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BuOH fraction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1초

연교(連翹) n-BuOH 분획물의 아토피 피부염 억제 효과 (The Effects of Forsythiae Fructus n-BuOH Fraction on Atopic Dermatitis)

  • 이진화;한재경;김윤희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0
    • /
    • 2016
  •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found out that Forsythiae Fructus (FF) extracts have anti-atopic activities by in vitro experiment. In order to understand more about FF extracts' benefit, we subdivided FF extracts depending on systematic fractionation method by using Methylene chloride (MC), Ethyl acetate (EtOAc), n-BuOH and n-hexane (n-Hx).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FF fractions on the PMA- ionomycin-induced activation of RBL-2H3 mast cell lines in vitro and on the DNCB-induced activation of NC/Nga mice in vivo. Methods For this study, we examined IL-4, IL-13 production by ELISA analysis, IL-4, IL-13, IL-31, IL-31RA and TNF-${\alpha}$ mRNA expression by real-time PCR and manifestations of AP-1 and MAPKs transcription factors by western blotting in vitro. Through in vitro experiment, we selected FF n-BuOH fraction that seems the best effective in atopic dermatitis then induced it on NC/Nga mice by DNCB. We measured mice's WBC, eosinophil and neutrophil in heart blood, IL-4, IL-5, IFN-${\gamma}$ in the spleenocyte culture supernatant, the absolute cell numbers of CD4+, CD8+, B220+CD23+, CD3+CD69+ and Gr-1+CD11b+ in the PBMCs, ALN and dorsal skin, IL-5, IL-13, IL-31, IL-31RA in the dorsal skin by real-time PCR and the distribution of immune cells by H&E on dorsal skin and ANL and toluidine blue staining on dorsal skin. Results FF n-BuOH fraction suppressed IL-4, IL-13 production and mRNA expression of IL-4, IL-13, IL-31, IL-31RA and TNF-${\alpha}$. Results from the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FF n-BuOH fraction reduced the activation of the mast cell specific transduction factors involved in AP-1 by suppressing JNK and ERK phosphorylation. In the gross, atopic dermatitis induced by DNCB in NC/Nga mice were improved by oral administration of FF n-BuOH fraction. Oral FF n-BuOH fraction also decreased the level of IgE in mice's serum and the level of IL-4 and IL-5 in the spleenocyte culture supernatant, cell numbers of CD8+, B220+CD23+ in the PBMCs, CD4+ in the ALN and CD4+, Gr-1+CD11b+ in the dorsal skin and suppressed mRNA expression of IL-5, IL-13, IL-31, IL-31RA in the dorsal skin.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at infiltration levels of immune cells in atopic dermatitis induced NC/Nga mice were improved by FF n-BuOH fraction. Conclusions FF n-BuOH fraction can reduce pruritus by suppressing IL-31, IL-31RA secretion and modulate molecular mediators and immune cell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induced in NC/Nga mice which may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covering atopic dermatitis symptoms.

지유(地楡) 부탄올 분획물의 Streptococcus mutans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n Streptococcus mutans and Anti-oxidant Effect of the Butanol Fractions of Sanguisorbae Radix)

  • 박근혜;이진태;안봉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29
    • /
    • 2012
  • Objective : Sanguisorbae Radix(SO). that belong to Rosaceae is widely distributed in Asia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It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from old times as a treatment for anti-inflammatory drug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BuOH fractions of SO on anti-oxidant effect and anti-microbial effect on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Methods : The anti-microbial effect of $n$-BuOH fractions of SO. was assessed by the paper disk diffusion method and anti-oxidant effect was assessed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SOD like ability. Results : DPPH radical scavenging of the $n$-BuOH fraction from SO in 50 ug/mL was shown to be Fr-2 (89.9%), Fr-3 (88.7%), Fr-4 (76.3%), Fr-1 (59.4%), Fr-5 (56.2%). Superoxs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n-BuOH fraction from SO. in 50 ug/mL for Fr-3 was shown to be 78%. SOD-like activity of n-BuOH fraction from the SO in 1000 ug/mL for Fr-3 were shown to be 76.1% respectively. The $n$-BuOH fraction from the SO had high anti-microbial effect on $S.$ $mutans$. Conclusion : As a result, the $n$-BuOH fraction from SO. has good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포도주 부산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Effect of Wine By-product Extracts)

  • 백재열;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948-954
    • /
    • 2016
  • 포도주 가공 중에 발생하는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검토를 위해 포도주 부산물을 유기용매로 추출 및 분획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포도주 부산물의 분획 및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획물들 중에서는 85% aq. MeOH 분획물이 105.1±0.93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은 74%의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에서는 n-BuOH 분획물이 72%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은 각각 90% 및 92% 소거활성을 나타내어 동일한 BHT 농도에서 92%인 것과 비교해 보았을 경우 합성항산화제만큼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세포내 활성 산소종 소거 효과를 나타내는 ROS 실험을 통해 0.1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은 각각 64%와 60%의 소거 활성을 나타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포도 및 포도씨와 비교했을 때 포도주 부산물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유량은 다소 낮았지만 항산화 효과도 지속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향후 포도주 부산물의 응용이 기대되어진다.

천화분 메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Radix Trichosanthis on Melanin Synthesis)

  • 김정근;김남권;임규상;김진;성병곤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54
    • /
    • 2002
  • Objectiv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Radix Trichosanthis components and the melanin synthesis, the author has analyzed the cell viability and tyrosinase activity, melanin content and morphologic changes in n-hexane, EtOAc, n-BuOH, and H2O fraction. Methods: At first,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the Radix Trichosanthis component, the author investigated the viability of B16 melanoma cell. To measure the effec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extracts (n-BuOH, n-Hexane, EtOAc, H2O fractions) on the viability of A549 cells, A549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from 0.5 to $25{\;}\mu\textrm{g}/ml$) of componen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After 24hrs,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The EtOAc componen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decreased the viability of A549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H2O and n-BuOH components had no cell toxicity till $25{\;}\mu\textrm{g}/ml$, the n-hexane component showed minor cell toxicity at $25{\;}\mu\textrm{g}/ml$ and the EtOAc component cell toxicity was revealed at $5{\;}\mu\textrm{g}/ml$ concentration. Results: 1. The results of tyrosinase activity and the Radix Trichosanthis component; n-hexane and EtOAc components controlled it effectively; the n-BuOH components were less effective. 2. The results of melanin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n-hexane and EtOAc components effectively inhibited, the n-BuOH fraction inhibited less, and H2O component didn't inhibit the terminal melanin formation. 3. In the n-BuOH and H2O component there were no changes, but in the n-hexane component the melanin content was effectively inhibited. 4. In the EtOAc fraction, although the melanin content was inhibited, the cell count was evidently suppressed, Of all of the Radix Trichosanthis components, the n-Hexane and EtOAc fractions inhibited the melanin synthesis best, but owing to its toxicity, the EtOAc components inhibited the cell count.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d that Radix Trichosanthis n-hexane fraction efficiently inhibited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 PDF

호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신피질에서 세포 손상과 지질과산화 방지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Walnut Uuglans sinensis Dode) and Its Protective Effect on Cell Injury and Lipid Peroxidation in Renal Cortical Slices)

  • 배계선;황을철;권채화;김순희;최춘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6-11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호두박 분획층의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기 위해 MeOH, $CH_2Cl_2$, EtOAc, BuOH 그리고 $H_2O$ 분획으로 추출하여 수행하였고, 각 분획층의 산화적 세포손상과 지질 과산화의 방지 효과를 in vitro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호두박의 free radical (DPP보 radical) 소거 활성은 EtOAc층에서 가장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종 억제율과 peroxynitrite $(ONOO^-)$ 소거 활성은 $CH_2Cl_2$층을 제외한 모든 분획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신피질 절편에 t-BHP의 처리 시 LDH의 방출과 지질과 산화를 증가시켰고 이러한 변화는 호두의 MeOH, EtOAc, n-BuOH 분획에 의해서 완전하게 방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호두 추출물이 t-BHP에 의한 신장 세포 손상에 효과적이고 이러한 효과는 항산화력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호두 추출물에서 많은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톳(Hizikia fusiformis)에서부터 분리된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on Activities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Seaweed, Hizikia fusiformis)

  • 김민정;이혜현;서민정;강병원;박정욱;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1-367
    • /
    • 2013
  • Hizikia fusiformis을 80% EtOH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n-hexane, ethyl acetate, n-BuOH, Aqueous n-BuOH fraction으로 순차적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4개의 분획물 중에 항산화 활성이 높은 n-BuOH 분획물을 reserve-phase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분리된 3개의 BA, BB, BC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가장 항산화능이 높은 BB 분획물은 모든 실험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데, 시료의 농도가 1.0 mg/ml일때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Reducing power activity는 $45{\pm}0.14%$, $1.34{\pm}0.23$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beta}$-carotene-linoleic acid activity와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도 $76{\pm}0.12%$$82{\pm}0.06%$로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도 $65{\pm}0.17%$의 활성을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최종 분리된 BB분획물은 높은 항산화능을 가진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앞으로 새로운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해당화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Rosa rugosa)

  • 서영완;이희정;안종웅;이범종;문성기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67-7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해당화의 항산화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해당화의 dichloromethane과 methanol의 조추출물을 합하여 n-hexane, 15% aq. MeOH, n-BuOH, $H_2O$로써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DPPH 라디칼, peroxynitrite의 소거 활성과 지질 과산화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실험에서 해당화의 유의적인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4개의 분획물들 중 n-BuOH 획분이 가장 뛰어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화의 항산화 효과는 비교적 극성이 큰 2차 대사산물에 의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해당화의 많은 생물학적인 활성들 중 peroxynitrite 소거 효과와 마우스 간 균질물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에 관한 보고는 이것이 처음이다.

택란 잎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과 세포독성효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Free Radical Scavenging, Cytotoxic Effects, and Flavonoid Content of Fractions from Leaves of Lycopus lucidus Turcz.)

  • 나은;이정우;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7-3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택란 잎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택란 잎을 극성이 다른 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택란 잎 분획물에 의한 라디칼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택란 잎 85% MeOH 및 n-BuOH분획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1.5{\pm}0.00mg/g$$77.2{\pm}0.01mg/g$으로 n-BuOH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DPPH assay에서 택란 잎 n-BuOH 분획물의 활성산소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85% MeOH 분획물에 의한 소거활성이 높았다(p<0.05). 각 분획물들의 $IC_{50}$값은 n-Hexane 9.76 mg/ml, 85% MeOH 0.50 mg/ml, n-BuOH 0.03 mg/ml 및 water 0.78 mg/ml로 나타났다. 또한 택란 잎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에 의한 ABTs+소거활성은 각각 89.3% 및 92.1%이었으며 대조군인BHT와 L-ascorbic acid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p<0.05). ABTs+ assay에서 각 분획물들의 $IC_{50}$값은 n-Hexane 0.96 mg/ml, 85% MeOH 0.16 mg/ml, n-BuOH 0.01 mg/ml 및 water 0.31 mg/ml로 나타났다. 택란 잎 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은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 특히 n-Hexane과 85% MeOH 분획물들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가장 높았다. AGS 암세포에 대한 택란 잎 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의 $IC_{50}$ 값은 각각 0.18, 0.03, 0.62 및 0.12 mg/ml이었고 HT-29 암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0.26, 0.16, 0.60 및 1.14 mg/ml이었다. HT-1080 암세포에서 택란 잎n-Hexane, 85%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의 $IC_{50}$ 값은 각각 0.34, 0.14, 0.48, 및 1.05 mg/ml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택란 잎 n-BuOH 분획물은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에 효과적이었고 n-Hexane과 85% MeOH 분획물들은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향후 택란 잎을 이용한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Antioxidant Activity of N-hydroxyethyl Adenosine from Isaria sinclairii

  • Ahn, Mi-Young;Heo, Jung-Eun;Ryu, Jae-Ha;Jeong, Hy-Kyoung;Ji, Sang-Deok;Park, Hae-Chul;Sim, Ha-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7권2호
    • /
    • pp.197-200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saria (Paecilomyces) sinclairii was determined by measuring its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 The n- BuOH extract of P. sinclairii showed strong scavenging activity to DPPH.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individual fraction was in the order of ethylacetate> n- BuOH>chloroform>n-hexane. The n-BuOH soluble fraction exhibiting strong anti-oxidant activity was further purified by repeate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N-(2-Hydroxyethyl)adenosine (HEA) was isolated as one of the active principles from the n-BuOH layer. The n-BuOH layer, particularly HEA, did not increase the level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that might be related to vasorelaxation such as the action of viagra. In addition,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levels showed little or no increa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ith the treatment of I. sinclairii.

도라지 부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the Ballon Flower) on Oxidation and Nitric Oxide Production)

  • 장주리;황성연;임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라지 분말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도라지의 추출물과 분획물들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 및 glutathione (GSH)를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검토하였고 NO 생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억제 실험에서 건조 도라지의 A+M 및 MeOH 추출물과 추출물을 n-hexane, 85% aq. MeOH, n-BuOH, water로 다시 추출하여 얻어진 각각의 분획물들을 농도별로 HT1080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A+M과 MeOH 추출물 모두 측정시간 120분 동안 $500\;{\mu}M$ $H_2O_2$만을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MeOH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분획물들 중 n-BuOH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들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GSH 농도 측정 실험에서 A+M 및 85% aq. MeOH 분획물를 처리했을 때 GSH 함량이 증가하였다. NO 생성 저해 실험에서는 A+M 및 MeOH 추출물이 0.01 및 0.05 mg/mL의 농도에서 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M 추출물에 의한 저해 효과가 높았다. 각 분획물들은 모두 control보다 낮은 NO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은 0.05 mg/mL 농도에서 blank에 가까운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n-BuOH 분획물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효과 및 NO 생성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분획물의 분리 정제를 통한 새로운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