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ght illuminatio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휴대용 적외선 야시경을 위한 전자회로설계 (Electronic Circuit Design for Portable Infrared Night Vision Scope)

  • 엄기환;김두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3권2호
    • /
    • pp.33-3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적외선 야시경의 소형 경량화 및 저전력을 위한 전자회로부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전자회로부는 전압자동변환부와 전원공급부로 구성한다. 전압자동변환부는 배터리, 스위치부, 승압부, 전압선택부 등으로 구성한다. 전원공급부는 고광원 감지회로, 배터리 전압감지회로, 적외선 발광회로, 연결감지회로, 공급제어회로 등으로 구성한다. 설계한 전자회로부의 성능은 AN/PVS-14에 비하여 소모전력 및 상온 연속사용 시간에서 우수하였다.

조명의 역기능 규명을 통한 스마트 범죄예방 사업 강화에 대한 연구 (Identifying the Dysfunction of Lighting for Smart CPTED Enhancement)

  • 김성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24
    • /
    • 2017
  • 범죄 예방을 위한 환경 재설계 연구자들은 생활환경 가운데 야간에 어두운 공간에 대하여 조명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의 조도를 높이는 것이 범죄 예방 효과를 높일 것으로 보편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 단순하게 공간의 조도만 높이는 것이 모든 범죄 발생을 억제할 것이라고 보는 것은 실제 상황과는 맞지 않다. 본 연구에서 실제 범죄사건 사례를 분석한 결과, 생활공간에 조명을 설치하여 조도를 높이는 조치가 오히려 범죄를 실행하는데 활용되는 것이 분석되었다. 단순히 조명을 설치하고 조도를 높이는 것만으로 범죄를 억제할 것으로 보는 관점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성범죄는 조도가 높아진 공간을 범행 대상을 관찰하는데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순하게 조도만 높이는 것 외에 보다 지능화된 상황인식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저 조도 영상에서의 말레이시아 차량 번호판 인식 (Malaysian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in Low Illumination Images)

  • 김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19-26
    • /
    • 2013
  • 말레이시아 차량 번호판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영문 및 숫자들이 엠보싱 형태로 부착되어있으며 수평 수직방향 문자들 사이 간격이 조밀하게 배치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도가 낮은 차량 영상에서는 번호판 문자 획 정보 추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 조도에서 촬영된 말레이시아 차량 영상에서 번호판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저 조도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에서도 문자 획 연결 요소를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 DoG 필터링 기반 문자 획 생성 기법을 도입하였다. 문자 획 연결요소 해석을 통한 번호판 후보 영역을 추정한 다음 문자 영역을 분할하고 인식을 하였다. 쿠알라룸푸르 도로상에서 조명이 부착되지 않은 IR 카메라를 사용하여 주야로 촬영한 6,046장의 차량 영상을 대상으로 번호판 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험해 본 결과 번호판 인식 성능이 96.1%로 나타났다.

날씨·조명 판단 및 적응적 색상모델을 이용한 도로주행 영상에서의 이정표 검출 (Road Sign Detection with Weather/Illumination Classifications and Adaptive Color Models in Various Road Images)

  • 김태형;임광용;변혜란;최영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1호
    • /
    • pp.521-528
    • /
    • 2015
  • 도로주행 영상에서의 객체 검출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날씨 및 조명 상태에 따른 객체 검출의 어려움 때문에 대부분 맑은 날씨의 영상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주행 영상의 다양한 날씨 및 조명 상태를 먼저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도로 이정표에 대한 색상모델을 설정하여 이정표 객체를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5종류의 도로 이미지 특징을 이용하여 맑음, 흐림, 비, 야간, 역광으로 날씨 및 조명 상태를 먼저 분류하고, 각각의 상태에서 대상 이정표 색상의 픽셀값의 범위를 추출하여 GMM(Gaussian Mixture Model)을 생성하고 이를 객체 추출에 사용한다. 날씨 및 조명이 다양하게 변하는 도로주행 영상에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이정표 영역이 안정적으로 찾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시력저하실태 및 시력관리를 위한 건강행위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Visual Acuity Change and Caustive Factors Influencing Decreased Visual Acuity f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김은주;고승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8-86
    • /
    • 1994
  • In order to provide data of effective health education for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The authors investgated the actual acuity and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50 students in high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has been made through references and student's health recor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students move up to grad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case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below 0.2 in one or both eye, the number of cases w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moving up to grade, especially visual acuity of right eye was more decreased than that of left eye. 2) As to proportion of the group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mong the total students, among 2250 students,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was 35.6%(800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type, in academic school, frequency of student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in day school was higher then that in night school. In commercial school, the frequency of students who had decreased visual acuity in night school were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in day school. 3) As to variables influencing the decreased visual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groups with normal visual acuity and groups with subnormal in terms of awareness of visual acuity by themself, parent's visual acuity, unbalanced eating habit, distance from television, or books, posture in watching television, posture in reading, awareness of illumination in classroom. 4) As to practice of protectiv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r visual acuity care, In group with normal visual acuity. There was good practice such as proper eating habit, proper studying habit, and health habit in its descending order, but proper illumination and regular eye test were practiced poorly. In group with subnormal visual acuity, one of the vest practice in visual acuity care was an effort to prevent eye strain. Other good practice involve tasking regular eye test, maintaining proper studing habit, in its descending order.

  • PDF

백색광에 대한 문치가자미의 반응 (Response of Marbled Sole to the White Lights)

  • 양용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8-562
    • /
    • 1986
  • 백색광에 대한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6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분포곡선은 대체로 W우형이 되었으나, 빛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다. 2. 수중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야간의 차이가 다소 있었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주간에 1.9 lux($1.2{\sim}2.9lux$), 야간에 0.7lux ($0.5{\sim}1.1lux$)로서 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적어 안정하게 변동하였으며, 주간보다 야간의 집어율이 더 높았다.

  • PDF

색광에 대한 두툽상어의 반응 (Response of Cat Shark to the Colored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16
    • /
    • 1983
  • 색광에 대한 두툽상어 Scyliorhinus torazame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2가지 서로 다른 색광을 조합하여 수조의 양단에서 동시에 광자극을 가했을 때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서의 구간별 분포곡선은 대체로 W자형이 되었다. 2. 양색광원쪽에서의 평균분포차는 10.19%(0.17~25.75%)였고, 주간(6.72%)보다 야간(13.66%)에 더 컸다. 3. 두툽상어가 잘 모이는 색광은 주간에는 황색, 백색, 청색, 적색의 순이며, 야간에는 적색, 청색, 백색, 황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조명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는 적었으며 비교적 안정하게 변동했는데 주간에 더 안정되었다. 5. 두 가지 색광에 대한 집어율의 차는 조명시간에 관계없이 대체로 뚜렷했는데 주간보다 야간에 더 차가 심했다

  • PDF

교량의 경관조명연출디자인 평가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election of the Valuation Items of the Environmental Illumination Design for a Bridge)

  • 조현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2-30
    • /
    • 2004
  • 도시 공간에서의 교량경관 조명연출의 목적은 교량과 주변의 수변 공간을 아름답게 연출할 뿐만 아니라 사람과 자동차에 대하여 안전성 및 쾌적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야간경관의 심미적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환경과의 조화, 그리고 지역의 문화성, 역사성, 상징성과 융합하여 도시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광자원으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교량 경관조명을 활성화시키고 있으나 매뉴얼화 된 디자인과 설계기준의 부재로 교량의 예술적, 문화적 품위가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조속히 우리풍토에 적합한 교량 경관조명의 설계지침과 평가방법 등 이 확립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미관을 향상시키기에 최적의 장소로 여겨지고 있는 한강의 교량 중 조명시설이 설치된 교량을 평가 대상으로 채택하여,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예비평가항목 구성단계 및 전문가 검증 단계를 거쳐, 평가항목별 상관분석 및 인자분석 결과, 평가항목을 인자해석에 의해 중요변인으로 하고 분산 분석과 평균값 비교를 통해 중요 항목과 일반항목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표준화된 평가를 유도할 수 있는 교량형식별 경관조명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