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동과 초등학생의 구강보건행태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in Mothers and Dental Health Belief of their Children)

  • 김영희;송근배;이성국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3-92
    • /
    • 200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verify various relations between dental health belief and related behaviors in mothers and children.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by 264 pairs of 1st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by self develop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are made on the general socio-economical characteristics,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behaviors relative to the oral health and oral health education as to how mothers implement the oral health related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while for the children,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measured relative to the oral health beliefs and health behaviors for the children. The obtained results have shown that mothers become with more ages, the usefulness to prevent children's oral diseases becomes lower, and as much as mothers have higher education level, the sensitivity relative to the oral diseases has been measured low. To the degree that the students live well in economical respect, it has been found that they placed more importance on the oral health. As much as the number of mothers tooth brushing becomes made more in a day, the tooth brushing of the children becomes more that much, and also has higher level of oral health beliefs. The number of children to see dentists has been found high, and to the extent of increasing frequency of visiting dental clinics. As the number of mothers tooth brushing education becomes made more frequent for the children. Also, as mothers put more restriction on the sugar intakes by the children, they placed higher importance on the oral health for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oral health behavior in mothers' influence on dental health belief of their children, it has been reviewed necessary to activate more the mother-children joint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health projects that mothers and children take part together, as well as to study more in accurate and systematic approaches through more comprehensive and various subjects and elements further in the future.

어머니의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이 유아 자녀의 구강건강상태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other's Oral Health Literacy on Preschool Children's Oral Health Status and Behavior)

  • 강유민;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6-36
    • /
    • 2016
  • 이번 연구는 어머니의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이 유아 자녀의 구강건강상태 및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모자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된 경기도 평택시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8곳에 다니는 만 5, 6세 아동과 어머니 23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어머니의 구강건강정보이해력, 구강건강관리행동, 유아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을 상 하위 25% 집단으로 나누어 구강건강정보이해력에 따른 유아자녀의 구강건강상태 차이를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은 우식유치수(dt), 우식유치수 및 충전유치수(dft)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상위집단일 경우 dt, dft가 더 적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리행동과 유아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에 따른 유아의 구강건강상태는 dt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상위 집단일 경우 dt가 적게 나타났다.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은 유아 자녀의 dt, dft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유아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 구강건강관리행동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이 유아 자녀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결과, 어머니의 구강건강관리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이어 언어적 구강건강정보이해력, 유아 성별, 어머니 연령, 그리고 자녀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이 유아 자녀의 구강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 특성, 구강건강관리행동, 유아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동을 통제한 상태로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언어적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이 dt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기능적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은 영향력이 없었다. 그러나 dft에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 두 개의 구강건강정보이해력 모두 독립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유아 자녀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하여 어머니의 구강건강정보이해력을 항상 고려해야 하며, 이를 반영한 구강보건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유아구강건강행동 및 구강건강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is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in Perception of Oral Health Behavior and Education for Children)

  • 이세나;김은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5-134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어머니들의 구강건강지식, 유아구강건강관리행동, 그리고 구강건강교육에 대한 인식 차를 알아보고자 충북 Y군 유아교사 90명과 어머니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Windows ver. 12.0 (SPSS Inc.)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아교사들과 어머니들의 구강건강지식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2. 유아교사들은 어머니들에 비해 보다 바람직한 치아우식예방 행동, 칫솔관리행동, 구강위생행동 지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1%의 어머니들은 유아교육 및 보육 기관에서 실시하는 구강정기검진과 이후의 처치서비스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들은 유아교사들에 비해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으나, 유아교사들에 비해 구강건강교육에 대한 경험이 적었다. 어머니들은 유아들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구강건강교육을 받기를 원하였고, 유아교사들은 구강건강교육을 위한 지침서와 매체에 대한 구강건강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 및 보육기관과 가정에서 일관되게 유아를 위해 양질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유아교사와 어머니들 모두에게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유아구강건강 관리행동의 이행을 위해 올바른 구강건강지식을 전달하고 그들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영역에 대한 내용의 유아구강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또한 이들이 이런 프로그램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교육방법 및 매체의 개발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일부 어머니의 구강건강 지식 및 행동과 초등학교학생들의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Rel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Mother and a Oral Health Condition of Children)

  • 최성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45-250
    • /
    • 2005
  • 본 연구는 대구시 북구에 소재한 복현 초등학교 1,2학년들과 복현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2005년 6월 1일부터 2005년 6월 30일 까지 1학년 82명과 2학년 192명중에서 남학생 135명, 여학생 140명으로 총 275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답변을 기재하는 자기 기입 방식으로 설문지를 작성케 하여 수합하였다. 설문지에 응답한 300명 중 응답내용이 부실한 25명을 제외한 총 2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 어머니와 자녀의 구강건강 행위 중에서 어머니의 구강건강행위에서는 하루평균 잇솔질횟수가 3회이상이 68.7%로 2회이하가 31.3%로 어머니의 하루평균 잇솔질횟수는 3회이상이 2회이하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자녀의 구강건강행위에서는 하루평균 잇솔질횟수가 3회이상이 14.2%로 2회이하가 85.8%로 3회이상 보다 2회이하가 높게 나타났다. 2. 어머니의 불소에 대한 지식수준은 총 7문항중 3-4문항에서 정답으로 응답한 '중'에서 55.3%로 가장 높게 났고, 어머니의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수준은 총 7문항중 4-5문항에서 정답으로 응답한 '중'에서 4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어머니의 구강건강지식 및 행위와 자녀의 칫솔질 횟수와의 관련성에서는 칫솔질 횟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나타났다(p < 0.05) 4.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인 요인과 자녀의 칫솔질횟수와의 관련성에서 나이, 교육수준, 월평균소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없었으나, 직업의 유 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나타났다(p < 0.05).

  • PDF

부모의 아동에 대한 구강관리가 아동의 구강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al Care on Children by Parents)

  • 강현숙;김경희;정혜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19-329
    • /
    • 2000
  • This study suggestes that the improvement of oral care through o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oral care on children by parents. This investigation was done on Sep. 29 1999 through Oct. 8 examining 376 of elementary, 1grade, 2grade, 3grade students in Kyunggi-Do. The content of the questions was analzed with a t-test and a one-way ANOVA; the relation to the oral care on children by parents with oral care behavior was analyzed by 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 1) Statistically women were higher(F=-2.675, p<0.01). The average of the oral care of children was 2.34, man averaged 2.29, woman are raged 2.32. Statistically women were also higher(F=4.682, p<0.052). 2) The more educatior the mother had higher, the higher the grade. Statistically there was a difference(F=6.756, p<0.01. The oral care of children above Uni graduate(M=2.38), high (M=2:23), middle graduate(M=2.Z3). Statistically, the higher the academic degree, the more optimistic(F=4.114, p<0.05). 3) In the oral care on children by parents, when the conversation with the family was often 2.17, there was little difference(F=7.343, p<0.01). In the oral care of children was 2.45, there was little difference(F=7.343. p<0.01). As a result, the conversation with family affects the behavior. 4) In the oral care of children, if the food that they like was fruits, vegetables, and fresh food, the average was 2.37, very hi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other cases(F=-3.179, p<0.05). We can conclude that fresh food affects the oral care of children. 5) In the oral care on children by parents, when the course of knowledge on the oral care was viewed by a grandfather(M=2.02), grandmother(M=2.05), father(M=2.14), mother(M=2.08). There was little difference(F=2.666, p<0.05). 6) In oral care, if the level of income was viewed high level(M=2.42), middle(M=2.34), 10w(M=1.88),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F=3.300, p<0.05). 7) The relation of the oral care on children by parents and the oral care was normal. In other words, the more management by parents, the more management by children.(p<0.01) Therefore in this study, the oral care on children by parents effect the oral care behavior of children. To improve the mouth health of children, the parents's interest in their children must be constant. Also, it is needed to develope an education program where parents and children can be educated.

  • PDF

임부의 구강건강관리지식에 대한 조사 연구 -영유아기 구강관리 내용 중심 고찰 - (Study on the knowledge regarding caries prevention among pregnant women)

  • 진보형;허성윤;신명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4
    • /
    • 2002
  • 임신기 구강관리와 영아의 구강관리에 대한 지식은 구강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며, 구강관리는 습관화 되는 과정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 시기의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들은 임부들의 영아구강관리에 대한 지식을 살펴보고, 영유아기 우식증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며, 임부들의 구강관리지식에 대한 잘못된 내용 포함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시 보건소와 유관업체에서 주관하는 임산부 건강교실에 참가한 임부 330명을 무작위 표본추출하여 개별면접방식으로 진행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부들이 구강병을 중대한 문제로 생각하고 있는 비율은 82% 이었고, 잇솔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비율은 94% 이었다. 2. 영유아기 우식증을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42% 이었고, 임신경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3. 영유아기 우식증 원인 중 잘못된 수유습관을 인지하고 있는 비율은 58% 이었고, 잘못된 모유습관에 의한 우식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지율은 43% 이었으며, 임신경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4. 임신 중 태아는 모체의 치아로부터 칼슘을 빼앗아 간다고 인지하는 비율이 82% 이었다. 5. 임신 중 치과치료를 금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인지하는 비율은 71% 이었다. 영아구강관리 및 임신기 구강관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임신기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정확한 구강관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기회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검토되었다.

  • PDF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유아기 어머니의 책임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chooler mother's responsibility based on experiences of oral health education)

  • 조갑숙;유병철;조민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585-595
    • /
    • 2012
  • Objectives : The study enquires into OHB and its importance of preschooler mothers, based on perceived experiences of OHE. It also investigates mother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hildren's oral health. The purpose 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OHE and its orientation. Methods : From April 20th to June 15th, 2011, 14 nurseries or pre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childcare facilities of one gu(borough) in Busan. The objects of study are mothers of four to seven-year-old children.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Results : 1.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working status and perceived experiences on OHE. 2. On the survey about OHB practic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in toothbrushing before breakfast, after meals, in three minutes and after refreshments Significant differences(p<0.01) are also shown in toothbrushing after eating fruits. 3. On the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OHB, there are statistical significances(p<0.001) in toothbrushing manner-rather than the number of it-toothbrushing in three minutes after meals and following the correct way of toothbrushing.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brushing teeth for more than three minutes.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in mothers' periodic dental examination, children's periodic dental examin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on children's toothbrushing. 5. On the survey about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hildren's OHE based on experiences of OH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that many replied OHEis "much-needed"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s on it.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 that of infants' mothers, those with experience on OHE, have an accurate knowledge about toothbrushing, due to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Both groups, however, replied that children's OHE is much needed, suggesting problems about the accessibility of the OHE.

어머니의 치과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to Dental Utilization of Mothers)

  • 김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71-177
    • /
    • 2005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어머니의 구강보건지식 및 행동이 치과의료이용경험과 이용목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2개의 어린이집에 내원하는 만 5-6세 유아를 자녀로 둔 103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머니의 이용목적에 따른 치과의료이용경험율은 치료(56.7%), 정기검진(23.3%), 예방(20.0%)순으로 나타났다. 2.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구강보건지식과 치과의료이용경험과의 상관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어머니의 구강보건행동과의 상관성은 치실 사용율이 낮을수록 치과의료이용경험율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3.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치과의료이용목적과의 상관성은 연령별 33-35세군(71.4%)에서, 학력별 대졸군(57.1%)에서 정기검진목적 치과의료이용경험율이 높게 나타났다(p < 0.05). 4. 어머니의 구강보건행동과 치과의료이용목적과의 상관성은 치실사용율이 높을수록 정기검진목적 치과의료이용경험율이 높게 나타났고(p < 0.001), 불소함유치약 사용율이 높을수록 치료목적 치과의료이용경험율이 높게 나타났다(p < 0.05). 5. 치과의료이용경험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설명변량 65%로, 월평균소득(250만원 이하)이 유의미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치과의료이용목적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정기검진의 경우 설명변량은 70%이였으며, 직업(전문직), 연령(33-35세)이 유의미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고, 예방목적의 경우 설명변량은 78%이였으며, 연령(33-35세), 월평균소득(250만원 이하)이 유의미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치료목적의 경우는 설명변량 33%이였으며, 연령(32세 이하)이 유의미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