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tion of worker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Ritualism versus Universalism: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an Effective Rights-Based Labor Migration Regime in ASEAN

  • Tigno, Jorge V.
    • 수완나부미
    • /
    • 제11권2호
    • /
    • pp.159-186
    • /
    • 2019
  • Southeast Asia accounts for nearly a tenth of total worldwide cross-border movements of migrant workers. Cambodia, Indonesia, Laos, Myanmar, and Philippines make up the sending countries while Malaysia, Singapore, and Thailand are the major destinations. Migrant worker movements are predominantly in production process and low- to medium-skilled sectors. It is not unusual for irregular or undocumented movements to take place. In not a few instances, migrants work under harsh and exploitative conditions. In recent years, however, ASEAN has taken steps to manage labor migration at the regional level. The paper argues that ASEAN has not managed these cross-border labor flows as well as it should particularly in terms of protecting and promoting the human rights of migrants. It will be difficult to establish the genuine building blocks for a regional human rights mechanism unless there is a diffusion of alternative universal norms and standards to what ASEAN already embodies. As long as states resist any attempt to weaken or question or deligitimize their capacity to determine who gets to enter, stay, and leave their jurisdictions, it will be difficult to establish an effective migrant rights framework for the region.

  • PDF

한국(韓國)의 급격(急激)한 이촌향도형(離村向都型) 인구이동(人口移動)과 농촌경제(農村經濟) (Rapid Rural-Urban Migration and the Rural Economy in Korea)

  • 이번송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2권3호
    • /
    • pp.27-45
    • /
    • 1990
  • 이촌향도형(離村向都型) 인구이동(人口移動) 농촌지역경제(農村地域經濟)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해 두가지 상반(相反)된 견해(見解)가 있다. 신고전학파적(新古典學派的) 낙관론(樂觀論) 따르면 이농현상(離農現象)은 농촌지역(農村地域)의 소득(所得)이나 후생수준(厚生水準)을 저해(沮害)하지 않는다고 보는 반면 Lipton (1980)은 그 반대의 견해(見解)를 취하고 있다. 본고(本稿)에서는 비교역재(非交易財)(nontraded goods)에 대한 국제무역이론(國濟貿易理論)과 화란병(和蘭病)(Dutch Disease)의 이론(理論)을 원용하여 농촌(農村)에서 도시(都市)로의 인구이동모형을 개발했다. 이 모형은 이농인구이동(離農人口移動)이 농촌지역(農村地域)의 소득(所得)과 후생수준(厚生水準)을 저해(沮害)한다는 점에서는 Lipton의 견해(見解)와 일치하나 소득(所得)을 감소(減少)시키는 요인들은 Lipton의 모형(模型)에서 지적(指摘)된 것들과는 다르다. 본고(本稿)는 이농현상(離農現象)이 농촌소득(農村所得)을 감소(減少)시키는 이유가 농업생산성(農業生産性)의 하락(下落) 때문이 아니라 농촌노동 및 소비인구의 격감으로 인한 농업부문(農業部門)의 이윤감소(利潤減少)와 농촌(農村) 서비스부문(部門)와 쇠퇴(衰退)때문이라고 주장한다. 1966, 1970, 1975, 1980 및 1985년의 한국인구(韓國人口)센서스 통계자료(統計資料)를 이용하여 주요가설(主要假說)들에 대해 실증분석(實證分析)을 한 결과 신고전학파(新古典學派)의 주장(主張)이나 Lipton의 견해(見解)보다 본(本) 연구모형(硏究模型)의 설명력(說明力)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 이순희;김신정;이영주;김숙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7-74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and to examine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Methods: One hundred and thirty migrant workers were sampled from two churches located at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collect basic data onmigrant workers from August to December, 2007 using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est. Results: 1) The average scores of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were $3.73{\pm}0.31$ and $2.57{\pm}0.31$, respectively. 2)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neliness according to religion (t=2.586, p=.001).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was not significant (r=-.010, p=.929). Conclusion: Social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level of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Mo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 PDF

농촌(農村)의 인구전출(人口轉出)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Out-migration of Rural People)

  • 백기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7권1호
    • /
    • pp.197-201
    • /
    • 1974
  •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since 1960 has also brought a rapid urbanization process, and recently many rural areas have begun to show actual depopulation, in which particularly the young, productive and high educated groups are leaving for cities. More than 70% of migrators go to large cities such as Seoul, Pusan and Taegu. Their main motives for migration are to seek a job in urban areas. The study showed following results; The rate of migration a year was 1% of total population. Regarding the age of migrators belong to between 10-39 years old, especially migrator aged 10-29 years are comprised 87%. The educational level of migrator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residents. Considering the sibling order of migrators,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for first son seemed to change. Concerning the place of destination, more than 70% of migrators moved to large cities such as Seoul. Pusan and Taegu. The main motivation of migration was to seek a job in urban areas. The occupation at the place of destination were factory workers, employee at company, students, salesme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in that order.

  • PDF

안산지역 이주노동자의 노동이주 유형과 지역-사회관계 (The Pattern of Labor Migration in Ansan and Their Local-Social Relationship)

  • 이태정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3호
    • /
    • pp.73-10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안산지역에서 노동 및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의 사회적 관계의 특성을 체류자격 및 법적 지위를 제한하는 상황과의 상호연관 속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안산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노동공간인 작업장과 생활공간인 지역사회를 방문하여 설문조사 및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안산지역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관계는 특정 공간 및 에스닉 커뮤니티에 집중되어 있는 한편, 직장에 따라 유동적이고 일시적인 고용관계 의존적 형태를 보인다. 이를 이 글에서는 '제한된 지역-사회'관계로 규정하였다. 그 특징은 첫째, 직장생활 관계는 동료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사나 노동조합과 같이 지위에서 구별되는 관계보다는 같은 동료와 고민을 나누거나 개인적인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다. 둘째, 거주지 사회 관계에서는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집단, 즉 동포들은 함께 거주하고 있는 가족 및 친족과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비동포 집단은 지역사회 단체와 상호부조적 관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체류기간이 안정되었다고 해서 사회관계 역시 안정적이고 다양한 '정주적' 성격을 보일 것이라는 기대는 나타나지 않았다. 온라인(SNS 등)을 통한 연결이 가능해짐으로써, '트랜스내셔널'한 친족적 유대가 현지의 탈지역적 지역-사회관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A Study on Analysis of Industrial Injury Characteristics of Aging Workers in Agriculture

  • Kim, Yuchang;Kim, Daesu;Park, Kyunghwan;Kim, Daesik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77-486
    • /
    • 2014
  • Objective:This study aims to devise industrial injury prevention measures by analyzing industrial injury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status of industrial injuries, source of industrial injury and accident type in order to prevent aging workers' industrial injuries that account for more than half in the workplaces in agriculture. Background: Continuous migration from farm to city takes place among young people in rural areas in Korea, a traditionally agricultural country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aging rate in rural areas in 2013 was 37.3%,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e total aging rate of 12.2% in Korea. According to industrial injury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number of industrial injuries in agriculture shows an uptrend and the industrial injuries of aging workers account for more than 50% each year. Method: Of the 2,970 industrial injury cases occurred in the workplaces in agriculture for five years during 2008 and 2012 offered by a national agency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this study analyzed 1,767 industrial injury cases of aging workers. Results: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aging workers' industrial injuries by company size in agriculture, 89.8% of the total number of industrial injuries were analyzed to occur in small scale company. According to aging workers' industrial injuries by source of industrial injury and accident type, the outdoor floor and a fall were analyzed to be the highest at 16.5% and 26.1%,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aging workers' industrial injuries by company size, age, job duration, accident severity, gender, nationality, the source of industrial injury and accident type in order to identify industrial injury characteristics in agriculture. Application: The identification of industrial injury characteristics of aging workers in agriculture is judged to be helpful to devising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industrial injuries.

재독한인 노동이주남성의 젠더 정체성 -생애사적 사례재구성 방법에 기초하여- (Gender Identities of the Korean male Migrant Workers in Germany -Based on the biographical Case Reconstruction-)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79-10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독한인 노동이주남성의 젠더 정체성을 생애사적 사례재구성 방법에 기초해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에, 해당 남성 5명의 생애사를 재구성한 결과, 이들의 생애사를 관통하는 젠더 정체성은 '직업생활을 중시한 개인으로서의 남성' 정체성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은 직업사적 굴절이나 단절의 정도, 이주 이전의 직업과 결혼의 경험 여부에 따라 이주국의 복지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연속적 혹은 비연속적으로 재생산되기도 하였고, '생계와 가사를 분담하거나 분 전담하는 남편으로서의 남성' 정체성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지체적 혹은 압축적으로 분화되기도 하였음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사회복지와 생애사 연구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Exploring the effects of demographic transitions in Korea on migrant worker usage

  • CALLINAN, Nigel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2호
    • /
    • pp.7-1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how demographic transitions with workforce implications taking place in South Korea are affecting the job market, and proposes a novel conceptual model to analyze the increased role that migrant workers will play as the changes progress in the medium ter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qualitative approach based on the available published data is used in order to create a conceptual model that could be used to determine the order in which job sector strata will be gradually taken over by migrant workers, as the demographic transitions will create an increasing need for workforce reforms. Results: The study determines that migrant workers will replace domestic Korean workers in a stratified manner, initially in rural areas, followed by regional cities and then in the industrial areas on the edges of big cities, and the strata can be analyzed based on a proposed four-category model to determine where the opportunities will ope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use a conceptual model for this phenomenon. Extensive Government planning is needed to avoid possible social exclusion problems and to determine how to keep the economies of rural and regional Korean cities economically viable while they are becoming increasingly depopulated.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종사자의 거주이전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Migration of the Public Institutes workers on Resettlement to Local cities)

  • 노용식;이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21-231
    • /
    • 2021
  • 본 논문은 인구이동의 이론에 따라 혁신도시 이전기관 종사자 구성세대의 이동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개인 및 가구변수와 거리와 인구의 중력모델, 네트워크변수, 지방재정·지역경제·교육·문화·주택 등 전입지와 전출지의 상대적 유용성판단의 지역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의 이산성과 데이터의 구조를 감안하여 다층로짓모형 구축하였고 최종모형은 확률절편모델을 선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가구변수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30대 미만보다는 30-40대가, 대졸이하보다는 박사학위취득자가, 취업한 배우자보다는 미취업배우자의 이전종사자가 주민등록을 더하였다. 지역변수에서는 중력모델과 관련하여 기관까지 거리가 멀수록 주민등록을 더 한 반면, 이전 시기(t-1)의 일반 유입이 클수록 주민등록 이전을 덜 하였다. 지역간 상대적 유용성과 관련하여 전입지의 지역경제, 교육환경, 주거환경이 클수록 이전을 더하였고 지방재정의 경우는 반대였다.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 특성과 연구동향 (Migrant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and Research Trends in Korea)

  • 이정환;이성용
    • 한국인구학
    • /
    • 제30권2호
    • /
    • pp.147-168
    • /
    • 2007
  •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연구들을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1980년대말 이후 외국인 노동자 사회는 유입 인구의 급증, 불법체류자의 높은 비율, 개발도상국 출신 저숙련직 종사 젊은 남성층의 높은 비중, 외국인 노동자 지원단체의 성장 등의 변화를 겪으며 꾸준히 성장해왔다. 이와 더불어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연구들도 이 같은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과정의 특성들을 반영하면서 주제들이 다양해졌고 방법론도 세련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연구는 여전히 주제면에서 거시적 수준에 치중된 측면이 있고, 외국인 노동자 일부에 한정되어 있으며, 실태와 현황에 관한 기술적인 연구의 비중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경험적이거나 양적인 자료보다는 이론적이거나 질적인 자료에 바탕을 둔 연구의 높은 비중, 표본의 대표성 결여, 언어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연구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