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itary facilities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7초

AHP를 이용한 군 행정시설 기능공간 특성분석 (Analyzing the Features of Functional Spaces on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 박호성;이현수;박문서;지세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1호
    • /
    • pp.37-46
    • /
    • 2019
  • In order to present the enhancement direction for the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that can satisfy the user demands and achieve cost-effectiveness the goal of public projects, this research analyzes the features of functional spaces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Basically, the scope is selected to four facilities commander office, private office, public office, and meeting room, because they have an effect on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Since the space i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ir own functions, this research begins with an analysis of functional spaces of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which is ver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expert. Thereafter, an AHP survey is conducted to military personnel to analyze the priority of functional spaces and to re-classify the functional spaces of each Military administrative facilities. Resultingly, the difference of functional spaces preference according to ranks and facility type are identified. Even though the same military facilities, it means that user satisfaction is different. Therefore, user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facility at the construction plan. It can minimize overlapped and unused spaces, which can help ensure cost-effectiveness. Consequent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methodology and the process that can take user satisfaction and can support the enhancement of military facilities standards.

군 복지시설의 민간활용 연구 (The Utilization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by Private Sectors)

  • 이승욱;고진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9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와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군 복지시설 민간 활용의 개념은 민간이 군 복지시설을 활용해 추가적인 효용이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민간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민간의 개발행위로 시설의 고도화나 유휴부지의 개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군 복지시설은 군 장병들과 가족들의 복지 증진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지만, 대부분의 서설이 노후화되어 건물의 리모델링을 통한 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 측면에서 군 복지시설은 주민 친화적인 시설로 인식되어 있어 지역사회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도시 자원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 군 복지시설은 주민들에게 더 이상 기피 시설이 아니며, 민간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은 활용은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에 필요한 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최의 공간으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 복지시설 중 민간 활용이 가능한 시설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108개 복지시설 중 영외에 있는 시설 80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 내 9개 시설에 대해 민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민간 활용방식의 유형으로 3가지를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책제언으로는 군 복지 확대를 위한 민간 참여 활성화와 군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개발방식과 다양한 주체 간의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 군의 복지 증진과 도시의 환경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건축물 유지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군시설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intenance Improvement in Buildings - Focused on the Military Facilities -)

  • 이미혜;김인호;김용인;이찬식;박태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311-314
    • /
    • 2001
  • 한국전쟁 이후, 우리 군은 시설건설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였으나, 대부분의 군시설은 건설의 긴급성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이 부족한 상태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현재 군이 보유한 시설 중 경과연수가 20년 이상 된 노후 시설은 약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원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현대화 사업 등을 통하여 노후 군시설을 교체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하고 유지관리 되지 못할 경우 국가예산의 낭비를 초래하고, 기존 시선의 철거로 인해 발생하는 건축폐기물에 의한 환경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경제적인 낭비를 줄이고 군시설의 장수명화를 도모하기 위한 효율적인 유지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군사시설보호법에 의한 국방부 보유 부동산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Protection of military bases and military facilities in the real estate assets hel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 신광식;김동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81-186
    • /
    • 2012
  • 본 연구는 군부대와 지방자치단체가 군사보호구역 설정으로 수시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을 중심으로 군 부동산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부에서 계획을 수립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동산전문가를 양성하여 자문단을 구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군 부대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미래형 도시개발을 하여야 한다. 셋째 군사보호구역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접경지역의 관리 및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는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을 위한 국방시설분야의 현황파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Military Facilities for the Introduc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 임채연;박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6-47
    • /
    • 2020
  • Now a days, Lots of research about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progressing. Attempt of technologies on construction engineering field, such as construction management by drone, building equipments based on the IoT technology and etc., are continuously tried by government and private enterprises. Meanwhile, the applic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on the military facilities should be reviewed cautiously, because of th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such as military security. Therefore, this study aim to understanding of present status of military facilities for introduc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question investigation targeting working groups for military facility management is conducted.

  • PDF

조적조 노후 군시설의 성능평가기준 (Performance Evaluation for Deteriorated Masonry of Military Facilities)

  • 양은범;신종현;이찬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67-174
    • /
    • 2003
  • 우리나라 군 시설에서 조적조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군 시설 현대화사업의 추진 등으로 성능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없이 노후 시설물을 철거하는 경우가 있어서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적조 노후 군시설을 효율적으로 유지보수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시설물의 기울기 및 침하, 내하력, 내구성 등을 조사하여 시설물 전반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내하력은 조적상태, 줄눈모르터 상태, 긴결철물의 상태, 테두리보 상태, 하중상태 등으로 평가하고, 내구성은 균열, 표면노후화, 진동등의 항목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항목의 중요도는 AHP 기법을 적용하여 산정한 가중치로 결정하였다. 조사대상 조적조 노후 군시설의 성능을 판정할 수 있는 절차도 제시하였으며, 사례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기준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군부대 유휴부지를 활용한 탄소 순 배출량 제로 달성을 위한 태양광 패널 및 수소 연료 저장시설의 설치 규모 예측 (A Study on Predicting Installation Scale of Photovoltaic Panels and Hydrogen Fuel Storage Facilities to Achieve Net Zero Carbon Emissions Exploiting Idle Sites of Military Bases)

  • 문동학;허지용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4
    • /
    • 2024
  • In this study, the scale of renewable photovoltaic(PV) panels and hydrogen fuel storage facilities required to achieve "net zero carbon emissions" in military facilities were predicted based on actual electricity consumption. It was set up to expect the appropriate installation size of PV panel and hydrogen fuel storage facility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limited to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public sector, including national defense and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in Yeongche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paper are largely composed of two parts. First, representative meteorological factors were considered to predict solar power generation in the Yeongcheon area, and solar power generation was estima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Second, the size of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hydrogen storage facilities in military bases was estimated with the amount of solar power generation and electricity consump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calculated that a site of 155.76×104 m2 for PV panels was needed and a facility capable of storing 27,657 kg of hydrogen gas was required. Through these results, it is meaningful to demonstrated the prospect that military units can lead the achievement of "carbon net zero 2050" by using PV panels and hydrogen fuel storage facilities on idle sites of military bases.

국방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상생하는 군 부동산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Department of Defense and the local government's property management on ways to mutual research)

  • 신광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73-580
    • /
    • 2011
  • 본 연구는 군부대와 지방자치단체가 군사보호구역 설정으로 수시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을 중심으로 상생할 수 있는 군 부동산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부에서 계획을 수립할 때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동산전문가를 양성하여 자문단을 구성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둘째 군부대 부동산 자산을 활용한 미래형 도시개발을 하여야 한다. 셋째 군사보호구역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접경지역의 관리 및 개발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는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방시설에 적합한 선진 유지관리예산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pplication of Advanced Maintenance and RePairBudgeting Model for Domestic Military Facilities)

  • 박찬식;홍성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23-131
    • /
    • 2002
  • 공공 시설물별 특성을 반영하기 힘든 Incremental Budgeting 모델에 근거한 유지관리예산의 산정 및 배정은 유지관리 요구와 투자예산간의 관련성을 더욱 격리시켜, 시설물의 조기 노후화를 발생시키고 있다. Incremental Budgeting 모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일부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 모델의 테두리에서 이루어져 근본적인 처방이라 보기 힘들다. 공공 시설물 유지관리예산모델의 해결방안은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50\%$ 이상이 80년대 이전에 축조되었으며, 최근 대형화$\cdot$현대화되는 추세인 국방시설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해 적합한 유지관리예산모델을 선정하고, 이에 따른 현행 업무프로세스를 개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