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s reporting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중앙 일간지 환경보도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environmental reporting in korean nine dailies)

  • 안종주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52-54
    • /
    • 2002
  • Generally, inaccurate reports on environmental issues occur due to various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way to enhance accuracy of environmental reporting. So the reporters' career and college major had been compared to the accuracy of their articles. The by-lined environmental articles in nine dailies published in 1991 were check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accuracy rate in environmental articles was 54.2%. Inaccuracies appeared 1.7 times per an article, while the average frequency of inaccuracies in overall articles was 0.9 time. (2) Errors in the articles consist of 65.8% of subjective inaccuracies and 34.2% of subjective inaccuracies. They derive from the false usage of terminology(15.8%), misquotation(14.5%), incorrect statistics(13%), exaggeration(13%), inaccurate title(7.9%), and false comparison(5%), (3) Inaccuracy rate by the type of articles was 66.7% in columns, 60% in feature stories, 54.5% in-depth stories, 40.9% in straight news, respectively. (4) Inaccuracy rate by the specific field was shown 71.4% in environmental impacts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chi-square test analysi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accuracy rate and of subjective, and objective, and objective inaccuracies relevant to the period of reporters' career covering environmental reporting and the nature of articles, and college major.

  • PDF

국내 중앙 일간지 환경보도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uracy of Environmental Reporting in Korean Major Dailies)

  • 안종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1-39
    • /
    • 2002
  • Generally, inaccurate reports on environmental issues occur due to various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 way to enhance accuracy of environmental reporting. So the reporters' career and college major had been compared to the accuracy of their articles. The by-lined environmental articles in nine dailies published in 1991 were check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 Inaccuracy rate in environmental articles was 54.2%. Inaccuracies appeared 1.7 times per an article, while the average frequency of inaccuracies in overall articles was 0.9 time. (2) Errors in the articles consist of 65.8% of subjective inaccuracies and 34.2% of subjective inaccuracies. They derive from the false usage of terminology(15.8% ),misquotation(14.5%), incorrect statistics(13%), exaggeration(13%), inaccurate title(7.9%), and false comparison(5%). (3) Inaccuracy rate by the type of articles was 66.7% in columns, 60% in feature stories, 54.5% in-depth stories, 40.9% in straight news, respectively. (4) Inaccuracy rate by the specific field was shown 71.4% in environmental impacts assessment, 52.5% in water pollution, 37.5% in waste management, and 35.7% in air pollution.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chi-square test analysi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accuracy rate and of subjective, and objective inaccuracies relevant to the period of reporters' career covering environmental reporting and the nature of articles, and college major.

K 패션에 대한 글로벌 미디어 보도 경향 분석 -다이내믹 토픽 모델링(Dynamic Topic Modeling)의 적용- (Analysis of Global Media Reporting Trends for K-fashion -Applying Dynamic Topic Modeling-)

  • 안효선;김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004-1022
    • /
    • 2022
  •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K-fashion's external image by examining the trends in global media reporting. It applies Dynamic Topic Modeling (DTM), which captures the evolution of topics in a sequentially organized corpus of documents, and consists of text preprocessing,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topics, and a timeseries analysis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words within topics. The data set comprised 551 online media articles on 'Korean fashion' or 'K-fashion' published on Google News between 2010 and 2021. The analysis identifies seven topics: 'brand look and style,' 'lifestyle,' 'traditional style,' 'Seoul Fashion Week (SFW) event,' 'model size,' 'K-pop,' and 'fashion market,' as well as annual topic proportion trends. It also explores annual word changes within the topic and indicates increasing and decreasing word patterns. In most topics,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word 'brand' is confirmed to be on the increase, while 'digital,' 'platform,' and 'virtual' have been newly created in the 'SFW event' topic. Moreover, this study confirms the transition of each K-fashion topic over the past 12 years, along with various factors related to Hallyu content, traditional culture, government support, and digital technology innovation.

따옴표 기사제목과 인용에 대한 인식차이 (Direct Quotations in Headline and Readers' Perception of Factivity)

  • 윤재학
    • 비교문화연구
    • /
    • 제22권
    • /
    • pp.377-401
    • /
    • 2011
  • Major news organizations in Korea are often accused of intentionally conspiring to advance conservative agendas under the disguise of unbiased reporting. Critics suspect that headlines are frequently abused for a certain framing effect. The widespread use of direct quotation is cited as one area of the abuse in headlines.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determine whether the criticism is based on facts. We conducted two separate surveys. First, the headlines on three major Korean newspap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n The New York Times, Washington Post, and The Times. Then, we collected from Korean and English speakers factivity judgements for the sentences containing a direct quotation. The results confirm previous studies that Korean newspapers engage in a heavy use of direct quotation in headlines. Moreover, the results partially confirm the popular perception that the common use of direct quotation is a recent phenomenon in Korea. Finally, the study finds that both groups of speakers consider direct quotations more truthful than factive sentences.

자연어 처리를 활용한 메타버스 보도, 연구 간 인식 차이 비교 (Utiliz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Compare Perceptions of Metaverse between News Articles and Academic Research)

  • 이규호;이준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483-1498
    • /
    • 2022
  • While public interests in the metaverse are growing recently in the Korean media and research, its understanding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yet. In this study, we aimed to probe whether the rapid growth in media attention about the metaverse has increased its usage as a buzzword accompanied by an absence of scientific context. We analyzed publications and online news containing "metaverse" from 2020 to 2022. The data analysis methods are 1) time series frequency, 2) keyword network, 3) natural language model. The findings indicate the perception gap about metaverse between research and news articles broadened as its popularity has grown. Research about metaverse gradually expanded its connections with related topics-virtual and augmented realities-focusing on social changes in a remote environment. However, media reporting frequently used "metaverse" as a buzzword rather than explaining its scientific background, stimulating the proliferation of related topics and the dispersion of news content. This study further discusses the need for a media strategy to improve public conception of th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핵폐기장 유치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레임 분석 -KBS, MBC의 전국 및 지역(전북지역) 뉴스를 중심으로- (Framing an Issue of Building a Nuclear Waste Site on Television News)

  • 나미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6권
    • /
    • pp.157-208
    • /
    • 2004
  • 본 연구는 2003년도 중요란 국책사업의 하나로서 첨예한 사회적 갈등이 나타났던 핵폐기장 유치 이슈를 텔레비전 뉴스보도가 어떠한 시각에서 다루고 해석, 평가함으로써 이슈에 대한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핵폐기장 유치선언이 있던 2003년 7월 11일부터 유치 재검토가 발표된 12월 10일까지 5개월 동안 보도된 핵폐기장 유치이슈에 대한 KBS, MBC 저녁종합뉴스의 전국 및 지역(전북지역) 뉴스에 대한 프레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요한 국책사업으로서 사회적 논란이 많았던 핵폐기장 유치 이슈는 길 등의 원인과 해결보다는 주민들의 시위와 사회적 혼란만 부각시키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갈등의 근본원인이자 이슈의 보다 본질적인 사안이라 할 수 있는 선정 절차상의 정당성 문제라든가 위도지역의 지질 적합성, 안전성 문제, 에너지 정책 등의 문제는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텔레비전 뉴스보도에서 핵폐기장 유치이슈는 국가정책적 이슈라기보다는 지역 내 집단간 분쟁으로 그 성격이 규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가차 저널리즘(gotcha journalism), 탐색적 연구: 노무현정부 출범 이후 정치보도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Gotcha Journalism)

  • 김동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9권
    • /
    • pp.43-71
    • /
    • 2005
  • 연구는 정치, 선거 저널리즘의 새로운 현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차 저널리즘의 발생 원인을 탐구, 분석하고자 했다. 가차 저널리즘(gotcha journalism)이란 정치인의 실수나 해프닝을 꼬투리삼아 집중적으로 반복, 기사화하는 보도행태를 뜻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소재 일간지 정치부기자(6명), 방송 3사 정치부기자(3명) 등 모두 9명을 분석 대상으로 골라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분석 결과, 가차저널리즘이 나타나는 언론외적 요인(extra-media level)으로는 뉴스 소비자 요인, 언론내적으로는 취재기자 요인(individual level), 언론사(organizational level) 요인 등 크게 세 가지 요인이 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 흥미 있는 기사를 원하는 뉴스 소비자들의 요구와 한국인의 정치과잉 의식, 2) 취재기자의 특정 인물에 대한 개인적인 선호도와 기사 제작 메커니즘 등, 3) 구독/시청률, 나아가 광고수익을 의식한 언론사의 암묵적인 지원과 특정 언론사의 특정 정치 집단에 대한 거부감 등이다. 특히 소속 언론사의 정치, 이념적 성향이 특정 정치인에 대한 가차 저널리즘적인 보도행태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뉴스 소비자 중심의 편집정책(customer-driven news production) 이 가차 저널리즘적인 보도행태의 생산에 일정 부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셜 미디어 정치 뉴스 프레임 분석: 위키트리 '대통령선거' 키워드를 중심으로 (Frame Analysis of Political News in Social Media: Focus on the keyword, "presidential election" in Wikitree)

  • 이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309-318
    • /
    • 2017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정치 뉴스의 논조와 프레임 유형 및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소셜 미디어 뉴스는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를 기반으로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하고 누구나 기사를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기존 미디어가 따라올 수 없을 만큼 의견의 다양성을 실현시키고 있다. 이에 구체적으로 소셜 미디어 뉴스가 어떻게 기존 미디어와 차별적으로 뉴스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떠한 뉴스 프레임으로 여론을 형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국내 소셜 뉴스매체인 '위키트리'를 대상으로 '대통령선거' 키워드 검색을 통해 총 419건의 기사를 추출한 후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셜 미디어 정치 뉴스의 논조와 프레임 유형은 보도인물, 게재유형, 정보원, 주제범주, 현 정권에 대한 태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심층성이 부족하고 연성화가 뚜렷해져 기존 미디어가 가지는 정치 뉴스의 한계를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소셜 미디어 정치 뉴스의 논조는 개연적, 구체적이기 보다 당위적, 추상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감성, 전략, 일화 중심의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지역신문 뉴스 프레임 비교: 핵폐기장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Local Newspapers' News Frame: Focus on Nuclear Waste Site Reporting)

  • 최낙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7권
    • /
    • pp.283-316
    • /
    • 2004
  • 본 연구는 국책사업인 핵폐기장 유치와 관련해 지역간 경쟁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적 이슈들을 해당 지역신문들이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뉴스프레임 분석을 통해 고찰했다. 연구대상인 광주일보, 매일신문, 전북일보의 뉴스기사 분석결과, 핵폐기장이라는 같은 사건에 대해 각각의 신문들이 사용하는 주요 프레임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우선 광주일보와 매일신문에서는 대항 프레임이 높게 사용되었으며, 이와 달리 전북일보에서는 지역발전 프레임이 가장 높게 집계되었다. 또한 헤드라인 주제어와 뉴스프레임 구성은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광주일보와 매일신문의 대항프레임 기사에서는 헤드라인 주제어로 핵폐기장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지역발전 프레임의 전북일보기사에서는 헤드라인 주제어로 방사성폐기장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부의 '양성자'와 '핵폐기장' 연계정책 발표 이후에도 광주일보와 매일신문에서의 뉴스 프레임은 그 이전과 비교하여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에 반해 전북일보에서는 연계 정책 발표 이후, 대항 프레임이 현격히 감소한 대신에 정책 프레임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동시에 전북일보의 헤드라인 주제어 사용에서 핵폐기장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방사성폐기장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전북일보는 헤드라인 주제어로 방사성폐기장을 즐겨 사용하여 핵폐기장의 부정적 이미지를 최소화하고, 핵폐기장 유치가 곧 지역발전이라는 여론을 조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언론이 구성한 세계가 현실 그 자체가 된다는 그간의 프레임 연구 결과들은 당시 전북 부안으로 핵폐기장 유치가 결정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한국 인터넷 신문기사에서 뜸 관련 의료정보 평가 (Evaluation of Moxibustion -related Health Information on Korean Internet News Coverage)

  • 강오석;박히준;김송이;이혜정;채윤병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89-199
    • /
    • 2009
  • Objectives : Despite the substantial amount of newspaper coverage related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on the internet in recent years, little is know about the quality of the health information. To evaluate health information of the newspaper articles on moxibustion available in Korea through Korean language search engines and Web sites. Methods : We searched 454 news stories about moxibustion between 1 January 2006 and 31 December 2008. Among them, 34 internet news coverage related to health information on moxibustion were selected and rated against eight categories by two individuals. Results :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two reviewers was assessed as 0.69, indicating a moderately high level of agreement. The overall rating score for 34 articles was 35.7${\pm}$17.2 for the statement criteria and 12.9${\pm}$17.0 for the satisfaction criteria. Overall, although they might be improving recently, the scores remain generally low.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newspaper coverage according to the type of evidence sources, including anecdotes. Conclusions : There is substantial variability in news reporting practices about moxibustion. It is urgently needed to enhance the information related to CAM including moxibustion through the news media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