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Selection of the Valuation Items of the Environmental Illumination Design for a Bridge

교량의 경관조명연출디자인 평가항목 도출에 관한 연구

  • 조현철 (서울예술대학 실내디자인과)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It is an attempt to suggest the standard valuation method of the environmental illumination for the bridges across the Han-river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deviating from the technical and traditional viewpoint. In Korea the current evaluation criterion to verify the value of bridge design has a partiality for the technical and structural safety rather than the sentient beauty on the whole. However, the recently cultural reform of Korean mass society with the elevation of the standard of living forces the engineering designers for bridges to focus not only on competing physical structures but also on enhancing the formative beauty including the illumination effects for night view. Additionally, the new policy, which transforms the environments around the Han-river into the major tourist attractions has been executing strongly by the city authorities to revitalize the symbolic, historic,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capital cit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quality environmental illumination for the bridges. As a result, It become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nual and standardization of the environmental illumination planning for the city in terms of the formative beauty, and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valuation model method of the environmental illumination for the bridges as the initial step of the standardization. In the study, the valuation items of the standard questionnaire are selected by the documentary records and the consultation of various experts in architecture, design, fine art, urban planning and even administration to verify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aesthetic beauty with the local amenity and the environmental harmony for the chosen bridges across the Han-river.

도시 공간에서의 교량경관 조명연출의 목적은 교량과 주변의 수변 공간을 아름답게 연출할 뿐만 아니라 사람과 자동차에 대하여 안전성 및 쾌적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야간경관의 심미적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환경과의 조화, 그리고 지역의 문화성, 역사성, 상징성과 융합하여 도시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광자원으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교량 경관조명을 활성화시키고 있으나 매뉴얼화 된 디자인과 설계기준의 부재로 교량의 예술적, 문화적 품위가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조속히 우리풍토에 적합한 교량 경관조명의 설계지침과 평가방법 등 이 확립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미관을 향상시키기에 최적의 장소로 여겨지고 있는 한강의 교량 중 조명시설이 설치된 교량을 평가 대상으로 채택하여,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예비평가항목 구성단계 및 전문가 검증 단계를 거쳐, 평가항목별 상관분석 및 인자분석 결과, 평가항목을 인자해석에 의해 중요변인으로 하고 분산 분석과 평균값 비교를 통해 중요 항목과 일반항목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표준화된 평가를 유도할 수 있는 교량형식별 경관조명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태, 최윤석(2002), 야간의 한강 경관 향상을 위한 교량 조면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8권9호, p.211
  2. Jannet Lennox Moyer(1992), The Landscape Lighting Book, p248, John Wiley & Sons
  3. IESNA(1987), IES Lighting Hancbook
  4. 최영준, 이경회(2001.7), 건축물의 경관조명 평가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p205,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권7호(통권153)
  5. 한국도로공사(1993) 아름다운 교량설계, 서울 : 한국도로공사 설계사업소
  6. 주신하, 임승빈(2003.4)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한국조경학회지.Vol.31.No1)
  7. 安彦建大, 공간연출 수법과 평가방법, 경과조명의 쾌적화와 심리평가수법.일본조명학회지, (1995)
  8. 지철근,장우진,권영혜(1990) 한강대교 아아치 및 교각조명과 잠실대교 수중보 조명계획,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
  9. 김정태, 광섬유(Optical Fiber Tube)를 이용한 야간경관조명의 특성에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0)
  10. 정근영,정봉근,이준형,최안섭, 한강교향 경과조명의 기본계획에 관한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1)
  11. 이상엽,'도시 교량경관의 계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석사논문, (2001)
  12. 주신하,임승빈,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과형용사 목록작성, 한국조경학회지Vol,31,No.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