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Local Newspapers' News Frame: Focus on Nuclear Waste Site Reporting

지역신문 뉴스 프레임 비교: 핵폐기장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 Choi, Nak-Jin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Cheju National University)
  • 최낙진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
  • Published : 2004.11.14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different news frames of local newspapers reporting the controversial 'Nu[lear Waste Site' issues which deeply split regions showing their intention to bid for the state affair. Three local paper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Gwang-Ju-Il-bo" "Mae-il-sin-mun" and "Jun-buk-il-bo." Overall, the three local papers displayed widely divergent main news frames on the same issue. Firstly, "Gwang-Ju-Il-bo", and "Mae-il-sln-mun" showed the strong tendency of using 'counter frame' while "Jun-buk-il-bo" exhibited 'loral development frame'. Secondly, "Gwang-Ju-Il-bo", and "Mae-il-sin-mun" were frequently headlined 'Nuclear Waste Site', while "Jun-buk-il-bo" carried headlines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Facility' overwhelmingly more often than the other two papers, indicating that headline key word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figuration of news frames. Thirdly, the main news frames remained consistent for "Gwang-Ju-Il-bo", and "Mae-il-sin-mun" even after the government's report about the possible connection of 'ion-beam irradiation-accelator' and 'Nuclear Waste Site.' On the other hand, "Jun-buk-il-bo" was significantly less headlined 'Nuclear Waste Site' while significantly more headlined "Radioactice Waste Management Facility." "Jun-Buk-il-bo" which is in stark contrast to the other two papers changed in its tone by increasing the 'local development frame' with decrease in the 'counter frame.' The "Jun-buk-il-bo"'s more frequent use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Facility' as a headline than "Nuclear Waste Management Equipment" is seen as its attempt to minimize negative image of Nuclear Waste and to promote favorable public opinion by highlighting aspects of economic benefits and the local development the construction would brind abou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support the claim that media overage ends up a reality. The fact that Buan in Jun-buk Province made a successful bid for the construction is not a coincidence.

본 연구는 국책사업인 핵폐기장 유치와 관련해 지역간 경쟁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적 이슈들을 해당 지역신문들이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뉴스프레임 분석을 통해 고찰했다. 연구대상인 광주일보, 매일신문, 전북일보의 뉴스기사 분석결과, 핵폐기장이라는 같은 사건에 대해 각각의 신문들이 사용하는 주요 프레임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우선 광주일보와 매일신문에서는 대항 프레임이 높게 사용되었으며, 이와 달리 전북일보에서는 지역발전 프레임이 가장 높게 집계되었다. 또한 헤드라인 주제어와 뉴스프레임 구성은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광주일보와 매일신문의 대항프레임 기사에서는 헤드라인 주제어로 핵폐기장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지역발전 프레임의 전북일보기사에서는 헤드라인 주제어로 방사성폐기장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부의 '양성자'와 '핵폐기장' 연계정책 발표 이후에도 광주일보와 매일신문에서의 뉴스 프레임은 그 이전과 비교하여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에 반해 전북일보에서는 연계 정책 발표 이후, 대항 프레임이 현격히 감소한 대신에 정책 프레임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동시에 전북일보의 헤드라인 주제어 사용에서 핵폐기장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방사성폐기장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전북일보는 헤드라인 주제어로 방사성폐기장을 즐겨 사용하여 핵폐기장의 부정적 이미지를 최소화하고, 핵폐기장 유치가 곧 지역발전이라는 여론을 조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언론이 구성한 세계가 현실 그 자체가 된다는 그간의 프레임 연구 결과들은 당시 전북 부안으로 핵폐기장 유치가 결정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