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ated effects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ffects of Earnings Management and Audit Quality on Cost of Equity Capital: Empirical Evidence from Indonesia

  • INDARTI, Maria Goreti Kentris;WIDIATMOKO, Jacobus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4호
    • /
    • pp.769-776
    • /
    • 2021
  •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and audit quality on the cost of equity capital and also examines whether audit quality acts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on the cost of equity capital.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are companies from the consumer goods industry sector listed on the Indonesia Stock Exchange (IDX) during the 2016-2018 period. This sector was chosen because it is a sector that is able to survive in conditions of economic decline, so it becomes a good investment opportunity in the future. The sample se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By using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MRA)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at earnings man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st of equity capital. Conversely, companies with good audit quality will bear lower cost of equity capital. The moderating hypothesis test results show that audit quality moderates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on the cost of equity capital. This means that, even though the company carries out earnings management, investors have more confidence in the results of audits conducted by qualified auditors so that the cost of equity capital is low.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and subjective norms with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a secondary data analysis comparing adolescents and emerging adults in South Korea

  • Sunhee Park;Sumi Oh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49-160
    • /
    • 2023
  • Purpose: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ge group (adolescence and emerging adulthood) moderated the relative effects of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verity, and subjective norms on preventive behavior agains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ethods: This secondary data analysis utilized data from adolescents (n=272) and emerging adults (n=239).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group on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sults: Higher perceived susceptibility (β=.21, p<.001), perceived severity (β=.14, p=.002), subjective norms (friends) (β=.26, p<.001), subjective norms (parents) (β=.44, p<.001), and subjective norms (schools) (β=.28, p<.001) enhanced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norms (friends and school) impacted preventive behavior in adolescents more than in emerging adults. Conclusion: Given the need to increase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among adolescents and emerging adults, these findings provide baseline data for designing effective COVID-19 prevention interventions that consider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ups. Interventions by health centers at universities can strengthen COVID-19 preventive behavior among emerging adults. As adolescents are influenced by friends, their peer roles must be strengthened to enhance adherence to COVID-19 preventive guidelines.

What Drives Mobile Commerce? Determinants of Behavioral intents to Adopt m-Commerce

  • Chung, Lak-Chae;Hwang, Inkeuk
    • 대한설비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50
    • /
    • 2018
  •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m-commerce (mobility,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habit) that influence consumers' behavioral intents to adopt mobile shopping. To this end, it theorized on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features of m-commerce that influence consumers' behavioral intents to adopt mobile shopp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critical drives of m-commerce in mobile shopping are mobility,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habit. And also we found that habit weakens (moderates) the effects of mobility on the consumers' behavioral intents to adopt mobile shopping. Habit has direct effects on the consumers' behavioral intents to adopt mobile shopping, and these effects are moderated by individual habit.

4차 산업혁명시대의 디지털 고객경험과 구매간 영향관계 - 디지털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tial Factors of Digital Customer Experiences on Purchas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Focusing on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Self Efficacy-)

  • 정상희;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101-115
    • /
    • 2020
  •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고 있는 고객들은 구매 깔때기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풍부한 정보로 무장한 현명한 고객의 등장과 맞물려 제품 선택의 폭과 디지털 채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하는 방식이 혁신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의 고객여정은 전통적인 깔때기 모형이 제시하는것보다 훨씬 복잡하게 되었다. 그래서 직선형이 아닌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는 비선형적인 정교한 접근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패션, 자동차, 화장품, 온라인 쇼핑몰의 4개 상품군 이용고객 1,200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으로 상품군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고객경험 속성을 도출하고 검정하였다. 디지털경험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디지털 자기효능감이 구매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디지털 자기 효능감을 조절된 매개변수로 도입하여 검정한 결과 고객만족도와 고객 충성도 간 디지털 자기효능감은 조절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 되었다. 실무적으로는 디지털 자기효능감이 높은 고객에게 디지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고다, 그러나 디지털 자기 효능감이 낮은 고객에게는 디지털 마케팅 피로도를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ultural Program Commitment on Career Perception &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Local Children Centers' Services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 장선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3-204
    • /
    • 2021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N시 지역아동센터 22개소에 다니는 19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몰입, 진로인식, 진로발달,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PC+ 25.0의 SPSS MACRO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인식, 진로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매개하는 자기효능감을 사회적지지가 조절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아동·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커지고, 문화프로그램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긍정적 영향이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성별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Climate and Innovative Behavior)

  • 박재춘;유준;설현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58-269
    • /
    • 2021
  • 본 연구는 혁신행동을 강화하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의 효과를 규명함과 동시에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구성원들의 성별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전국제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1,026명을 대상으로 SPSS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효과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높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긍정적인 관계는 구성원들의 성별에 따라 조절되었다. 즉, 여성과 달리 남성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낮은 수준에서 높은 혁신행동을 보였으나,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높은 수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혁신행동을 보였다. 셋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 성별 및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가 실증되었다. 먼저, 회복탄력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높을 때, 여성들의 혁신행동이 남성보다 높게 강화되었다. 반대로 남성들의 혁신행동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는 관계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탄력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관계없이 남성이 여성에 비해 혁신행동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연구 한계 및 향후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과의존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 김지연;김현하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2호
    • /
    • pp.269-29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를 인터넷 과의존이 매개하여 중학생의 우울·불안을 자존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척도, 인터넷 과의존 척도, 우울·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이용하여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아동데이터 383명 자료(중학교 1학년 114명, 2학년 138명, 3학년 131명)에 대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모델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터넷 과의존이 이를 매개하며,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를 자존감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인터넷에 과의존을 하게 되며, 우울·불안이 증가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자존감이 보호요인으로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직업 스트레스와 전문적 가치가 제품 디자이너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조절된 매개모형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Professional Value on Happiness of Product Designer: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Grit)

  • 유리사;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69-79
    • /
    • 2023
  • 본 연구는 직업스트레스가 직업적 가치를 경유하여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그릿이 조절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여 중국 제품디자이너의 행복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중국 남부 광둥성에 살고 있는 의도적으로 표집한 335명의 중국 제품 디자이너를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 Win. Ver. 26.0과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였다. 적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스트레스는 직업가치 및 그릿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행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를 제외한 다른 변수들 간에는 정적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M-SD, M, M+SD일 M+SD일때 조건부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릿의 조절된 매개역할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직업적 가치가 높아질수록 그릿은 행복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으나, 직무스트레스->직업적 가치->행복의 경로에서는 그릿이 직업적 스트레스를 통해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충시키지 못했다. 직업적 가치와 그릿을 활용한 제품 디자이너들의 행복 증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노인우울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Depression and Health Satisfaction)

  • 이미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1-471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depression and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public data files in the 2011 Elderly Living Condition Survey database. The sample included 9,461 ca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satisfaction were geriatric depression (${\beta}$=-.510, p<.001), gender (${\beta}$=.123, p<.001),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a}$=-.116, p<.001), income (${\beta}$=.050, p<.001), living alone (${\beta}$=.044, p<.001), and the area of residence (${\beta}$=.017, p<.05). Income moderated the effect of geriatric depression on health satisfaction. Noteworthy is that an increase in income slightly weaken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depression and health satisfaction.

부부갈등과 아동의 행동문제: 부부갈등해결의 중재효과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Resolution of Marital Conflict)

  • 권영옥;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1-74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the salutary effects of marital conflict resolution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were 487 4th and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f the SAS program. Children's problem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fter intervention, children's perception of the resolution of marital conflict moderated their aggressive or immature behavior. Sex and age differences showed salutary effects of marital conflict resolution on boys' but not girls' behavior problems and on 6th grade students but not 4th grade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