상관없이 면역세포의 수, NO 생성능 및 대식세포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변이주 베타글루칸을 주사하였을 경우 wild-type 베타글루칸에 비해 면역세포의 수는 1.40배, NO 생성능은 1.12배, 대식세포의 활성도와 탐식능은 각각 1.18배와 1.43배 높은 수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변이주 베타글루칸이 wild-type 베타글루칸보다 우수한 면역활성 촉진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고부가가치 기능성 면역물질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이 MIA로 유발된 골관절염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ggwisayeok-tang (Dangguisinitang) on MIA-Induced Osteoarthritis Rats)

  • 양두화;우창훈;김정민;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7-50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s of Danggwisayeok-tang (Dangguisinitang) extract (DGSYT) on monosodium iodoacetate (MIA)-induced rat osteoarthritis. Methods For this purpose,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was not injected with MIA and orally administered any medication. Control group was injected with MIA and not orally administered any medication. DGSYT100 group was injected with MIA and orally administered 100 mg/kg of DGSYT. DGSYT300 group was injected with MIA and orally administered 300 mg/kg of DGSYT. JoinsT group was injected with MIA and orally administered 20 mg/kg of Joins tablet. DGSYT100 and DGSYT300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DGSYT during a week before and 3 weeks after based on the day MIA injected. The changes of hepatotoxicity, nephrotoxicity, relative hind paw weight distribution, cytokine in serum, cytokine messenger ribonucleic acid (mRNA) in joint tissue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Hematoxylin & Eosin and Safranin-O staining) were measured. Results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of DGSYT100, DGSYT300 and JoinsT group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se results were within normal rang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creatinine levels of all group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change of relative hind paw weight distribution, DGSYT300 and JoinsT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14 and 21 days after MIA injected.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Interleukin-6 (IL-6), Leukotriene $B_4$ and Osteocalcin levels of DGSYT300 and JoinsT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measurement of IL-$1{\beta}$ and nitric oxide synthase-II mRNA relative quantitative of control, DGSYT100, DGSYT300 and JoinsT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measurement of TNF-${\alpha}$, IL-6 and Cyclooxygenase-2 mRNA relative quantitative of control, DGSYT300 and JoinsT group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f knee, synovial tissue, cartilage and proteoglycan of DGSYT100, DGSYT300 and JoinsT were well preserv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DGSYT has anti-inflammation and pain relief effects. So it should be suppressed progression of arthritis in MIA-induced osteoarthritis rat.

치자(梔子) 약침(藥鍼)이 백서(白鼠) 모델 족과 염좌(捻挫) 통증(痛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rutus gardeniae herbal acupuncture on the rat model of ankle sprain pain)

  • 구성태;조명수;박성섭;김영태;박귀종;김경식;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2권2호
    • /
    • pp.57-74
    • /
    • 2005
  • Objective : Frutus gardeniae, seed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is one of the crude drugs use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 in oriental medicine. Methodes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analgesic effec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Frutus gardeniae extract (FGE) on a rat model of ankle sprain pain, and the relations between FGE-induced effect and endogenous nitric oxide (NO) and inducible NO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c-Fos protein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As a chronic pain model, ankle sprain pain model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FCE injection applied to acupuncture point. After the induction of ankle sprain, rats subsequently showed a reduced stepping force of the affected limb for at least the next 4 days. The reduced stepping force of the limb was presumably due to a painful knee. FGE dissolved in normal saline was injected several acupoints. Results : After the treatment, behavioral tests measuring stepping force were periodically conducted during the next 8 hours. FGE produc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hindlimb affected by the ankle sprain lasting at least 4 hours. FGE produced the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affected hindlimb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FGE injection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paw edema induced by ankle sprain. Both NO production and iNOS, COX-2 protein expression increased by ankle sprain were suppressed by FGE. FGE on combination with electroacupuncture (EA) produced more powerful and longer lasting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hindlimb affected by the ankle sprain than either FGE or EA did.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FGE produces a potent analgesic effect on the ankle sprain pain model of the rat and that FGE-induced analgesia modulate endogenous NO through the suppression of iNOS/COX-2 protein expression.

  • PDF

하엽, 삼백초 및 와송으로 구성된 식물복합추출물의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성 연구 (Anti-aging Cosmetic Application of Novel Multi-herbal Extract Composed of Nelumbo nucifera Leaves, Saururus chinensis and Orostachys japonica)

  • 백민영;김준형;이대우;황재성;문은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3-1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화장품 성분 탐색을 위해 항산화 활성 가이드라인에 따라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대상으로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가장 효능이 좋은 식물을 발굴하고 이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Charmzone Extract (CZE)로 명명하였다. CZE는 하엽(Nelumbo nucifera leaves), 삼백초(Saururus chinensis) 및 와송(Orostachys japonica)으로 구성된 식물복합추출물로, 본 연구에서는 CZE의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CZE는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인간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및 인간 섬유아세포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하였고,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RAW264.7 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자극에 의한 산화질소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또한, CZE는 HaCaT의 이동을 촉진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CZE는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증 및 상처치유의 다효능을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을 통해 피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그러므로 식물복합추출물 CZE는 피부 항노화용 화장품 성분으로 응용 가능하다.

떡쑥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알러지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s of Gnaphalium affine Extract)

  • 노경백;이정아;박준호;정광선;정은선;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14
    • /
    • 2017
  •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GA)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전통적인 민간요법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현재 떡쑥 추출물(GA extract, GAE)의 항산화 활성과 항보체 활성 등은 알려져 있으나, 항염과 항알러지 효능 및 그 작용 기작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 매개인자인 산화질소, 프로스타글란딘 $E_2$, Toll-유사수용체 4, 에오탁신-1, 히스타민의 활성화에 대한 GAE의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GAE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와 COX-2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화질소와 프로스타글란딘 $E_2$의 생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GAE는 LPS로부터 유도된 Toll-유사수용체 4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23187로부터 유도되는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의 억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L-4로부터 유도된 에오탁신-1의 생성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AE는 항염증과 항알러지 효능을 가진다고 사료되며, 향후 항염증 및 항알러지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보였다.

지하철 미세먼지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염증에 대한 달맞이꽃 뿌리 추출물의 완화 효과 (Relaxing Effect of Evening Primrose Root on Skin Irritation Caused by Particulate Matter in Subway Tunnel)

  • 신명걸;박을용;박덕신;김종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9-131
    • /
    • 2020
  • 인간의 피부가 지하철 터널과 같은 외부환경에서 고농도의 입자 먼지(PM2.5, PM10)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에 나쁜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미세입자 먼지는 피부를 손상시켜 염증과 알러지 반응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이 피부에 미세입자 먼지가 반응하여 피부손상을 유발할 때 피부염증 저해능력을 조사하였다. 입자형태의 먼지는 지하철에서 하루에 가장 높은 농도로 존재할 때 수집하였다.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강한 항산화능을 보였다 (62.6%). 미세입자 형태와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은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여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이 미세입자 먼지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입자형태의 먼지(PM10)를 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5, 10, 20 ㎍/mL) 활성산소 수준이 감소함과 동시에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이 미세입자 형태의 먼지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능을 제공하여 피부용 화장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원산지별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Propolis Extracts with Various Countries of Origin as Cosmetic Materials)

  • 정은선;원진배;지향기;유지영;오세영;김하연;신영희;김은빈;허강혁;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9-166
    • /
    • 2020
  • 프로폴리스는 식물에서 채취한 수지에 꿀벌의 분비물이 합쳐져 만들어진 아교성 물질로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브라질 유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미백, 항염 활성을 비교하고, 이들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함량분석과 자유라디칼 소거능 시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한국, 중국, 브라질 프로폴리스 추출물 모두 유의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피부에 상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능을 MIC 시험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 C. acnes 균에서 한국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KPE: 62.5 ㎍/mL, CPE: 250 ㎍/mL, BPE: 500 ㎍/mL). 또한, 한국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고, 마우스대식세포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유도된 염증인자인 산화질소와 PGE2 생성을 나머지 두 추출물보다 우수하게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항산화, 항균, 항염 효능소재로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항균, 항염, 미백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인 한국프로폴리스추출물의 응용가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 및 산성다당체에 대한 연구현황 (Current Studies on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Acidic Polysaccharide in Korean Red Ginseng)

  • 이종원;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41-48
    • /
    • 2006
  • 우리나라의 건강기능식품법에서는 인삼 또는 홍삼의 기능성이 자양강장, 면역증진 및 원기회복으로 한정되어 있다. 지금까지 홍삼에 함유된 갈변물질과 산성다당체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갈변물질은 항산화 활성과 면역증진기능, 그리고 산성다당체는 소화기관암의 증상개선, 면역기능 증진, 혈압개선, 혈액응고방지, 조혈기능, 알콜해독(간기능 회복, 고지혈 개선 등) 등의 효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인삼과 홍삼의 3가지 기능성외에 항산화활성이라든지 그 외 더 많은 기능성을 추가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 홍삼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성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기준규격형제품은 물론이고 질병위험감소에 대해서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는 개별인정형 제품이나 나아가서는 일반 또는 전문의약품으로 개발하여 홍삼의 이용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한국인삼으로 그 위상을 제고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