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ingenin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5초

Elfvingia applanata 엑스의 항균력 및 Naringenin과의 병용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Elfvingia applanata Extract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Naringenin)

  • 천준희;이순옥;임교환;어성국;이종길;한성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53-160
    • /
    • 1995
  • 담자균류의 하나인 잔나비걸상 자실체로부터 얻은 수성엑스의 항세균 시험과 항진균 시험을 액체배지 희석법으로 실시하고 naringenin과의 병용시험을 checkerboard assay 법으로 평가하였다. 항세균 시험결과 전반적으로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해 비교적 양호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사용된 균주중 그람음성균인 Proteus vulgaris 78615는 MIC가 1.125 mg/ml로 가장 양호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11종의 균주에 대해 실시된 항진균 시험결과 Candida albicans, Fusarium spp. 그리고 Trichophyton mentagraphytes의 MIC가 7.5 mg/ml로 다른 균주에 대한 항진균 효과보다 두배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naringenin과의 병용시험에서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에 대하여 부분적 상승효과를 나타내었고, Klebsiella pneumoniae ATCC 10031과 Salmonella typhi ATCC 6229 두 균주에서 상가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Bacillus subtilis ATCC 6633을 비롯한 7종의 균주에서 무관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길항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LPS로 유도된 RAW 264. 7 대식세포에서 Naringenin-7-O-phosphate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effect of naringenin-7-O-phosphate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 홍혜현;박태진;최병민;이유정;김승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6-52
    • /
    • 2023
  • 플라보노이드는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중요한 식물 2차 대사 산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naringenin (NN)은 자몽에 가장 풍부한 플라바논의 하나로 간 보호, 항지질 과산화 및 항암 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우리는 이전 연구에서 biorenovation 기법을 NN에 적용하여 naringenin-7-O-Glucoside(prunin), naringenin-7-O-phosphate (N7P), 6''-O-Succinyl prunin과 같은 3가지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그 중 생물학적 및 물리화학적 특성이 보고되지 않은 N7P가 NN보다 45배 증가한 수용해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7P의 추가적인 생리활성 조사하고자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N7P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에서 유효한 inducible NO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COX-2) 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이들의 발현 경로를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nitric oxide (NO) 및 prostaglandin E2 (PGE2)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뿐만 아니라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와 interleukin-6 (IL-6)의 발현 또한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N7P가 다양한 염증 인자를 표적으로 하는 항염증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당 분해효소를 이용한 감귤 Flavonoid 무배당체 함량의 증가 (Increase of Bioactive Flavonoid Aglycone Extractable from Korean Citrus Peel by Carbohydrate-Hydrol-ysing Enzymes)

  • 안순철;김민수;이선희;강주형;김보혜;오원근;김보연;안종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8-294
    • /
    • 2005
  •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flavonoid 화합물이 감귤에 비활성 형태의 배당체 화합물로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비활성 형태의 flavonoid 물질을 활성 형태의 flavonoid 무배당체 물질로 변환 시켜 활성 형태의 flavonoid 화합물을 증가하고자 하였다. 무배당체 화합물로 전환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당 분해효소 중 amylase가 주성분인 AMG 300L, pectinase가 주성분인 Pectinex 100L 및 cellulase, $\beta$-glucosidase, xylanase가 주성분인 Viscozyme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처리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한 무배당체 화합물의 함 량을 증가할 수 있었다. 감귤에 함유되어 있는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은 naringenin이 $100\∼200\;ng/g$(감귤건조중량), hesperetin이 1$100\∼220\;ng/g$(감귤건조중량) 정도이었으나 당분해효소를 처리한 감귤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형 flavonoid 화합물인 naringenin이 $1539\∼6674\;ng/g$(감귤건조중량), hesperetin이 $1974\∼8906\;ng/g$(감귤건조중량)으로서 본 실험 결과를 통해 감귤 추출물의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을 약 $10\∼80$배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당 분해 효소에 의한 무배당체로의 최적 전환조건으로는 당 분해 효소의 $5\%$ 첨가, pH $5\∼7$이었으며 효소 반응 시간으로는 $24\∼48$시간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의해 제조된 감귤 조성물에는 생리활성이 우수한 활성형의 무배당체 flavonoid인 naringenin과 hesperetin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식품, 가공 식품의 식품 원료나 사료 첨가제 의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품종 간 수용성 비타민과 폴리페놀계 성분 함량 변이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oluble vitamins and polyphenolic compounds in tomato varieties (Solanum lycopersicum L.))

  • 김다은;손병구;최영환;강점순;이용재;제병일;박영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78-89
    • /
    • 2020
  • 기능성 성분이 향상된 토마토 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성분 정량분석법과 토마토 유전자원 간 대사성분 변이에 대한 정보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유전자원23개 계통과 12개 상용 F1 품종을 이용하여 수용성 비타민 7종(vitamin C, B1, B2, B3, B5, B6, B9)과 폴리페놀계 성분 5종(quercetin, rutin, kaempferol, myricetin, and naringenin chalcone)에 대한 함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HPLC와 LC-MS 분석 결과, 수용성 비타민과 폴리페놀계의 주요 성분으로 vitamin C와 naringenin chalcone이 각각 검출되었으며 품종 간 높은 수준의 함량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vitamin B1, quercetin 과 kaempferol은 전 품종에 있어 함량이 가장 낮았다. 대사성분 함량과 토마토 과실특성 간 상관관계에 있어 서 과크기(과중)와 높은 유의성이 관찰되었는데 대부분의 성분에 있어 방울토마토 품종이 완숙용 토마토 품종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하지만 naringenin chalcone을 제외하고 대사성분과 과색 간의 상관관계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결과는 토마토 육종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사성분 정량분석법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기능성 성분 고함량 육종소재 선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tection of Radiation induced Somatic Damage by the Reduction of Oxidative Stress at Critical Organs of Rat with Naringenin Administration

  • Park, Ji Eun;Kang, Seong Hee;Kim, Hyun Mi;Kim, Suk Hee;Kang, Bo Su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29-834
    • /
    • 2016
  • Free radicals originate due to the radiolysis of cytoplasmic water with low "Linear Energy Transfer" (LET) radiations. Naringenin (Ng) is a natural antioxidative compound found in citrus fruits. This study revealed that Naringenin (Ng) reduced the radiation damage of critical organs by scavenging oxidative free radicals. In the study, Ng was orally administrated to rats daily for 7 consecutive days, prior to whole body exposure to gamma-rays. The scavenging efficacy was evaluated biochemically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ytotoxic byproducts and the activity of enzymes relevant to oxidative free radicals, after extracting the organs from the exposed rat. We observed increased levels of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 and decrease in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in the exposed control group. However, pretreatment with Ng significantly reduced the MDA concentration, and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and CAT,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ue to the free radical scavenging by Ng. The results indicate that Ng administration prior to irradiation could protect critical organs from radiation damage.

$pp60^{v-src}$에 의한 $NF-{\kappa}B$ 활성화에 대한 헤스페레틴과 나린제닌의 저해 효과 (Effect of the Hesperetin and Naringenin on $pp60^{v-src}$-induced $NF-{\kappa}B$ Activation)

  • 권오송;김보연;김경아;김민수;오현철;김범석;김영호;안종석
    • 생약학회지
    • /
    • 제35권3호통권138호
    • /
    • pp.244-249
    • /
    • 2004
  • The effects of hesperetin and naringenin on $NF-{\kappa}B$ activation were investigated in normal rat kidney cells transformed by temperature sensitive Rous Sarcoma Virus (tsNRK). The flavonoids, naringenin and hesperetin, significantly reduced v-Src-induced $NF-{\kappa}B$ activation as well as phosphorylation of Akt and GSK-3 in tsNRK cells, whereas these compounds did not effect on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induced $NF-{\kappa}B$ activation in $NIH3T3{\gamma}l$ cells. In addition, the DNA binding activity of SP-I was also reduced but that of AP-1 was not affected by the compounds. Our study suggests that Src-induced $NF-{\kappa}B$ activation could occur via Akt-GSK-3 pathway without $IkB{\alpha}$ degradation and that naringenin and hesperetin could be used in the treatment of cancer through the inhibition of $NF-{\kappa}B$ activation.

생물전환으로 생리활성물질인 trifolin의 생합성 (Biosynthesis of trifolin, a bioactive flavonoid by biotransformation)

  • 노혜령;강주영;김봉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309-316
    • /
    • 2021
  • Trifolin (kaempferol 3-O-galactoside)는 플라보놀 그룹에 속하는 물질로 아토피, 항균, 폐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rifolin은 다양한 식물에서 추출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추출 과정이 복잡하고, 수율이 낮으며, 추출을 위한 바이오매스를 얻는데 계절적 어려움이 있다. 생물전환은 저렴한 화합물에서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naringenin으로부터 trifolin을 생합성하기 위해 3개의 유전자(PeFLS 및 OsUGE-PhUGT)를 각각의 대장균에 도입한 BL-FLS균주와 BL-UGTE균주를 이용하여 공조배양시스템을 개발하였다. Naringenin으로부터 trifolin을 생합성하기 위해 세포의 밀도, 생물전환 온도, 재조합 단백질 유도의 적정 IPTG농도 및 시간, 기질 공급 농도 등의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최적화된 공동 배양 발효 시스템을 통해 67.3 mg/L의 trifolin을 성공적으로 생합성 하였다.

대장균에서 naringenin으로부터 생리활성 isokaemferide의 생합성 (Biosynthesis of bioactive isokaemferide from naringenin in Escherichia coli)

  • 김봉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1호
    • /
    • pp.1-6
    • /
    • 2019
  • Flavonoid인 isokaempferide는 간 보호, 항균, 항증식성, 항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을 보고 되고 있으며 Amburana cearensis와 Cirsium rivulare (Jacq.)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하여 사용한다. 생물전환은 비교적 값이 싼 물질로부터 고부가가치 물질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유용물질의 식물추출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다. Naringenin으로부터 isokaempferide를 생합성 하기 위해 대장균에 포플러에서 분리한 PFLS와 벼에서 분리한 ROMT-9 유전자를 도입하였다. 이 균주를 이용하여 naringenin으로부터 isokaempferide의 생합성 수율(9.8 mg/L)은 낮았다. Isokaempferide의 생합성 수율을 높이기 위해 S-adenosylmethionine (SAM) 생합성 경로의 transcriptional regulator인 MetJ를 제거함으로써 methyl donor로 사용되는 SAM을 증가시켰다. SAM생합성 대사를 조절한 대장균을 이용하여 생물전환 균주의 최적 세포밀도 및 최적의 기질공급 농도를 결정하였다. 최적화된 조건을 이용하여 isokaempferide의 생합성은 87 mg/L까지 증가하였다.

도토리와 밤 외피의 항산화 성분 및 활성 (Antioxidative Constituents and Activities of Acorn hull and Chestnut Hull)

  • 차배천;이혜원;임태진
    • 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12-217
    • /
    • 2003
  • We have carried ou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nuts species for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from natural products. From our previous report, EtOAc and n-BuOH extracts of acorn hull and chestnut hull were found to have a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in various antioxidant experiment. In the continuous study, we isolated several compounds from EtOAc and n-BuOH extracts of acorn hull and chestnut hull by fractionation using column chromatography. The structures of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catechin, naringenin and ellagic acid on the basis of their spectroscopic properties and by comparison of their physical and spectra data with published valu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techin, naringenin and ellagic acid were measured by DPPH, ferric-thiocyanate and Rancima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