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adolescent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 관련 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 Victimization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Origin Adolescents)

  • 강현주;박현주;현혜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6-15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ctors related to violence victimization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origi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total of 54,748 multicultral and Korean-origin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Weighted percentage and means were used to describe the sample.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were conducted using SAS 9.2. Results: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d more violence victimization than Korean-origin adolescents. In both groups, middle school students, habitual drug users, and those not living with their family showed a greater risk of becoming a victim of violence. In Korean-origin adolescents, while girls and those with mid-level family economic status showed a lower risk, those who had experienced sadness or despair, suicidal ideation, smoking and problematic drinking showed a higher risk of becoming a violence victim.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ose with a lowe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 lower stress level had a higher risk of violence victimizatio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violence victimization differ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origin adolescents. Therefore, different approaches are required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violence victimization in different populations.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on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박동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75-18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1,329명의 다문화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6차년도(2016) 청소년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 종속변수로, 이들이 경험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교사 지지를 조절변수로 하여 SPSS 22.0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조절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 청소년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학교적응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지원방안 및 교사의 역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과 진로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epress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Attitude)

  • 박순진;백진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39-1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과 진로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7차(2017)년도 데이터에서 1,07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구조방정식과 Bootstapping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수립과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의 순차적 다중 매개효과 -2016년 다문화 청소년패널조사 이용-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Using the 2016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 김수미;김현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24-34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acculturative stress'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Roy's Adaptation Model and some earlier studies. Further, it examined the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on life satisfaction.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163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A hypothesis test was conduct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81. Results: Life satisfaction increased with a decline in acculturative stress. Each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had a sing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self-esteem were confirmed significant after their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social withdrawa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s well.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demonstrate that acculturative stress reduction is critical to improv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have a single mediating or sequent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which highlight mediating effects, indicate that by increasing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self-esteem, and reducing social withdrawal,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Career Deci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 박동진;김송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00-10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8차년도 조사(2018)의 청소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사회적 위축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사회적 위축과 우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을 향상시키고, 진로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해 모색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의 함의와 한계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연속다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 박동진;김송미;박경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03-8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 1차년도 조사(2019)의 청소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역량이 매개하였다. 셋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하였다. 넷째,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사회적 역량과 자아존중감이 연속적으로 다중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과 함께 본 연구결과가 가진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가 가진 한계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arenting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209-21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11년 1차(초등학교 4학년)에서 2016년 6차(중학교 3학년)까지 총 6차년에 걸친 데이터 중, 본 연구에서는 2012년(2차, 초등학교 5학년), 2014년(4차, 중학교 1학년), 2016년(6차, 중학교 3학년)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자기회귀효과는 각각 시간의 흐름에도 지속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은 이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은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의 영향력이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의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종단적 자료를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세 변인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 경험의 비교 (Comparison of Unsafe Sex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Korea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9-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nsafe sex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3,029 respondent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sex i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8. Weighted percentages and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AS 9.2. Results: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odds ratio of unsafe s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the related variables. Among the covariates, the odds of unsafe sex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ys (AOR: 1.34; 95% CI: 1.08~1.66), those who did not live with their family (AOR: 1.68; 95% CI: 1.17~2.39), those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OR: 1.33; 95% CI: 1.02~1.73), binge drinkers (AOR: 1.61; 95% CI: 1.29~2.02), smokers (AOR: 1.37; 95% CI: 1.06~1.78),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sex education (AOR: 1.59; 95% CI: 1.20~2.11).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safe sex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also shows the positive effect of school sex education on safe sex in teenag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ex education for male students, students not living with their family,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binge drinkers, and smokers.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 이창식;박지영;임인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4호
    • /
    • pp.881-904
    • /
    • 2012
  • 이 연구는 농촌 다문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지지 및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일반 및 다문화가정 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지지,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반면 정서지능과 부모-역기능적 의사소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지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정서지능은 농촌소규모 다문화초등학교 일반가정 및 다문화가정 학생 간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지능은 친구지지와 가족지지가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Other-awarenes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upon Psychosocial Adjus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 이화명;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95-606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의 다문화 가정 중학교 청소년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은 자기조절능력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은 심리사회적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의 타인인식과 심리사회적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를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