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child's loneliness

  • 김은경 (시소와그네 군산영유아통합지원센터 지역조직팀) ;
  • 이진숙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 투고 : 2010.09.20
  • 심사 : 2010.12.10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는 전북 K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남녀 아동 588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용 자기보고 설문지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CI), 아동의 대인관계성향 척도, 아동의 외로움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아동의 외로움 수준은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은 약간 개방적인 경향을 보였다. 아동의 대인관계성향은 사교-우호적 성향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독립-책임감적, 동정-수용적 성향으로 나타나 대체로 긍정적인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외로움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대인관계성향의 하위변인들과도 대부분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수록, 사교-우호적 성향이 낮을수록 아동의 외로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아동이 외로움을 느끼지 않고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가정과 사회의 관심과 지원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the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 child's loneliness. The participants were 588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Jeonbuk.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mean, frequency, percentile,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2.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children's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are more open that those of male children and have ostentation-narcism stronger than that of male childre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hildren's loneliness by sex. Second, it is indicated that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loneliness and it also has close relations with sub-variables in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ird, when investigating how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have influences on child's loneliness, they have influences on child's loneliness by the following order: social-friendly, mother-child communication, father-child communi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려옥(2005).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보연(2000). 대학신입생의 대인관계 문제유형과 그들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희(2005).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성향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광웅, 조유진, 정유진(2005). 어머니와의 애정적 유대가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인지조절 능력의 성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6(5), 379-389.
  5. 김기영(2009).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성향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호(1989).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자녀의 사회적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선희(2008).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조절양식을 매개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연(1997). 가족사정 척도개발과 타당성 검증.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순옥(1991). 10대자녀의 부모에 대한 의사소통개방성과 그 귀인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0. 김성해, 송순(2001). 아동기 외로움 관련변인 경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63-77.
  11. 김주미(2006). 부모와의 애정적 유대감과 또래관계 질에 따른 청소년의 외로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주연(2009). 부모의 양육행동, 또래관계의 질 및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지현(2006). 아동의 애착안정성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진경(2002).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기술과 또래관계의 질.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지(2003). 어머니와의 애정적 유대와 아동의 외로움 및 대인관계성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남연희(2008).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 대인관계성향 간의 관계분석. 강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노옥경(2003). 부모의 양육태도 및 의사소통과 자녀의 대인관계기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도현심(1996). 아동의 수줍음, 대인적응성 및 또래수용성과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33-45.
  19. 민하영, 유안진(1999). 학령이 아동이 자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대처행동이 부모관련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139(9), 1-12.
  20. 민하영(2002). 학령기 아동의 내외통제소재 및 또래-소외 상황에서의 대처행동과 외로움. 아동학회지, 23(3), 51-63.
  21. 민혜영(1990).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선영, 도현심(1998).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229-244.
  23. 변영주(1994).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 및 스트레스의 상호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송미현(2007). 부모의 애정-적대 양육태도가 자녀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신만철(1993). 아동기의 열등감 수준과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심혜영(1993). 고교생의 대인관계성향과 부모-자녀 대화개방도 간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심희옥, 김영미(2001).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 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1(4), 159-175.
  28. 송여옥(2002).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자녀의 대인관계성향에 관한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안범희(1985). 대인관계 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안상미(2006).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성,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갈등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오현미(1999). 아동의 외로움과 형제 및 친구관계의 질적 특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윤명주(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와 초등학생자녀의 또래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성수(2002).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외로움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승진(2007). 또래 관계 및 가족 기능과 아동 외로움 지수의 상관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예진(2008). 아동의 또래 괴롭힘 피해와 외로움의 관계에 대한 친구관계 질 및 대처전략의 중재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원규(2006).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 괴롭힘 피해 경험과 대처전략 및 외로 움과의 상관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임지영(1998).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외로움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장영수(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자아탄력성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유진, 김광웅(2006). 또래관계 및 어머니와의 애정적 유대가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8(2), 217-232.
  40. 정세용(1995). 부모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 국민학생의 지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영인(1988). 인기도에 따라 아동이 느끼는 외로움 및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탁정미, 이주희(2005).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7(1), 141-155.
  43. 황경미(1998).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Barnes, L. H. & Olson, D. H. (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circumplex model. Child Development, 56, 438-447. https://doi.org/10.2307/1129732
  45. Bornstein, R. F. & O' Neil, R. M. (1992). Parental perception and psychopathology.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0.
  46. Bullock, J. (1993). Children''s lonelines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peers. Family Relations, 42, 46-50. https://doi.org/10.2307/584920
  47. Cassidy, L. & Asher, S. R. (1992). Loneliness and peer relations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3, 350-365. https://doi.org/10.2307/1131484
  48. Cervantes, Christi A, Callanan, Maureen A. (1998). Labels and explanations in mother-child emotion talk: Age and gender differenti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4(1).
  49. Chipuer, H. M. (2001). Dyadic attachments and community connectedness: Links with youths' loneliness experience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 429-444. https://doi.org/10.1002/jcop.1027
  50. Henwood, P. G. & Solano, C. H. (1994). Loneliness in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5, 35-45. https://doi.org/10.1080/00221325.1994.9914756
  51.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 In P. H. Mu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New York: Wiley.
  52. Junttila, N. & Vauras, M. (2009). Loneliness among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Scandinavian Journal Psychology, 50, 211-219. https://doi.org/10.1111/j.1467-9450.2009.00715.x
  53. Kerns, K. A., & Stevens, A. C. (1996). Parent-child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Links to social relations and personalit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5(3).
  54. Larose & Boivin. (1998). Attachment to parents, social support expectations,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 during the high school-college transition.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8(1), 1-27. https://doi.org/10.1207/s15327795jra0801_1
  55. Lieberman, M., Doyle, A., & Markiewicz, D. (1999). Developmental patterns in security of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in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Associations with peer relations. Child Development, 70, 202-213. https://doi.org/10.1111/1467-8624.00015
  56. Maccoby, Eleanor E. (1990). Gender as a social category.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0, 25.
  57. Marturano, E. M., Ferrerira, M. D. T., & Bacarji, K. M. G. (2005). An evalution scale of family environment for identification of children at risk of school failure. Psychological Reports, 96(2), 307-321. https://doi.org/10.2466/pr0.96.2.307-321
  58. Melson, G. F. & Fogel, A. (1987). Children's Expressions of Nurturance in Everyday Life. Biennial meetings-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ral development, 76.
  59. Moore, D. & Schult, N. R. (1983). Loneliness and adolescence: Correlates, attributions, and coping.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2, 95-100. https://doi.org/10.1007/BF02088307
  60. Peplau, L. A. & Perlman, D. (1982). Perspectives on loneliness. In L. A. Peplau, & D. Perlman,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1-8.
  61. Rusell, D. W.,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m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https://doi.org/10.1037/0022-3514.39.3.472
  62. Jimenez, T. I., Musitu, G., & Ramos, M. J. (2009). Community involvement and victimization at school: An analysis through family, personal and social adjustment,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7, 8, 959-974. https://doi.org/10.1002/jcop.20342
  63. Vauras, M. & Junttila, N. (2007). Children''s loneliness, social competence, and school success: The role of the family. Scientific Annals of the Psychological Society of Northern Greece, 5, 1-16.
  64. Weiss. R. S. (1982). Issues in the study of loneliness. In L.A. Peplau and D. Perman(Eds.). Loneliness: A source books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71-80. New York: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