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Landscape Planting in Gangwon-do

강원도 지역의 조경식물의 식재현황 분석

  • Received : 2011.02.14
  • Accepted : 2011.04.07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planting and use of landscape plants in Gangwon-do. The designated plants by schools and cities in Gangwon-do were survey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planted trees on streets, public parks, schools, etc. in 2009. There were 45 tree species and 43 flower species designated as school trees and school flowers at 632 schools in Gangwon-do. The majority of school tree species were Juniperus chinensis, Pinus densiflora, Abies holophylla, Ginkgo biloba,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Zelkova serrata, and Pinus thunbergii.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was 35:10. The majority of school flower species Rosa centifolia, Forsythia koreana, Zinnia elegans, Rhododendron mucronulatum, Chrysanthemum morifolium, and Rosa rugosa.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the exotic was 22:21. There were 12 flower species and 7 tree species designated as city trees and city flowers in 18 cities and guns. The high frequency flower species wer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sythia koreana, Magnolia sieboldii, and Prunus armeniaca var. ansu. The high frequency tree species were Ginkgo biloba, Pinus koraiensis, and Taxus cuspidata. There were 87 woody landscape tree species planted, and a total of 619,835 landscape plants were planted in Youngseo region (western part of Gangwon-do) in 2009.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species was 56:31. The majority of landscape trees planted were Pinus densiflora, Prunus yedoensis, Prunus sargentii, Comus officinalis, Pyrus pyrifoli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Hibiscus syriacus, Forsythia koreana, Zellkova serrata, Acer triflorum, Rhododendron obutusum, and Ligustrum obtusifolium A in 2009.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the exotic was 64:36. There were 77 woody landscape tree species planted, and a total of 914,668 landscape plants were planted in Youngdong region (eastern part of Gangwon-do) in 2009. The ratio of native species to exotic was 52:25. The major landscape trees planted were Pinus thunbergii, Rhododendron lateritium, Rhododendron schlippenenbachii, Hibiscus syriacus, Prunus yedoensis, Pinus densiflora, Syringa dilatat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Rosa rugosa, Prunus sargentii, Rosa centifolia, Juniperus chinensis, Euonymus japonica, Forsythia koreana, Chionanthus retusus, Acer palmatum, and Chaenomeles sinen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dscape plants need to be diverse in species in each region of Gangwon-do. Selection of suitable plants for each region and the use of native species need to be emphasized.

강원도내 초 중 고 총 632개교의 교화와 교목을 조사한 결과, 교목의 종수는 45종이었으며, 이 중 자생종이 35종이고, 외래종이 10종이었다. 영서지방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교목은 향나무,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주목 순이었다. 영동지방에서도 향나무, 소나무, 전나무, 주목, 은행나무, 해송의 순이었다. 교화는 총 43종이었으며, 이 중 자생종이 22종이고, 외래종이 21 종이었다. 영서지방에서 많이 지정하고 있는 교화는 장미, 개나리, 철쭉, 목련, 진달래의 순이었으며, 영동지역에서는 개나리, 장미, 목련, 백일홍, 철쭉, 국화, 해당화의 순이었다. 강원도 시 군에서 지정한 꽃과 나무는 총 19종으로 꽃은 12종이고, 나무는 7종이었다. 종별로는 은행나무가 7개 시 군에서, 도화인 철쭉이 5개 시 군에서, 도목인 잣나무가 5개 시 군에서, 주목은 3개 시 군에서 지정되었고, 개나리, 함박꽃나무, 살구나무 등이 각각 2개 시 군에서 지정되었다. 강원도 영서지역에 식재된 수목은 87종에 약 619,835주였으며, 많은 시 군에서 선호하는 수종으로는 소나무, 왕벚나무, 산벚나무, 산수유, 돌배나무, 산철쭉, 단풍나무, 잣나무, 주목, 무궁화, 개나리, 느티나무, 복자기 등이었다. 단일종으로 가장 많이 심겨진 수종은 개나리, 무궁화, 산철쭉, 자작나무, 자산홍, 쥐똥나무 등의 순이었다. 전체 87종 중에서 자생종이 56종이고, 외래종이 31종이었다. 영동지방에 심겨진 목본류는 총 77종에 914,668주였으며, 이 중 52종이 자생종이고, 외래종이 25종이었다. 시 군에서 선호하는 주요 수종은 곰솔, 영산홍, 철쭉, 무궁화, 왕벚나무, 소나무, 수수꽃다리, 산철쭉, 해당화, 산벚나무, 장미, 향나무, 사철나무, 개나리, 이팝나무, 단풍나무, 모과나무 등이었다. 단일종으로 가장 많이 심겨진 수종으로는 해당화, 무궁화, 영산홍, 개나리, 산철쭉, 벚나무, 사철나무 등의 순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청(2008)산림정책과 산불방지계.
  2. 이기의,이우철,조현길(1988)강원도내 조경식물의 배식과 이용.한국조경학회지 15(3):33-50.
  3. 이기의,이우철,김종화(1985)한국산 에델바이스속에 관한 연구.한국원예학회지 26(1):29-36.
  4. 조무현,민경현(1973)조경수목의 개발을 위한 야생식물 특성조사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창간호:22-24.

Cited by

  1. Current Status of Standardization of Inhalant Allergen Extracts in Korea vol.6, pp.3, 2014, https://doi.org/10.4168/aair.2014.6.3.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