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Utilization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by Private Sectors

군 복지시설의 민간활용 연구

  • 이승욱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 국토연구원) ;
  • 고진수 (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Received : 2023.05.17
  • Accepted : 2023.06.20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ivate utilization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that are aging or underutilized in urban areas. It also aims to develop ways to strengthen cooperative win-win strategies between the military and local communities. The use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by the private sector refers to activities where the private sector generates additional benefits or added value by allowing the use of these facilities, including both private use and improvements to facilities or development of land through private sector invol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ity and the locals, military welfare facilities are perceived as resident-friendly and excellent urban resources that can promote reciprocal satisfaction between the military and local commun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litary, military welfare facilities are important for enhancing the welfare of military personnel. However, they often face limitations in providing various welfare services due to the aging of facilities and limited operations with a single purpose. The improvement of private utilization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will bring diverse reciprocal benefits to the military, the city, and the locals. Above all, improving the private utilization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can help the military and local communities jointly address diverse urban issues.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and find flexible and diverse development strategies that can promote the welfare of the military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locals, it is important that both the military and local communities make continuous efforts.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와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군 복지시설 민간 활용의 개념은 민간이 군 복지시설을 활용해 추가적인 효용이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민간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민간의 개발행위로 시설의 고도화나 유휴부지의 개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군 복지시설은 군 장병들과 가족들의 복지 증진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지만, 대부분의 서설이 노후화되어 건물의 리모델링을 통한 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 측면에서 군 복지시설은 주민 친화적인 시설로 인식되어 있어 지역사회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도시 자원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 군 복지시설은 주민들에게 더 이상 기피 시설이 아니며, 민간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은 활용은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에 필요한 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최의 공간으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 복지시설 중 민간 활용이 가능한 시설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108개 복지시설 중 영외에 있는 시설 80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 내 9개 시설에 대해 민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민간 활용방식의 유형으로 3가지를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책제언으로는 군 복지 확대를 위한 민간 참여 활성화와 군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개발방식과 다양한 주체 간의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 군의 복지 증진과 도시의 환경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국토연구원 연구과제 '도시 내 군 복지시설의 민간활용 제고를 통한 상생협력 강화방안' 내용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음

References

  1. 강한구.강소영(2007), "국방부문의 민간자본활용 (BTL)과 과제", 「국방정책연구」, 23(2): 81~112. https://doi.org/10.22883/JDPS.2007.23.2.003
  2. 국방부(2020), 「2020 국방통계 연보」, 서울.
  3. 국회예산정책처(2009), 「국방.군사시설 이전사업 평가」, 서울.
  4. 김영봉(2006), "군사시설 이전부지의 효율적 활용방안", 「국토」, 302: 24~34.
  5. 김재관.심재정(2007), "민군갈등의 원인과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육군 제35사단 이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4(2): 203~237. https://doi.org/10.17089/KGR.2007.14.2.008
  6. 김홍주.김인희.우명제(2009), "도심지 군부대 이전부지 활용사례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8(4): 401~429.
  7. 박영준.손기영(2016), "민군상생을 위한 지속가능한 군사시설 공유방안 연구",「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7(2): 110~117. https://doi.org/10.6106/KJCEM.2016.17.2.110
  8. 박준영.이은엽.송선영.엽정식(2014), "군사시설 이전부지 공원화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LHI Journal」, 5(4): 225~234. https://doi.org/10.5804/LHIJ.2014.5.4.225
  9. 유한욱.유경준(2009), 「군 복지시설 확보 및 운영사업」,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10. Lee, S. U., Y. J. Bae, J. H. Cho, H. A. You and Y. Yu, (2021), Policy Suggestions for the Private Use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in Urban Area, Seojong: KRIHS. (in Korean)
  11. 이왕건.정미숙.김우락.류태희.이유리.이현수.조재범.주희선(2011), 「군사시설 이전부지를 활용한 재생사례,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안양: 국토연구원.
  12. 조흥식(2010), "육군 직업군인복지의 발전 방안", 「한국사회과학」, 32: 155~181.
  13. 지준만.김형주(2015), "이전적지의 유형별 활용 사례 및 활용촉진방안 연구", 「한국도시행정학보」, 28(2):145~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