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9초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scent: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 유혜영;백진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13-1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패널(MAPS) 8차년도(2018)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15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Process Macro Model과 Bootstrapping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긍정적인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사회적 위축과 우울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위축은 우울감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우울을 낮추고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Academic Adaptation :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65-2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적응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이 학업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변화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청소년 패널 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이중문화수용태도, 학업적응, 자아존중감은 각각의 선형변화모형을 통해 3년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업적응 간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Parental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on Career Attitude Determinism: Mediating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 정인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91-99
    • /
    • 2023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미래 한국 사회의 성장 동력이 될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결정성을 확인하고,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경우에는 출생하면서 노출되는 이중문화에 대한 혼란으로 일반 청소년과 비교하면 부모 지지와 진로 태도 결정성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매개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 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8차 연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다문화 청소년 총 1,22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8과 AMOS 17.0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 모형 적합도 검증, 경로 모형 계수, 매개효과 검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지지와 진로 태도 결정성을 향상하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Effect of Multicultural Youth'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National Identity on Dual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0호
    • /
    • pp.203-210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국가정체성에 어느 정도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2기 1차 자료로 2019년 기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하고 있었던 다문화 청소년 2,246명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이중문화 수용 태도는 국가정체성, 문화 적응 스트레스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미는 국가정체성이 높고,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높다는 것이다. 한편 다문화 청소년의 유형에서는 국제결혼 가정이 가장 낮은 이중문화 수용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 규모에서는 대도시가 가장 낮은 이중문화 수용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 태도에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국가정체성, 다문화 가정의 유형과 거주하는 지역이 주요한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농촌지역 다문화가정 아동과 부모의 문화적응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of Children a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 Rural Areas)

  • 정정화;이강이
    • 아동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7-64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acculturation process of children and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can affect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concerned. The participants from each family consisted of the fathers, mothers, and school-age children of 179 househ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following: (1) First, the multicultural children scored higher than the average in self-esteem in most areas except school life. Furthermore, the children and parents had a comparatively positive attitude toward acculturation (2) Second, the children's level of self-esteem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only with the acculturation of mothers as opposed to fathers. (3) Third, the impacts of acculturation of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on the children's self-esteem foll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self-esteem. Specifically, the self-esteem for overall self-value and family relations rose whe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f mothers was high. However, area of peer relations was affected only by the acculturation of children. The area concerning school life was high when the mother-culture propagation attitude of mothers was low.

한국 중년기 남녀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태도 (Attitude about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male-female in the middle age)

  • 박은아;이은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31-13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 중년기 남녀의 인식 유형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42개의 진술문은 25명의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다문화사회에 대한 중년기 남녀의 인식은 3개의 유형 '분노-배척형', '배려-수용형', '경계-동화요구형'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은 공통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대해 인식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확인된 인식 유형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에 대한 중년기 남녀의 인식유형에 따라 다문화사회 인식증진 관련 중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다문화 가정의 언어사용과 다문화 수용 양상 (Language 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 case study of Korea)

  • 고혜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7-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영화 <방가?방가!>, <완득이>를 통해서 얻은 외국인에 대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 양상과 언어와 사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다문화 가정 속의 언어형태에 대해서 결혼이주민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했다. 그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 양상은 서로 간의 이해관계가 없는 경우 다소 긍정적이라는 점. (2) 외국인이 쉽게 언어를 접하고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은 그 사회와 문화에 있다는점. 외국인 근로자들이 사회 속에서 속어나 은어와 같은 위상 (位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은 언어와 특정 사회의 관계를 보여 주는 단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3) 한국 다문화 가정 속의 언어형태는 주로 한국어로 사용되지만, "1 언어사용자(monolingual)"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두 개의 언어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을 "2 언어 사용(bilingualism)"이라고 하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는 "청해형 2 언어 사용"의 언어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된다. 앞으로는 국제화 시대에 향후 한국 사회도 다문화 수용성 개선을 위해서는 다문화 관련 콘텐츠 개발과 의사소통에 국한 시키는 한국어 교육이 아닌 다문화 가정을 위한 "2 언어 사용(bilingualism)"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다문화 음식 급식에 대한 하남지역 중학생의 인식, 만족도, 메뉴 기호도 및 영양사의 태도연구 (Student, Dietitian Reactions to Multicultural Food Service in Hannam School District)

  • 김희섭;임재롱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78-489
    • /
    • 2011
  • Student and dietitian reactions to a multicultural food service menu were studied. Food habits in a multicultural family could delay the acculturation of the children to traditional Korean food and could cause the isolation of children from the community. Also, Korean students need to be exposed to other cultures and foods because it can be a challenge to eat novel foods when students grow up. To help both multicultural and Korean children adjust to new foods, a multicultural menu was included in a school's food service. Students regarded the multicultural menu as access to another culture, but they felt that improvement of the food quality and menu diversity were requir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food quality, appearance, freshness, temperature, and menu diversity were all moderate. The multicultural menu was served as a single menu item or a combination menu item. The main dish single items - pasta, jajangmyeon, onigiri, hamburgers, rice and curry, kaupatmu, kaupatkung, and donburi - were liked, but nasi goreng was liked only moderately. The soup - based dish single item, tempura soba, was liked, while tomyum was disliked. The side dish single items - tangsuyook, Japanese donkatsu, baked sausage and potatoes, tandoori chicken, chicken britto, Vienna schnitzels, tender tortillas, and fried chicken wings - were liked. The desserts single items-sandwiches, pineapples, waffles, pizza, bread with strawberry jam, mangoes, and tacoyaki - were liked. The combination menus - Italian, Indian, and American - were liked, but the southeast Asian menu was the least favored. Acceptance of combination and single menu items were similar. Male students liked multicultural menu items more than female students in all categories. Approximately 60% of dietitians had experience serving the single menu items for multicultural food service. The appropriate serving times were twice per month. Dietitians guessed that 80% of the students liked the multicultural menu. The dietitians preferred serving American or Chinese foods to southeast Asian food. There were two difficulties in serving the multicultural menu, which were voiced as as lack of skill in cooking the items and improper cooking utensils and tableware for the items. Despite all the difficulties, the dietitians served the multicultural menu because it provided menu diversity, rather than for educational reasons.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of Children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현옥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63-72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심리적 적응에 집단미술치료가 필요하다고 보며, 집단미술치료를 연구하여 그 효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미술작업경험과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내면의 욕구를 미술적 표현을 통해 객관화하고 수용 및 해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능동적인 자기표현, 자발성, 정서표현을 촉진하는 비구조적인 집단미술치료 환경가운데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으며, 점차 능동적인 태도 즉, 자발성을 회복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과정에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키울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미술치료가 갖고 있는 고유의 독특한 측면들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에게 서로 언어만으로는 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장을 마련해 줄 수 있다.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Homes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전미경;김성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7-16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과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요구는 어떠한지 분석하여 효율적인 다문화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한 99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과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 및 교사연수 유무 실태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없는 교사가 약간 많았다. 대학교 재학시절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을 수강하였거나 다문화교육 관련 교사 연수를 받은 경험은 드물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가정과 교사들은 다인종의 존중, 다문화의 안정, 다문화에 대한 신념, 다문화 지식 수용 태도는 매우 긍정적안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친밀감과 관심, 그들과의 소통에서는 유보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사회의 건설을 위해 상호 이해와 배려를 강조해야 한다는 배려중심 관점을 가장 많이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간관계 강조 관점, 사회적 행동 강조 관정, 동화주의 관점 순이었다. 넷째, 가정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가정과 교사는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가정교과에서 지향해야 할 목표는 배려 중심 관점을 가장 선호했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은 모든 교과의 전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하지만, 특정 교과에서 실시된다면 기술가정과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여겼다.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선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사의 다문화가족애 대한 이해와 인식전환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활용 자료는 시청각 자료, 연수 방법으로는 교사 직무 연수와 외국인과 함께하는 다문화 이해 연수를 선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