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ated mediation Effect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1초

세대 간 소통과 일의 의미: 지식공유행동의 매개효과와 나이의 조절효과 (Intergenerational contact and work meaning: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 정서영;손영우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3호
    • /
    • pp.57-80
    • /
    • 2023
  • 본 연구는 세대 간 소통이 지식공유행동을 매개하여 일의 의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 정서적 선택이론(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을 기반으로, 지식공유행동이 일의 의미로 가는 경로, 세대 간 소통이 지식공유행동을 통해 일의 의미로 가는 매개경로가 나이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정규직 직장인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잠재 조절 구조방정식(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방법을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지식공유행동은 세대 간 소통과 일의 의미 사이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이는 지식공유행동을 매개로 한 세대 간 소통과 일의 의미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나이가 높을수록 매개 경로의 정적인 관계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식공유행동의 선행, 결과변인과 지식공유행동의 효과가 어떠한 상황에서 달라질 수 있는지 탐색하여 상세한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구성원 개인 특성을 고려한 코칭 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하기에, 코칭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영적 안녕과 대처기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ily Hassl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the Mediation and Buffering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and Coping Styles)

  • 김진이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41-75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건강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영적 안녕과 대처기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10여개 교회에서 40-50대 여성신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230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경로 분석, 조절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인 건강을 해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우울 수준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스트레스는 건강과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영적 안녕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 효과를 하고 있었다. 즉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영적 안녕을 저해하고, 저해된 영적 안녕은 신체 건강과는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지만 정신건강을 해치고, 우울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스트레스가 건강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기제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12개 대처기제 중에서 자기비판, 긍정적 해석, 자제 등 3개의 대처기제가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 여성의 일상생활스트레스 원과 건강특성 간의 관계에의 부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천에의 함의와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심리적 주인의식과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과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Focu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Engagement)

  • 정동섭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0권1호
    • /
    • pp.25-38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innovative behavior of Korean employees. This paper also examined whether job satisfaction positively mediates the above relationship. In addition, we address the moderating role and moderated mediation role of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By using cross-sectional data, wit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289 employees working in Korean hospitals, the main hypotheses were tested.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has shown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both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also found that job satisfaction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mediating role of job engagement was found.

안전풍토가 종업원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외투기업과 국내기업 비교 (The Effect of Safety Climate on the Job Attitude: Comparing Foreign Investment Company and Domestic Company)

  • 이경재;여경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6-87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safety climate, organizational tru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between safety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argeting population were the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First, it was figured out that employees' recognition of organizations' safety climate has an effect positively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t turns out that individuals' safety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was figured out that organizational trust plays a role as mediation when employees' recognition of organizations' safety climate has an effect positively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result revealed that foreign investment compan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organizational climate. Fifth, organization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 that the individuals' safety awareness are positively affected on the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 results of four hypotheses using intermediary variable in which organization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climate and "work attitud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demonstrate significance of trust in organization in connecting safety climate and work attitude. Therefore, when trust in organization is enhanced, work attitud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uld be improved.

중년 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on the midlife crisis: The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우창미;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53-162
    • /
    • 2024
  • 본 연구는 중년 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감사성향을 경유하여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중년 직장인의 중년위기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40~65세 중년층 직장인 313명이며, 자료는 SPSS Win. 25와 SPSS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직 불안은 감사성향,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중년위기감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퇴직 불안이 감사성향을 경유하여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시키는 조절된 매개역할을 하였다. 중년 직장인의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은 퇴직 불안이 중년위기감을 증가시킬 때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mocratic Parenting of Father)

  • 조설애;정영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435-456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조사 8차년도의 워킹맘 610명과 배우자를 대상으로 한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 워킹맘의 결혼만족도 및 우울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결혼 만족도는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 결혼 만족도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은 조절된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이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워킹맘의 결혼 만족도를 보호함으로써 워킹맘의 우울을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워킹맘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결혼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남편의 양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온라인 패션점포의 품절에 대한 소비자 반응: 심리적 반발심과 감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 Responses to Stockouts in Online Fashion Stores: Indic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Emotion)

  • 신혜선;허희진;추호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70-780
    • /
    • 2015
  •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fundamental causes affecting consumers' response actions from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situation of sellout occurring during shopping in online fashion stores. In addition, this study devised a virtual online shop in order to measure consumers' cognitive and emotional psychological responses they experienced when goods were sold out. The subjects involved women in 20s~30s, major customers of online shopping, an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eight questionnaire forms (2(stockout size: high vs low)${\times}2$(product assortment similarity: similar vs. dissimilar)${\times}2$(restocking cue: included vs excluded)). The number of final data used for the analysis was 336 and through SPSS 21.0 program, two-way ANOVA and bootstrap were utilized.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consumers' psychological responses (emotions, psychological reactance) of online shops differed by means of varying stockout situations. The stockout size had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reactance and nega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ositive emotions (arousal) according to stockout size. In stockout situ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assortment similarity and restocking cue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tockout size and restocking cues, product stockout size and product assortment for psychological reactance were significant. Lastly,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emotion between stockout size and behavioral response was tested. As a resul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reactance for substitute were significant when product assortment was dissimilar and restocking cue was exclude.

청소년의 집중력이 척추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지강도에 의해 조절된 스마트폰 과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ttention on spinal health of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moderated by cognitive strength)

  • 이진;김상우;이병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4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s of smartphone overindul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and spinal health of adolescents and to find out how cognitive strength moderates these relationship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All subjects measured attention, cognition strength, spinal angle,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 by measuring the ratio of SMR and mid-beta power to the power of the brain wave, amplitude variation of Cognitive Gamma-Peak, forward slope angle of the cervical spine, and the scale of diagnosis of smartphone addiction. Results: As a result, it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ention, spinal angle, cognitive strength, and smartphone overindulgence(p<.05). In addition, atten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on the spinal angle through smartphone overindulgence(p<.001), and cognitive strength was significantly mediated in relation to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spinal angle(p<.05). Conclus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overindulgence of a Smartphone is mediated according to its cognitive strength in relation to its effect of attention on the spine angle.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실패내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 Academic Burnout Among College Students :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Interpersonal Stress)

  • 이민주;김가현;이준우;;이상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5-185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대인관계스트레스 수준이 학업소진에 차별적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회귀분석과 부스트래핑, 그리고 조절된 매개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많을수록 학업소진을 많이 겪음이 확인 되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셋째,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는 대인관계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개인적·사회적 차원으로 나누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대학생 학업문제 개입 방안에 있어 대인관계스트레스를 다루는 것의 실무적 중요성을 시사한다.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대한 소외감의 영향에서 스트레스를 통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lien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 이성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심리적 소외감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지각의 매개 역할과 마음챙김의 조절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Hayes의 PROCESS Macro 4.0의 모델 7로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충청남도의 대학생 217명이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소외감은 스트레스 반응을 매개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준다. 이때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낮추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외감이 스트레스 반응을 거쳐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유발하는 심리적 과정을 밝혔다는 점과, 마음챙김이 스트레스 반응 완화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낮출 수 있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이다. 향후 스마트폰 중독 진단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