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igrant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and Research Trends in Korea  

Lee, Jung-Whan (청주대학교 사회학과)
Lee, Sung-Yong (강남대학교 교양교수부)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v.30, no.2, 2007 , pp. 147-1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udies of foreign workers in Korea at a level of meta-analysis focusing on their subjects and methodology. Over the last 15 years, studies of foreign workers have diversified subjects and refined methodology reflecting major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patterns including a rapid increase in number, large populations of illegal sojourners, a majority low-skilled young male workers from less developed countries, and an active role of migrant-support NGOs. Nevertheless, the studies have shown problems such as a higher ratio of macroscopic discussions, overemphasis on social problematic issues and a tendency towards descriptive analysis. Methodologically, they have also revealed an inactive use of empirical and quantitative data, lack of representativeness of sample and disregard of an importance of language in the study of foreigner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researches of foreign workers in Korea.
Keywords
foreign workers; studies of foreign workers; migrant characteristics; subjects; methodology; Kore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수돌 (1996) <외국인 노동자 고용 및 관리실태와 정책대안-기업적 합리성과 사회적 합리성의 비교적 관점에서> 한국노동연구원
2 권주안 . 이번송 . 조준모 (1996) '외국인 노동력의 대체성 분석: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경제학 연구> 44(2): 135-158
3 김종일 . 이상철 . 이종구 . 설동훈 (1995a) '국제 노동력 이동과 외국인의 국내 취업: 국내 체류 외국인 노동자의 실태' <경제와 사회> 26(여름): 172-207
4 나영선 (1997) <외국인근로자 국내 도입제도의 효율적 운영방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5 박영범 (1992) <외국인력 수입과 정책 방향: ILO협약과 국내 노동시장문제> 한국노사관계발전연구소
6 설동훈 (1998) '중국 조선족 사기피해의 원인과 대책' <피해자학연구> 6: 67-102
7 설동훈 (2002) '외국인노동자 지원 시민단체 10년간의 쟁점과 과제' <시민사회> 6(봄): 34-46
8 설동훈 (2003a)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 제도개혁, 2003년: 산업연수생제도와 고용허가제도' <지역사회학> 5(1): 149-167
9 설동훈 (2005a) '일본과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 비교' <일본연구논총> 21(여름): 201-230
10 오상우. 조비룡. 허봉렬. 임강은. 홍승권. 최경만 (2000) '한국 일부 지역의 외국인 노동자의 의료이용 실태와 상병 사망 양상의 조사' <가정의학지> 21(8): 1053-1064
11 유길상 . 이정혜 . 이규용 (2004) <외국인력제도의 국제비교> 노동연구원
12 이욱정 (1994) '방글라데시 노동자들의 생활 실태와 적응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3 이정환 (2006)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에이즈 감염성'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주최 국민대학교 개교 60주년 기념 학술 세미나 '이주 외국인의 벚과 그림자: 단일 민족에서 다문화 사회로' 발표 논문
14 정기선 (2003b) '외국인 노동자의 정신건강'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지식마당
15 정현숙 (2004)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의 체험담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2(3): 27-45
16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1996) <외국인산업기술연수백서>
17 한현숙 (1996) '한국체류 조선족 노동자의 문화갈등 및 대응'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Lee, Jungwhan and Aeri Sohn (2006) 'Korean HIV / AIDS Policy on International Migrants: Comparing with OECD Countries' Journal of Korean Societies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5): 47-73   과학기술학회마을
19 김소영 (1995) <외국인력관련법제 및 정책의 국제비교> 노동연구원
20 강현아 (1996) '노동조합과 노동시장: 국가의 외국인노동자 관리정책과 관련 단체의 대응' <산업노동연구> 2(2): 159-196
21 한국경영자총협회 (1996) <단순기능 외국인력정책 개선방안 연구>
22 설동훈 (1992a) '국제 노동력 이동과 한국내 외국인 노동자' <한국의 지역 문제와 노동계급> 한국사회사연구회 논문집 37: 231-325
23 설동훈 (1999b) '외국인 고용허가제도의 내용 및 실사 방안' <노무관리> 148: 71-77
24 장연진 (2006) '이주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지역의 성장과 민족 네트워크: 안산시 원곡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 523-539
25 송병준 . 백석현 . 유명기 . 함한희 . 설동훈 . 이번송 . 권주안 (1997) <외국인 노동자의 현실과 미래> 미래인력연구센터
26 이정환 (2001) '외국인 노동자의 임금에 대한 공정성인식' <한국인구학> 24(2): 179-205
27 재정경제부 (2004) <중소기업 경쟁력강화 종합대책>
28 한성수 (1996) '외국인근로자 수입의 경제적 효과분석'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9 설동훈 (1992b) '한국의 노동시장과 외국인 노동자', <경제와 사회> 15(가을): 113-144
30 설동훈 (2006) '국내 불법체류 외국인의 적정 규모 추정' 권태환 . 김두섭 편 <한국 인국의 성장과 다양성> 한양대학교 연구 및 고령사회 발전연구소
31 이혜경 . 정기선 . 강수돌 . 설동훈 . 석현호 (1998) <한국사회와 외국인 노동자-그 종합적 이해를 위하여> 미래인력연구센터
32 함한희 (1995)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유입에 따른 인종과 계급문제' <한국문화인류학> 28: 199-221
33 송병준 (1994) <외국인력 문제의 실태와 대응방안> 산업연구원
34 김희재 (2003)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노동자 현황 및 정책' <사회조사연구> 18: 61-93
35 박영범 (1995) <비숙련 외국 인력의 활용과 산업기술 연수제도: 일본과 싱가포르의 외국인력정책의 경험과 시사> 중소기업연구원
36 설동훈 (1994b) '국내거주 이민노동자의 생활실태' <포럼21> 10(여름): 72-95
37 송병준 (1993) <산업인력의 수급원활화 빙안: 외국인력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38 정기선 (2003a) '외국인 노동자의 작업장 적응,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지식마당
39 Castle, S. and M. J. Miller (1998) The Age of Migration London: Macmillan Press Ltd
40 박배균 . 정건화 (2004) '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국인 노동자 거주지역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4): 800-823
41 Boehning, W. R (1984) Studies in International Labour Migration New York: St. Martin's Press
42 하경효 . 김영효 (1998) '외국인 근로자의 헌법적, 노동법적, 사회보장법적 지위'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1998년 춘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43 Lim, L. L. and N. Oishi (1996)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of Asian Women'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5(1): 85-116   DOI
44 Wong, Diana (1996) 'Foreign Domestic Workers in Singapore'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5(1): 117-138   DOI
45 김재원 (1997) '외국인 노동자 관리실태와 외국인 인력정책 방향' <경제교육 연구> 3: 87-122
46 김종일 . 이상철 . 이종구 . 설동훈 (1995b)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과 지원운동' <경제와 사회> 28 (겨울): 77-100
47 김경석 (1996) '국내 외국인 근로자 노동실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경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박충환 (1994) '한국인과 외국인 노동자간 문화접촉에 관한 연구: 작업장내 비형식적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49 석현호 . 정기선 . 장준오 (1998) <외국인 노동자의 노사관계와 사회적 적응> 집문당
50 이혜경 . 정기선 . 유명기 . 김민정 (2006)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0: 258-298
51 이정환 (2003) '외국인 노동자 공동체와 관련NGO'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지식마당, 353-398
52 최홍엽 (1997) <외국인근로자의 노동법상 지위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5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서울의 외국인 근로자 실태조사 연구>
54 조성원 (2000) '외국인 노동자와 노동계층 한국여성의 결혼사례를 통해 본 새로운 마이너리티의 형성 및 재생산'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오창균 . 임순광 (2004) <지역 외국인노동자 실태와 네트워크분석> 대구경북 연구원
56 김미정 (1995) '외국인 노동자의 복지 대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57 김철효 . 설동훈 . 홍승권 (2006) '인권으로서의 이주노동자 건강권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학> 7(2): 93-129
58 설동훈 (2003b) '한국의 외국인 노동자운동, 1992-2002년' 김진균 편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2: 한국사회운동의 흐름과 지형> 문화과학사; 76-99
59 이정환. 석현호 (2001) '외국인노동자의 기대체류기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35(4): 129-57
60 석현호 . 정기선 . 이정환 . 이혜경 . 강수돌 (2003)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지식마당
61 이정환 (2005) '외국인 노동자의 모국인 및 한국인과의 사회적 관계: 친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27(3): 75-90
62 정연주 (2001) '외국인 노동자 취업의 공간적 전개 과정: 경인지역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4(1): 27-42
63 법무부 (해당연도) <출입국관리통계연보>
64 석현호 (1998) '외국인 취업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한국사회학> 32(가을): 679-701
65 설동훈 (2004) '한국의 외국인 노동운동, 1993-2004년: 이주노동자의 저항의 기록' 최협.김성국.정근식.유명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아카데미, 469-487
66 유해근 (1997) '국내거주 외국인 근로자의 복지를 위한 교회의 역할' 숭실대학교 통일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이정환 (2007) <2006년 이주노동자 에이즈와 성행태 조사연구보고서> 한국에이즈퇴치연맹
68 박래영 (1993)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에 관한 조사연구' <노동경제논집> 16: 1-28
69 이정환 . 종효명 (2006) '중국인 노동자의 조직몰입: 국내와 중국내 한국기업 취업자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0(2): 603-629
70 노충래 (200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서울 경기지역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2: 127-159
71 유길상 . 이규용 . 이해춘 . 조준모 . 노용진 . 김헌구 . 박의경 (2004) <저숙련 외국인력 노동시장 분석> 노동연구원
72 강수돌 (1995) <외국인연수생 사용업체 실태 조사> 한국노동연구원
73 박경태 . 설동훈 . 이상철 (1999) '국제 노동력 이동과 사회적 연결망: 경기도 마석의 필리핀인 노동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3(겨울): 819-849
74 김정은 (2006) '이주노동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교육자료 분석' <이중언어학회> 30: 77-112
75 김선주 (1995) '한국에서의 외국인노동자 인권문제' <법조춘추>
76 설동훈. 최홍엽. 한건수 (2002) <국내거주 외국인노동자 인권실태조사> 국가 인권위원회
77 유명기 (1995)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 27: 145-181
78 백정숙 . 이계희 (2006) '이주 노동자의 여가제약요인과 여가행태' <관광레저 연구> 18(2): 243-259
79 설동훈 (2005b) '외국인 노동자와 인권: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기본권 및 인간의 기본권의 상충요소 검토:' <민주주의와 인권> 5(2): 39-77
80 성미영 (1997) '외국인노동자 권익보호단체의 현황 및 역할.'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1 이혜경 (1994) '외국인 노동자 고용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28: 89-113
82 이혜경 (2004) '한국 외국인 가정부 고둉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27: 121-153
83 함한희 (1997) '외국인 노동자의 갈등과 적응' <외국인노동자의 현실과 미래> 미래인력연구센터
84 설동훈 (1994a) '국제 노동력 이동과 외국인의 한국내 취업' <사회문화연구> 2: 62-99
85 설동훈 (1999a) <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 서울대학교출판부
86 이혜경 . 정기선 . 이정환 . 설동훈 (2002) '국내외 한국기업의 외국인력 관리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식 관리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6(3): 4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