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ngbean sprou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8초

두과작물 새싹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성 비교 (Phenolic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routs in Several Legume Crops)

  • 천상욱;김동관;김영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9-168
    • /
    • 2013
  • 대두, 녹두, 및 동부 종자로 7일간 재배된 새싹나물의 생육,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차이를 검토하였다. 작물별 새싹나물의 총 신장은 녹두와 콩이 동부보다 유의적으로 컸으며 생체중은 오히려 콩과 동부가 녹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Folin-Denis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은 콩나물의 메탄올 추출물(82.2 mg $kg^{-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동부나물(32.2 mg $kg^{-1}$), 녹두나물(24.5 mg $kg^{-1}$) 순으로 나타났다(p < 0.05). 한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더 낮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낮은 활성이었으나 동부와 녹두 추출물(44와 42%)이 콩나물(25%)보다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효소 활성은 APX와 POX활성은 동부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녹두, 콩 순으로 나타났고, CAT와 SOD 활성은 콩나물이 동부와 녹두나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 페놀 함량($r^2$ = 0.53 ~ 0.90)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r^2$ = 0.47 ~ 0.94)은 항산화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에 높은 연관성이 있으며, 그 함량과 활성은 작물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침종액 중 BA 농도에 따른 숙주나물의 생장 (Effect of Benzyladenopurine Concentration in Soaking Solution on Growth of Mungbean Sprouts)

  • 강진호;류영섭;윤수영;전승호;김승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82-486
    • /
    • 2004
  • 숙주나물의 세근 발생 억제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BA의 처리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3개 공시품중(금성녹두, 어울녹두, 중록1호)을 이용하여 BA 농도 (0, 25, 50, 75, 100 ppm)를 달리하여 5시간 침종시킨 후에 6일간 재배된 숙주나물의 생장과 형태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 모두 하배축 길이가 7cm 이상의 개체비율은 50 ppm 이상에서는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던 반면, 4cm이하의 비율은 오히려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4-7cm의 비율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던 금성녹두와 중록1호와는 달리 어울녹두는 50ppm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2. 세근은 75ppm 이상의 처리농도에서는 거의 형성되지 않았으며, 세근발생 비율과 개체당 세근수는 50 ppm 처리농도를 기준으로 증감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공시품종 모두 하배축과 뿌리 길이는 BA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그러나 하배축 중간 부분의 직경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금성녹두와 중록1호에서는 굵어졌던 반면, 어울녹두는 50ppm 까지는 증가하였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가늘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하배축 및 전체 생체중은 BA를 처리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처리할 경우 많았던 반면, BA를 처리할 경우 처리농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녹두나물 재배온도에 따른 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ADH 및 ALDH 활성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DPPH, ADH, ALDH Activities of Mungbean Sprout Based on Growth Temperature)

  • 김동관;손동모;천상욱;이경동;김경호;임요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6
    • /
    • 2009
  • 본 연구는 녹두나물 재배온도($15{\sim}30{\pm}1^{\circ}C$)에 따른 나물의 생육과 수율, 페놀화합물 함량, DPPH와 ADH 및 ALDH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 녹두나물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나물 생산수율은 높고, 경실비율은 낮았으나 $25{\pm}1^{\circ}C$$30{\pm}1^{\circ}C$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녹두나물의 ethanol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재배온도 $15{\pm}1$, $20{\pm}1$, $25{\pm}1^{\circ}C$,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재배온도 $15{\pm}1$, $20{\pm}1^{\circ}C$에서 많았다. 3. 녹두나물 ethanol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재배온도가 낮을수록 높았고, ADH와 ALDH활성은 재배온도 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 이상의 녹두나물 생산수율, 페놀화합물 함량, 생리활성 등을 고려해볼 때 녹두나물 재배 최적온도는 $20{\sim}25^{\circ}C$로 보아진다.

단경 내재해 다수성 녹두 품종 '수현' (Mungbean Cultivar, 'Suhyeon' with Short Stem Length, Disasters Resistance and High Yielding)

  • 김동관;최진경;김길자;권오도;박흥규;서민정;이영훈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0-234
    • /
    • 2017
  • 녹두 품종 '수현'은 '전남14호'와 'IT208777'을 교배하여 2010년에 육성되었다. 초형은 직립이고 잎 모양은 심장형이고 배축색은 녹색이고 성숙한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색이 없는 녹색이다. '수현'의 경장은 66cm로 '어울녹두'보다 5cm 작고 개체당 꼬투리는 24개로 5개 많으며 나물 수율은 8.67배로 16% 많다. 종실의 전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각각 62.7, 27.3, 1.89%이다. '수현' 평균 수량은 1.74톤/ha로 '어울녹두'보다 8% 많다. (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5107호, 2014년 7월 31일)

Evaluation of Se Accumulation in the Production of Se-treated Soybean Sprouts and Mungbean Sprouts

  • Bai, Hong-Sook;Kim, Hyeong-Soo;Bai, Sung-Chul;Kim, Dae-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142-147
    • /
    • 2009
  • In this study, the selenium (Se) accumulations of soybean sprouts and mungbean sprout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e-solutions were evaluated, as part of a broader effort to produce Se-enriched variants of the plants. Four levels of sodium selenate ($Na_{2}SeO_{4}$)-dissolved solutions (i.e. 0, T0; 6, T1; 60, T2; and $600{\mu}g/mL$, T3) were prepared and sprayed onto the plants during cultivation. The effect of different spraying periods on Se accumulation was also assessed by watering plant groups once a day for periods of one, two, or three days. Se solution remaining on the surfaces of the plants was washed out by spraying with distilled water on the final day of cultivation. However, the increase of Se accumulation in the plants was found to depend on both Se-concentration and watering period, and the soybean sprouts were determined to accumulate Se more effectively than the mungbean sprouts. Additionally, with regard to Se accumulation in the plants, the period of application of Se solution was determin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Se solution applied. The averaged total levels of Se-enrichment in whole soybean sprouts at T0, T1, T2, and T3 were 0.26, 65.86, 179.62, and $525.12{\mu}g/dry$ matter (DM) g,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equations relating Se enrichment in soybean sprouts (Y) against watering days (X) were Y=32.505X-36.17 (T1), Y=88.46X-92.04 (T2), and Y=251.11X-254.9(T3). The averaged total levels of Se-enrichment in the whole mungbean sprouts at T1, T2, and T3 group were 0.05, 3.64, and $101.43{\mu}g/DM$ g,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equations relating Se enrichment (Y) to watering days (X) for mungbean sprouts were Y=1.67X-1.3467 at T1 and Y=48.035X-46.907 at T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ybean sprouts and mungbean sprouts enriched with bioavailable Se can be produced on a large scale by Se supplementation, allowing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functional foods such as Se-enriched mungbean sprout soups and salads, Se-enriched functional drink and food additives, and selenium tablets to promote health.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한 녹두 품종들의 항산화 활성 및 아미노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in Korea)

  • 진용익;홍수영;김수정;옥현충;이예진;남정환;윤영호;정진철;이순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1-387
    • /
    • 2010
  • 본 연구는 고랭지 재배된 녹두의 항산활활성 및 유리아미노산 등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GABA함량이 품종 간 그리고 나물 이용 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항산화활성 분석에서 '장안' 녹두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물의 활성이 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의 기능성 관련 지표로 이용되는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랭지 재배 녹두의 종실에 함유된 총페놀 함량은 $1,186-1,493\;{\mu}g\;g^{-1}$ 범위를 보였고, 나물은 $2,321-2,783\;{\mu}g\;g^{-1}$으로 분석되어 종실을 나물로 이용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실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소선' 녹두의 함량이 높았다. 이들 아미노산 함량은 녹두나물 제조 시 현저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Valine과 arginine의 함량이 700mg $100g^{-1}$ 이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두는 독특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 금후 새로운 대체작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Growth Characters and Life Cycle of Mungbean Per Sowing Period

  • Ji-ho Chu;Byeong-won Lee;Ji-young Kim;Seok-bo Song;Yeong-kwang Joo;Sang-ik H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4-134
    • /
    • 2022
  • Mungbean is used for not only seed but sprout, so, consumption of mungbean has been on the rise in Korea. Life cycle of mungbean tends to be short among Legume. For that reason, Mungbean can be harvested for various cropping system and season per regions and farmers regardless of sowing date and harvesting date. So, Prior research is needed about growth characters and life cycle of mungbean per sowing period. Mungebean cultivar 'Dahyun' and 'Sanpo' supplied by Korea Agriculture Technology Promotion Agency(KOAT) is cultivated in wagner pot. Sowing period is proper time of seeding in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that is major cultivation region of mungbean in korea from early May to mid July every 2 weeks. Length at maturity stage tends to increase from early May(sowing date: 4th May) to early July(sowing date: 5th July), but after that, It tends to decrease from mid July(sowing date: 19th July). Number of branches and nods shows a similar trend. Length of pod has no tendency and no difference per sowing date. Number of pod per plants has also no tendency per sowing date. Test plots sowing in late May has the most number of pods.(Sanpo 22.9pods, Dahyun 16.8) Number of seeds per pod tends to increase to late May and Test plots sowing in mid July has the most number of seed per pod. In case of sowing at early May, Days of emergence is 7d. its summation of temperature is 132.2℃. After that, it tends to decrease to mid June. After mid June, Days of emergence is fixed to 3d. Average temperature growing up in this season, Summation of temperature from sowing to emergence takes the lowest point in test plots sowing in mid June.(Sanpo 88.6℃, Dahyun 88.6) Days of flowering tends to fasten from early May to mid July. Two cultivar shows same level. Days of maturity tends to fasten to mid June, after that tends to slow. In case that many research results about growth characters and life cycle mungbean per sowing period are drawn, it is expected that it result in increase of cultivation area and income of farm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