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학생의 성취수준별 특징 분석: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cused on Chemistry)

  • 최원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27-137
    • /
    • 2013
  •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성취수준별 특징을 조사하였다. 성취수준별 대표 문항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았다. 우수학력 학생들은 현상의 변화를 물질의 특징과 모형을 함께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보통학력 학생들은 단순한 상황에 한정하여 모형을 활용하여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기초학력 학생들은 모형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여 물질 현상을 모형을 이용하여 설명하지 못했다.

200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I) -수학과의 성취수준 비율을 중심으로-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2 - The Result Analysis of Achievement Levels in Mathematics -)

  • 조영미;이봉주;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3호
    • /
    • pp.301-312
    • /
    • 2004
  • 이 논문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02년에 실시하고 이듬해인 2003년에 분석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결과 보고 내용 중에서 특별히 성취수준과 관련된 부분을 요약한 것이다. 이 성취도 평가에서는 ‘수정된 앙고프 방법’을 도입하여 성취수준을 합리적으로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그렇게 설정된 성취수준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력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평가 영역, 성, 지역별로 각 학년급의 성취수준 비율을 제시하고, 이로부터 교육정책과 수학교육과정에 관련된 제언을 하였다.

  • PDF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지역 규모별 특성 분석 -2010년, 2011년 초등학교 수학과 결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mong regional scales : Based on the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results in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 조윤동;조성민;최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03-317
    • /
    • 2013
  • Recently in South Korea, various methods are followed in decreasing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 and social classes through school education. The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ntends to strengthen responsibility of school education and manage quality of curriculum. Besides, the NAEA intends to bridge achievement gap which is one of educational gap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bility to guarantee basic academic ability. There is not much research about the educational gap among regional scales. Therefor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mong regional scales closely, we analyse the 2010, 2011 NAEA results in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and explore characteristics of items which have sharp differences between local population s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s been showed that the educational gap between 'big-sized cities' and 'small and midium-sized cities' has been increased, but the overall educational gap among regional scales has been decreased.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10 to 2012)

  • 이광상;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37-25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 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수학 학업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 추이 분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The Trend of Gender Differences in Variability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n Mathematics)

  • 이봉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3-288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수학 성취도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국내 성차 분석 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은 변산도 측면에서의 성차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각 학교급 성취도의 변산도에서 성차를 분석하였다. 먼저, 변산도 지수 중의 하나인 분산에서 성차를 분석한 결과, 세 학교급에서 모두 남학생 점수의 분산이 여학생 점수의 분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동일한 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 표본을 통한 상급학교 진학에 따른 학업성취도 변산도 추이 변화로부터 대체적으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수학 점수의 변산도가 더 커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학교급의 우수학력 수준과 기초학력미달 수준에서 남학생 비율이 대체적으로 여학생 비율보다 더 높았다.

  • PDF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성별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the Gender Differenc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 고정화;도종훈;송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79-200
    • /
    • 2008
  • 이 논문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 결과 나타난 수학과 성취도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성별에 따라 수학성취도 결과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전체 검사점수(척도점수)의 성차와 문항 정답률의 성차를 통해 연도별, 학교급별, 내용 영역별 특징을 살펴본다. 더 나아가 남녀 학생 간 성취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 문항내용의 심층 분석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성별 성취도 차이의 원인을 분석한다.

  • PDF

수학과 교수.학습 시사점 도출을 위한 2010, 2011년 국가수준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내용 비교 분석 (Analysis of Item Contents of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t elementary school for deduction of suggestions to the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 조윤동;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4호
    • /
    • pp.395-413
    • /
    • 2012
  •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s important standard reference to become the basic data for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ed and the educational policies put in force presently and preparing the new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ies. In this paper, we looked into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alibrated score of whole group and male/female students, the correct answer ratio of each performance level and the correct answer ratio of each content domain, etc. in the results of NAEA at 6th elementary school. The analytic objects are 2010 and 2011 NAEA that are changed into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the standard reference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new calibrated score is applied to. And we analysed and compared correct answer ratio of the each content domain and each item to conform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these informations, we investigated that here is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and trends to the whole group and what kind of suggestions to the teaching-learning. And we were going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needs to understand which content of mathematics is needed and which thinking methods are needed.

수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및 예시 평가도구 개발 연구 -국민공통교육기간을 중심으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최승현;황혜정;신항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45-162
    • /
    • 2002
  •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seven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specify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and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also developed to differentiate students' levels of achievement at school mathematics.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on the following guidelines; 1) to present the minimum standard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2) to develop the standards based on the order of curriculum, 3) to suggest the minimum but ultimate achievement target, 4) to comprise not only of the intellectual but also of psychological spheres such as knowledge, function, attitude, aptitude, etc., and 5) to suggest the standards comprehensively and concretely. The standard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middle areas of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order not to be too comprehensive, nor to be too detailed. Learn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were provided for the assistance of instructions with emphasis on creativity rather than on the routine instruction.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following principles; 1) to establish the assessment methods, contents, and situations which are to be used for assessment, 2)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classifying the assessed into the upper, intermediate and lower levels, 3) to develop the assessment standards in a proportionate balance to achievement standards, 4) to establish the intermediate level as a standard, and 5) to establish the minimum level in the contents, concepts, values and attitudes of basic learning.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exemplary test items including short-answer and open-ended questions while putting emphasis on students' real performance to increase their ability in solving problems rather than in calculating. In addition to the test items, it introduced the grading system developed to grade the items with concrete guidelines and to report students' achievement on doing mathematics.

  • PDF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Characteristics by Achievement Standard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이재봉;구자옥;최원호;심규철;신명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73-483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시행된 2015~2018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84개에 대한 숙달여부를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등)로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정보, 정답률 등을 활용하고, 포커스 그룹을 이용하여 숙달여부 판정에 대한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84개의 성취기준 중에 숙달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성취기준은 15개였다. 성취수준별로 보면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한 성취기준은 6개였으며, 우수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38개, 보통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3개, 기초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개였다.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하였거나 우수학력 학생들만 숙달한 성취기준이 전체 성취기준의 절반 이상이므로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운동과 에너지,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의 개수가 비슷하였으나, 물질과 생명 영역에서는 우수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고 특히 생명 영역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우수학력에 해당하였다. 우수학력 학생들도 성취하기 어려운 6개의 성취기준은 대부분의 학생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조정하거나 학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보급할 필요가 있다.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chievement and Student-related Variabl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6)

  • 최원호;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48-859
    • /
    • 2008
  •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3%를 표집하여 2006년에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학생들의 과학과 성취도와 학생 관련 배경변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부모와의 대화 정도가 많을수록, 방과 후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책을 많이 읽을수록, 자기조절 학습정도, 학교 생활 적응 정도, 과학 수업 충실도, 과학 수업 이해 정도,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과학 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을 묻는 설문 결과에서 현재 학교 현장에서 주도하는 교육 풍토가 입시 위주임을 알 수 있었으나, 학생 관련 배경 변인에 대한 전반적인 결과에서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향상을 위해 단지 공부만을 강조하는 외적 동기 위주의 자극보다는 흥미나 과학에 대한 태도, 학습 방법, 인간관계 등 내적인 동기를 자극하는 접근이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