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아동과 청소년의 수치심과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또래압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Shame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on Peer Pressure)

  • 한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8호
    • /
    • pp.119-13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and effects of sham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peer press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9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from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2nd grade in middle school (187 boys, and 172 girls) in Daejeon 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gender and age played a significant role on the effects of sham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eer pressure.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ys' peer pressure, whereas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boys' peer pressure. The interaction effects of shame and open-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mothers worked differently on peer pressure across gender and age. Interaction effects of sham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and mothers were significant for boys, but not for girls. Interaction effect of shame and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was significa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암환자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자녀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간 TSL 태도의 조절효과: 청장년층과 중장년층의 비교연구 (Cancer Care-giver Burden On The Parents-Children Negative Communic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TSL Attitude -)

  • 김재엽;성신명;황호경;임지혜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77-106
    • /
    • 2016
  • 본 연구는 암환자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자녀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간 TSL(가족간의 긍정적 사고 및 행동)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암환자 주부양자의 부양부담 및 자녀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경우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므로 청장년층과 중장년층을 구분하여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2015년 4월부터 9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서울에 위치한 대형병원에서 암환자를 부양하고 있는 주부양자 199명이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자녀가 있는 163명을 최종적으로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청장년층의 경우 암환자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자녀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수 사이에서 가족간 TSL 태도는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장년층에서는 부양부담이 자녀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암환자 주부양자 및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시스템의 구축과 가족생활주기에 맞는 차별적인 개입 방안, 가족간의 긍정적 태도 형성을 위한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 실시를 제안하였다.

A Study on Impact of Game Addiction on the School Adjustment

  • Kim, Na-Y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29-135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game addiction has an impact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o verify the direct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children who were 5th and 6th graders in Gwangju and Jeonnam. The responses from 304 subjects were analyzed. The analytic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When verifying the impact of game addic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game addiction was found as the key variable that has a negative impa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higher levels of game addiction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e impa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was analyzed. The analytic results suggest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has a impact on their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higher parent-child Communication means higher school adjus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analyzed.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check the moderating effect of do game addic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가구 소득의 조절효과 (Predictors of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Incomes)

  • 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65-47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혼 가정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혼 가정 한부모의 지각된 사회적 차별 경험, 양육 어려움, 자녀와의 대화시간,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확인하고, 가구 소득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5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의 한부모 1,114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양육어려움(${\beta}=.354$), 인터넷 사용문제(${\beta}=.234$)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부모가 지각한 양육 어려움은 자녀와의 대화시간(${\beta}=-.192$),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218$)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beta}=.440$)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녀의 인터넷 사용문제는 부모의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beta}=-.199$)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부모가 지각한 차별 경험은 자녀와의 대화시간, 양육 어려움, 인터넷 사용문제를 매개로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beta}=-.167$)가 확인되었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가구 소득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계수의 크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이혼 후 자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는 한부모가 차별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문화 형성과 한부모의 양육 과정에 대한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가 중요하며, 한부모 가정 자녀의 인터넷 과다 사용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nd Children's Happiness)

  • 황연덕;이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3-236
    • /
    • 2012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styles of fathers and their children's happin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09 elementary school (225 5th, 6th graders) and middle school (284 1st, 2nd graders) students in Seoul and Jeonju city.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Barnes & Olson, 1982), the Korea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s (Moon, 2002), and the Happiness Inventory for Children (Lee, 2005).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bo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2.0 ver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a father's communication style on children's happiness wa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onclusio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has a mediating effect upon a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it relates to the happiness of their children.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 및 아동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Child's Sense of Identity and Peer Relationship)

  • 신희이;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3-46
    • /
    • 2009
  • In this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child's sense of identity, and their effects on child's peer relationships, a survey was conducted of 506 6th grade students in 3 elementary schools of Incheon City.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 girls had higher scores in academic identity and more positive factors in peer relationships than boys; when communic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ere more open, peer relationships were more positive and less negative; children with a stronger sense of identity had more positive factors in peer relationships; social identi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positive and general identi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negative peer relationships, respectively.

  • PDF

시각, 청각, 지적 여성장애인의 양육부담과 부모역할만족도와의 관계 : 자녀와의 의사소통 매개효과 (Cor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Disabled Females with Mental, Visual and Hearing Disability in Raising Children :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 전선영;이성규;정은주;김정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297-31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청각, 지적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부담과 부모역할만족도의 관계를 살피고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이들 사이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양육부담을 경감시키고 효과적인 부모역할 수행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조사는 서울지역 장애인복지관과 여성장애인 관련 단체의 협조를 통해 총 13개 기관에 300부를 배포하였고, 청각장애 여성은 자기기입방식으로, 시각과 지적장애 여성들은 조사원이 읽어주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210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는 187부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양육부담은 부모역할만족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직접적인 부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와의 의사소통은 양육부담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여성장애인의 양육부담을 감소시키고 부모역할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자녀와의 의사소통 기술을 보다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child's loneliness)

  • 김은경;이진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2
    • /
    • 2010
  • 본 연구는 전북 K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남녀 아동 588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용 자기보고 설문지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CI), 아동의 대인관계성향 척도, 아동의 외로움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아동의 외로움 수준은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은 약간 개방적인 경향을 보였다. 아동의 대인관계성향은 사교-우호적 성향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독립-책임감적, 동정-수용적 성향으로 나타나 대체로 긍정적인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외로움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대인관계성향의 하위변인들과도 대부분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수록, 사교-우호적 성향이 낮을수록 아동의 외로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아동이 외로움을 느끼지 않고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가정과 사회의 관심과 지원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장입양아 가족의 부모-자녀 애착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ogram to Improve Parent-Child Attachment in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 신혜원;정익중;민성혜;권지성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85-9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attachment improvement program for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is program reflected on the experiences of adopted par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older-age adoptee children with attachment disrup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parent-child relationship building, parenting skills enhancement for adopted parents, and negative emotions mediation for the older-age adoptees. The subjects of program were eight parent-child dyads.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dat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communication levels with parents, and the parents' autonomic levels. There was also a reduction in the children's social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roving parent-child attachments in families adopting an older child.

The Social Effects of Higher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The Rise of the "Pig Mum" phenomenon

  • Lee, Eugene;Calonge, David Santandreu;Hultberg, Patrik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70-93
    • /
    • 2019
  • The contemporary educational system in South Korea is built on high-stakes standardised tests, a manifestation of the national project of social reconstruction and reform. One recent outcome is the emergence of an unfamiliar yet ubiquitous phenomenon: the "pig mum"; a Korean parent who is fully involved in organising, schedul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cess from primary to secondary school for a group of children in a neighbourhood. Based on a quasimixed method utilizing a survey of a group of students and parents, this pilot study explores the "pig mum" phenomenon and its linkage to education policy.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current educational policy fails to achieve the ideals it professes to value. This creates deep and negative societal norms that endanger a growing generation of students by creating a parallel private education market environment where "pig mums" thr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