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plants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29초

꼬리진달래의 조경수목화를 위한 기초연구(1) : 자생지의 생육환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ild Rhododendron micranthum for being used as Landscape Plant)

  • 이기의;유근창;이병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1-46
    • /
    • 1989
  • 꼬리진달래는 상록활엽관목으로 내음성이 강하고 꽃이 아름다운 수종이어서 조경수목으로 개발할 가치가 매우 크다. 본 조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꼬리진달래는 음지식물이며 대기습도가 높은 곳을 선호하며, 자생지토양은 산성이 강한 척박지이다. 2. 자생지의 방위는 대부분 북향에서 동북향이다. 3. 표고가 낮은 (230m 내외) 지역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다. 4. 자생지의 식생조사 결과는 소나무와 꼬리진달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군집 속에는 팥배나무와 원추리 아군집, 산딸기나무 아군집, 호랑버들 아군집이 나타났다. 5. 자생지의 식생율은 0∼80%였고 출현종수는 27종에서 50종까지 나타났다.

  • PDF

한국의 자생 난과식물에서 난균근균(蘭菌根菌)(Orchid Mycorrhizal Fungi) 분리 (Isolations of Orchid Mycorrhizal Fungi from the Korean Native Orchid Plants)

  • 이상선;유희균;백기엽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2호통권81호
    • /
    • pp.101-110
    • /
    • 1997
  • 현재 원예계에서 난의 재배는 중요한 품목이며, 화훼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우리 나라의 5개 자생지에서 채집한 춘란과 난 농원에서 조직 배양하여 재배한 심비디움류의 뿌리에서 공생하는 균을 분리하고, 또한 염색하여 현미경 관찰을 하였다. 난의 뿌리세포에 침투한 균은 읽히고 꼬인 정도가 다양한 균구를 형성하였다. 균구를 이루는 균사들의 직경은 가느다란 것에서 굵은 것까지 다양했고, 소화 단계상 다양한 균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난 뿌리속에 있는 내생균근균을 순수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R. repens와 R. endophytica var. endophytica로 동정하였다. 이들의 균을 제주한란과 오트모론을 이용하여 공생관계를 측정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동양란과 서양란의 접종하여 개체당 생체량의 증가율을 측정하였을 때 난균근균에 감염된 실험구의 난이 모두 대조구의 난보다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자생란인 보춘화에서 분리된 R. repens가 난과식물에 대해 공생 능력이 있는 난균근균임을 확인하였다.

  • PDF

강원도 내 가로수와 가로녹지대 초화류의 식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lanting Characteristics of Street Trees and Herbaceous Plants in Gangwon-do)

  • 정진형;이기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5호통권112호
    • /
    • pp.57-68
    • /
    • 2005
  • This study surveyed planting areas along streets in Gangwon-do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planting and use of street trees and herbaceous plants. There were 301,491 trees of 41 species on the streets of Gangwon-do in 2004. The predominant species of street trees were Ginkgo biloba ($40\%$), Prunus spp. (Prunus yedoensis and Prunus sargentii) ($25\%$), Platanus occidentalis ($5\%$), followed by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Zelkova serrata, Prunus armeniaca var. ansu, Acer palmatum, and Pinus thunbergii. Eighty-four herbaceous plant species were found in the Youngseo district (the southern area of Gangwon-do);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was 51:33.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Cosmos bipinnatus, Petunia hybrida, Tagetes spp., Aster koraiensis, and Fagopyrum esculentum. Eighty-nine herbaceous plant species were found in the Youngdong district (the eastern area of Gangwon-do);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was 55:33. The predominant herbaceous plants were Aster koraiensis, Tagetes spp., Petunia hybrida, Rudbeckia bicolor, Cosmos bipinnatus, Salvia splendens, Brassica oleraceae var. acephala,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ala, Coreopsis drummondii, Viola tricolor, and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Appropriate pruning adds to the aesthetic value of trees and prolongs their useful life; it also maintains good health and thereby reduces the need to control insects and diseases. Street trees had not been properly pruned due to the presence of power lines and a shortage of pruning information. The pruning was controlled by Korea Electric Power Company, which has no pruning information. Pruning must be maintained by a professional landscape company in order to maintain good shape, such as that which is done for bonsai. In order to improve the planting, use and maintenance of landscape plants in Gangwon-do,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street tree species should be diversified, suitable street trees should be selected for each space, native species should generally be used, trees should be appropriately pruned and properly fertilized, pests and diseases should be controlled, plantings should be done in multiple layers, spatial arrangements should be improved, larger trees should be planted, and drainage and underground electric wires should be considered when planting.

자생식물 추출물의 모기 및 집파리에 대한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native plant extracts against Culix pipiens pallens and Musca domestica)

  • 경석헌;윤영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6-50
    • /
    • 1999
  • 민들레를 비롯하여 약용식물 9종 메탄올 추출물의 빨간 집모기, 집파리 유충 및 성충에 대한 살충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유충에 대하여는 솔(Pinus densiflora)잎, 고삼(Sophora angestifolia) 뿌리 등이 효과가 좋았다. 파리유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잎 및 부추전초의 메탄올 추출물이 아주 높았으며, 백부근(Stemonae sessilifolia) 뿌리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집파리(Musca domestica) 성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크지 않았다.

  • PDF

광해지역 토착 자생식물에 의한 중금속 흡수 (Heavy Metal Uptake by Native Plants in Mine Hazard Area)

  • 최형욱;최상일;양재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3호
    • /
    • pp.27-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 search of native plant species showing metal-resistant property and excessively accumulating heavy metals in metal-contaminated soil or abandoned mines as well as in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phytoremediation. In the study area, species showing excessively accumulating heavy metals were a shepherd´s purse, pampas grass, a Korean lettuce, a Hwansam vine, the Korean persicary, a foxtail, a goosefoot, and a water pepper. The first screened plant species in Sambo mine were as shepherd's purse, Korean lettuce and pampas grass Among them the shepherd´s purse can be excluded because it is a seasonal plant and has lower removal capacity for heavy metals. The Korean lettuce was also excluded because of having lower removal capacity for heavy metals. Pampas grass is a highly bionic plant species constantly growing from spring. However it has weak points such as little accumulation capacity for zinc as well as small values of an accumulation factor and a translocation factor. Another problem is regarded as removal of roots after the clean up if pampas grass is applied to a farmland. In Sanyang mine, wormwood and Sorijaengi were considered as adaptable species.

자생수목의 종자를 이용한 절개지의 복원 -THE EAST VALLEY C.C 사례를 중심으로- (Restoration of the Cut-slopes by Native Plant Seeding -Application on the Rock Exposed Cut-slopes at East Valley Country Club-)

  • 김재준;이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70-7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nvironmental restoration methods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ock exposed steep cut-slopes using native woody plants seeds by the hydro-seeding with artificial soil media.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Quercus spp. seeded after seed treatment germinated over 80% and most of them grew well until one year. So, Quercus spp. can grow at the extremely dry rock exposed slopes revegetated by hydro-seeding with soil-fertilizer-seed mixed media. 2. The germinated seedlings grew well at the slopes oriented southeast. But in case of the survival ratio of the germinated seedlings, northwestward slopes was the best. 3. In case of the using pot seedlings of th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it shows more beautiful scenery than the area using cool-season grasses. 4.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lbizzia julibrissin, Quercus spp. and Lespedeza crytobotrya can be useful at the restoration and revegatation of the cut-slopes. 5. At the results of the seed mixture experiment, cool-season grasses covered the ground quickly, but slowly germinated Quercus spp. and Lespedeza crytobotrya formed under story vegetation. Also, Albizzia julibrissin formed upper story vegetation will be replaced by Quercus spp. slowly.

울릉도의 섬자리공 분포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Native Phytolacca insularis in Ulleung Island)

  • 안영희;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ative Phytolacca insularis in Ulleung Island for thei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P. insularis, called as "Sum-Ja-Ri-Gong", is very rare plant which is only restricted in Ulleung Island. It is a plant out of 217 endangered plant specie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1996). The native sites were discovered several plants in the small communities at the area from 32m to 116m above the sea level in the seashore of Ulleung Island. The average vegetation height of herb layer in the native sites was 0.77m and average coverage percentage of vegetation layer was 75.56%. Average 11.89 species were emerged on a plot. P. insularis has a tendency to emerged with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and Artemisia lavandulaefolia community.

제주 미천동굴 고사릿과 자생식물의 생태 고찰 (I) (Ecological Contemplation on Native Plant of Bracken at Micheon Cave in Je-ju Island)

  • 소대화
    • 동굴
    • /
    • 제88호
    • /
    • pp.31-37
    • /
    • 2008
  • There are many beautiful volcano caves in Je-ju island which is biggest volcanic island in Korea. The typical volcano caves are ManJang-gul, HyupJe-gul and MiCheon-gul, etc. Among them the MiCheon-gul name is originated from the beautiful things of cave which were more than thousands in there. This MiCheon-gul cave has another feature in special. It is about a native plant bracken living among the various live creatures and plants in MiCheon-gul cave, however, it is growing contrary under the vertex of the cave grown at retro-gravity, as one of the famous things of the proud cave. Therefore, it was contemplated and investigated on the habitat of a mode of life and ecological adaptation on the native plant of bracken include the geomorphic and geographic features of the MiCheon-gul cave.

강원도 지역의 조경식물의 식재현황 분석 (Analysis of Landscape Planting in Gangwon-do)

  • 이재윤;박준석;김혜란;김동엽;노희선;이기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3-126
    • /
    • 2011
  • 강원도내 초 중 고 총 632개교의 교화와 교목을 조사한 결과, 교목의 종수는 45종이었으며, 이 중 자생종이 35종이고, 외래종이 10종이었다. 영서지방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교목은 향나무,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주목 순이었다. 영동지방에서도 향나무, 소나무, 전나무, 주목, 은행나무, 해송의 순이었다. 교화는 총 43종이었으며, 이 중 자생종이 22종이고, 외래종이 21 종이었다. 영서지방에서 많이 지정하고 있는 교화는 장미, 개나리, 철쭉, 목련, 진달래의 순이었으며, 영동지역에서는 개나리, 장미, 목련, 백일홍, 철쭉, 국화, 해당화의 순이었다. 강원도 시 군에서 지정한 꽃과 나무는 총 19종으로 꽃은 12종이고, 나무는 7종이었다. 종별로는 은행나무가 7개 시 군에서, 도화인 철쭉이 5개 시 군에서, 도목인 잣나무가 5개 시 군에서, 주목은 3개 시 군에서 지정되었고, 개나리, 함박꽃나무, 살구나무 등이 각각 2개 시 군에서 지정되었다. 강원도 영서지역에 식재된 수목은 87종에 약 619,835주였으며, 많은 시 군에서 선호하는 수종으로는 소나무, 왕벚나무, 산벚나무, 산수유, 돌배나무, 산철쭉, 단풍나무, 잣나무, 주목, 무궁화, 개나리, 느티나무, 복자기 등이었다. 단일종으로 가장 많이 심겨진 수종은 개나리, 무궁화, 산철쭉, 자작나무, 자산홍, 쥐똥나무 등의 순이었다. 전체 87종 중에서 자생종이 56종이고, 외래종이 31종이었다. 영동지방에 심겨진 목본류는 총 77종에 914,668주였으며, 이 중 52종이 자생종이고, 외래종이 25종이었다. 시 군에서 선호하는 주요 수종은 곰솔, 영산홍, 철쭉, 무궁화, 왕벚나무, 소나무, 수수꽃다리, 산철쭉, 해당화, 산벚나무, 장미, 향나무, 사철나무, 개나리, 이팝나무, 단풍나무, 모과나무 등이었다. 단일종으로 가장 많이 심겨진 수종으로는 해당화, 무궁화, 영산홍, 개나리, 산철쭉, 벚나무, 사철나무 등의 순이었다.

폐석탄광산지역에 적용가능한 자생식물종의 중금속 흡수능력 평가 (Evaluation of Heavy Metal Absorption Capacity of Native Plant Species in an Abandoned Coal Mine in South Korea)

  • 양금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290-298
    • /
    • 2021
  • 본 연구는 장기간 중금속 오염에 노출된 폐 석탄매립지의 토양 및 자생식물을 조사하고 온실 재배 실험을 통해 자생식물의 중금속 축적 능력을 평가하여 식물정화 기술 적용 가능성을 위해 수행되었다. 강원도 정선 화절령에 위치한 폐 탄광 주변에서 자생하는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 지역에 생육하는 동일속의 자생식물 2 종 (Carex breviculmis. R. Br.,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과 일반적으로 분포하는 식물 3 종 (Artemisia japonica Thunb.,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및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을 온실에서 인공적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12 주 동안 재배하였다. 비소와 납으로 오염된 토양은 각각 25, 62.5, 125, 250 mg kg-1의 비소 농도 구배와 200, 500, 1000, 2000 mg kg-1의 납 농도 구배로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비소 고농도 처리 (125 및 250 mg kg-1)로 5 개 식물이 모두 죽었고, 일부 식물은 2,000 mg kg-1 납농도 처리토에서 죽었다. 식물 이동계수는 비소 처리에서 H. hakuunensis에서 가장 높았고 납 처리에서는 A. japonica에서 각각 가장 높았다. 생물 축적계수는 비소 처리에서 모든 식물종에서 1 이상이었고 H. hakuunensis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모든 식물종은 납 처리에서 1 미만이었다. 특히 2000 mg kg-1 농도 납 처리에서 A. japonica는 1000 mg kg-1 이상의 납을 축적하여 납 과다 축적 물질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결론적으로 A. japonica와 H. hakuunensis는 비소 중금속 축적이 뛰어났고 S. koriyanagi는 납 축적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위의 3 가지 자생식물은 식물정화 기술에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