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banking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6초

개방 플랫폼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분석 (Accessibility Analysis of Mobile Applications for Open Platforms)

  • 문현주;민홍기;김석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7-198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모바일 앱 접근성 KS, 미국의 재활법 508조 개정 표준 및 유럽의 BBC 지침을 기준으로 개방형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뱅킹 앱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우리나라 8개 시중은행의 모바일 뱅킹 앱 중 상기 3가지 표준의 세부 항목을 모두 만족하는 앱은 한 곳도 없었다. 대표적인 위반 항목은 대체 텍스트 미비, 키보드 초점 위반, 컨트롤 크기 및 간격 미준수, 명도대비 비율 낮음 등이었다. 이들 위반사례는 시각장애인, 상지장애인 및 저시력인과 고령자의 접근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치명적인 오류이다. 모바일 뱅킹 앱이 접근성을 준수하지 않는 원인에 있어서는 모바일 앱 개발자와 제공자들의 접근성에 관한 인식이 낮고 접근성 구현 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모바일 앱 접근성 지침을 재활법 508조 개정 표준 및 BBC 표준과 비교한 결과, 많은 항목이 누락되어 있었다. 또한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추상적이어서 개발자들이 구체적으로 참고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앱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발자 및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표준의 보완이 필요하다.

모바일뱅킹 환경에서 서비스 채택의도와 피신뢰자 유형 (Customer Adoption of Emerging IT Services and Trustee Types)

  • 김기문;남상민;이호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67-83
    • /
    • 2007
  •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시스템 연구에서 중요하지만 간과된 주제인 피신뢰자 이슈를 다룬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뱅킹 서비스 환경에서 피신뢰자 유형에 따른 신뢰 유형들과 고객의 정보기술 서비스 채택의도 사이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고객 자신에 대한 신뢰가 모바일뱅킹 서비스의 고객 채택의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모바일 채널에 대한 신뢰가 그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모바일뱅킹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신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한다.

금융 Chip 기반 Mobile Banking서비스 구축 및 표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 Standardization of the Mobile Banking Service based on Financial Smart Chip)

  • 한명준;김지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547-549
    • /
    • 2004
  • 금융과 통신의 컨버전스 영역서 탄생된 금융칩 기반 모바일뱅킹 서비스 구현 과정에서 나타난 표준화에 대한 이슈에 대해 알아보고, 그 중에서도 금융칩 표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금융칩 설계목적, 규격 및 파일구조 등에 대해 연구하고 현재 국내은행 중 방식 A와 방식 B를 채택한 은행간의 차이점 및 문제점, 장단점 분석 및 금융칩에 탑재하는 신용카드 방식에 대한 표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E-Banking Performance in Uganda: A Case Study of Bank of Uganda

  • Nuwagaba, Alfred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20
    • /
    • 2015
  • Online or e-banking has been adopted as key banking innovation in Uganda adopted by all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country. This research explored the state of e-banking and its efficacy in Uganda banking industry. A correlation analysis approach was adopted for this research. In Uganda, the banking sector has been liberalized with telecommunications allowed to effect e-banking and ecommerce transactions. The study concentrated on the periods of years 2011/2012 and 2012/2013. Findings from this research revealed that BOU uses UNISS for real time gross settlement (RTGS). Since its adoption a +1 coefficient correlation was realized. With the use of mobile money, also a +1 coefficient correlation was achieved for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As regards the use of e-cheques, there was a drop reflected by -2.8 percent which could have been attributed to perception of the users, though there was a +1 coefficient correlation when considering e-cheque transactions and the monetary value. The use of EFT in Uganda generated a +1 coefficient correct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users and the monetary value involved. Bank of Uganda should work hard and make or go live with electronic banking supervision software which would aid them with their supervisory roles.

고령층 연령에 따른 뱅킹앱 사용성 인식에 대한 차이 분석 -PACMAD 모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banking app usability by elderly age - Focusing on the PACMAD model -)

  • 정현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61-75
    • /
    • 2023
  • 본 연구는 고령층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뱅킹앱의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성(People At the Center of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모델을 설명하고 60세 이상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은행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고령자 165명을 대상으로 SPSS 25.0를 이용해 기술통계 및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효율성, 만족도, 효과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학습가능성, 기억가능성, 오류, 인지부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연령별 차이 검증에서 모든 변수가 연령별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뱅킹앱에 대한 고령층의 사용성 평가와 연령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컨택스트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지만, 연령이 고령층에 한정되어 일반인과의 비교가 어렵다는 점과 다양한 통제변수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도 존재한다.

비밀코드의 상대적 위치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용 간접 PIN 입력 기법 (Indirect PIN Entry Method for Mobile Banking Using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of Secret Code)

  • 최동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738-746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irect PIN entry method that provides enhanced security against smudge, recording, and thermal attacks. Conventional mobile PIN entry methods use on-screen numeric keypad for both use of display and entry. Thus These methods are vulnerable to aforementioned attacks. In our method, passcode is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PIN entry methods, and that is user-friendly way for mobile device users. Therefore, our method does not reduce user convenience which is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methods. In addition, our method is not a method of directly touching the on-screen numeric keypad for entering passcode like the conventional PIN methods.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s, our method uses an indirect passcode entry method that applied a passcode indicating ke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comparison result, proposed method provides user convenienc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methods, and also provides a higher level of security and safety against recording, smudge, and thermal attacks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모바일 기기의 사용편리성, 채널선호도, 인지된 가치가 모바일 뱅킹시스템 사용에 미치는 영향

  • 강현정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8년도 연합학회학술대회
    • /
    • pp.43-53
    • /
    • 2008
  •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는 가운데 모바일 뱅킹 서비스는 가장 잠재력인 비즈니스 모델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뱅킹과 다른 사용환경으로 인해 성장속도의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모바일 채널선호도, 사용편의성, 인지된 가치에 관한 가설을 검증하고 향후연구의 방향에 대해 토의하였다.

  • PDF

시니어들을 위한 모바일 뱅킹 이용률 개선을 위한 UX 디자인 (UX Design of Mobile Banking Usage Improvement for Seniors)

  • 이종빈;변호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7호
    • /
    • pp.325-332
    • /
    • 2023
  • 세계 인구가 이미 초고령화 시대에 진입하였고, 그 비율이 2050년도에 도달하면 대략 40%로 육박하게 된다. 4차 산업 혁명의 주요한 기술에 해당되는 자동화와 온라인 서비스가 시니어들에게는 아직도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빠른 기술의 변화는 그들의 삶의 질까지도 위협하고 있으며 세상에서의 고립까지도 야기시키고 있다. 앞서서 언급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들 중에 특히 공공 성격이 강한 금융 서비스는 은행 점포의 급격한 감소로 온라인 서비스가 어려운 그들에게 유일한 돌파구였던 점포에서 대면으로 필요한 서비스들이 점점 사라지면서 생활의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모바일 뱅킹 서비스 이용률이 대략 5%에 불가한 시니어들의 사용상의 어려움을 분석하고, 그들의 사용성을 개선하고자 시니어 맞춤형 모바일 뱅킹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UX 디자인에서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송금 서비스 화면을 간결한 절차와 명확한 단계 이동과 필요한 선택만을 할 수 있도록 UX 디자인을 개선하고, 은행별 사용률을 분석하여 50대이상부터 연령대별로 3단계로 나누어 선호 은행을 사용자별로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56 개이상의 은행 리스트 중에 원하는 은행을 선택시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근 사용한 은행을 은행 우선순위 리스트에 업데이트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UX 디자인은 시니어들의 사용성 만족도 조사해 본 결과 5점중 평균 4.8점 이상의 만족도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은행 보안카드 자동 인식 (Automatic Recognition of Bank Security Card Using Smart Phone)

  • 김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9-26
    • /
    • 2016
  • 모바일 뱅킹을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에 은행 보안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이 여전히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보안카드의 보안코드를 스마트폰에 암호화하여 저장해 두고 모바일 뱅킹을 위해 사용자 인증이 필요할 때 자동 입력되도록 한다면 보안카드를 소지하지 않고서도 모바일뱅킹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보안카드의 보안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스마트폰에 등록할 수 있는 보안카드 자동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무늬의 배경이 디자인된 보안카드에서 숫자들만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 개선된 적응적 이진화 방법을 사용하였고 훼손되거나 붙은 숫자들까지 분할 인식하기 위해 적응적 2차원 레이아웃 해석 기법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안드로이드 및 아이폰에 구현하고 실험해본 결과 매우 우수한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종단간 암호화 (The End-to-End Encryption for Enhancing Safety of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 성재모;이수미;안승호;노봉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920-1925
    • /
    • 2009
  • '05. 6월 인터넷 뱅킹으로 인한 최초 사고는 전자금융거래 보호를 위한 보안프로그램 기능을 중지하고, 이용자가 입력한 주요 금융거래정보 즉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계좌비밀번호, 보안카드 비밀번호 등을 수집하여 이를 전자금융거래에 사용하였다. 이처럼 백신 프로그램이나 개인 방화벽과 같은 보안프로그램의 기능을 우회하는 해킹 툴에 의해 금융정보를 갈취하는 행위는 계속해서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금융거래에 있어 이용자 단말기에서부터 금융기관의 금융거래서버까지 이용자가 입력한 금융거래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자금융시스템을 구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금융거래에서 발생된 위협에 대해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 전자금융거래인 인터넷뱅킹, 금융자동화기기, 모바일뱅킹에서 보안성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 할 보안사항에 대해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