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ological medium

검색결과 534건 처리시간 0.021초

세포의 Cytosine Deaminase 생산균 Arthrobacter sp. JH-13의 분리 및 효소생산 조건 (Isolation of Extracellular Cytosine Deaminase Producing Strain Arthrobacter sp. JH-13 and Cultural Conditions of It's Enzyme Production)

  • 전홍기;박정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7-263
    • /
    • 1984
  • 토양시료로 부터 cytosine과 5-fluorocytosine에 특이성을 갖는 세포의 cytosine deaminase를 생산하는 균주 JH-13을 분리하였다. 분리균 JH-13을 분류학적으로 검색한 결과 Arthrobacter 속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Arthrobacter JH-13으로 명명하였다. 분리 균의 세 포외 cytosine deaminase 생성을 위한 최적배지의 조성은 peptone 0.5%, meat extract 0.5%, soluble starch 0.5%, KCl O.1%로, 배지의 초발 pH 는 8.0으로 설정하였다. 500 ml용량의 진탕 flask에 최적배지 100 ml를 넣고 110 Rev.${\times}6$cm stroke로 $30^{\circ}C$에서 진탕배양하였을 때 효소생산은 54시간 부근에서 최고에 달하였다.

  • PDF

반합성 배지에서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인삼 Saponin과 그 관련물질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Its Related Materials on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in semi-Synthetic Media)

  • 전홍기;박건영;조영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8-294
    • /
    • 1986
  • 반합성 배지인 yeast extract sucrose (YES) 배지에서 인삼 saponm 및 그 관련 물질이 Aspergillus parasilicus의 AF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배양 시간에 따른 AF생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AF생성은 배양 9일째에 최고치을 나타내였으며 전 배양 기간을 통해 AF B1이 AFG1보다 많이 생성되었다. 배지내에 여러 농도의 인상 saponm을 첨가했을 때 모든 농도의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AF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aponin 0.05% 첨가시 균체량과 AF 생성량이 매우 감소하였고 saponin 5.0% 첨가시 균체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AF은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배지내에 saponindiol 맺 triol을 놓도별로 첨가한 경우 diol 0.05, 1.0 및 triol 0.1, 0.5, 1.0 %첨가군에서 AF생성이 감소되었다. 배치내에 saponin fraction를 첨가한 경우 fraction 1, 2, 4. 5. 6은 AF 생성을 상당히 저해하였으나 fraction 3과 7은 AF 생성을 자극하였다 0.05%의 adenosine, guanosine, caffeine 및 xanthosine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AF생성이 저해되었으나 0.05%의 adenosine 및 cv-tosine을 첨가한 갱우에는 AF생성을 증가시켰다. 5.0%의 saponine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AF생성은 전혀 일어 나지 않은 반면 total lipid의 합성과 균쳐1량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증가하였다.

  • PDF

배지 성분이 Streptomyces toxytricini에서의 lipstatin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nents on the Lipstatin Production by Streptomyces toxytricini)

  • 임미옥;인웬쑤이;이지선;유연수;김상달;남두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72-176
    • /
    • 2006
  • Streptomyces toxytricini로부터 lipstatin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배지 성분이 lipstatin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tryptic soy broth (TSB) 배지를 기본 배지로 하여 $28^{\circ}C$, 200 rpm 으로 3일간 배양하여 총 배양액(seed culture) 을 만들고, 여기에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지질 및 지방산등을 함유한 TSB 배지에 2% 접종한 후 60시간 동안 주 발효를 실시한 후, 배지 중의 lipstatin양을 측정하였다. 탄소원 중에서 glucose와 glycerol을 첨가한 배지에서 균체가 가장 잘 성장하였지만, lipstatin생산에는 lactose나 sucrose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균체 성장에 가장 좋았지만, 1.7% casitone과 0.3% soytone으로 구성된 TSB 배지에서 lipstatin생산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lipstatin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triolein을 발효 배지에 첨가한 결과, 균체 성장은 증가하였지만, lipstatin의 생산은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lipstatin의 생합성 원료로 추정되는 지방산들을 발효 배지에 0.5% 첨가하여 발효를 실시한 결과,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나 oleic acid를 첨가한 경우 S. toxytricini의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포화 지방산인 stearic acid를 첨가한 경우에는 균체성장 뿐만 아니라 lipstatin 생산량도 증가하였다.

Rhizobium japonicum원형질체 형성과 근류 bacteroids에 미치는 glycine의 영향 (Glycine Effect on Spheroplasting and Nodule Bacteroids of Rhizobium Jjaponicum)

  • 김성훈;김창진;이윤;유익동;민태익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7-202
    • /
    • 1985
  • Glycine이 R.japonicum의 spheroplasting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Fast-growing R. japonicum R-271은 4mg/ml의 glycine 함유배지에서 생육이 정상이었으나 세포 형태는 배양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colony 형성단위는 log-phasedlgn 현저히 감소하였다. R-271은 3.5mg/ml glycine 함유배지에서 6시간 배양후에, slow grower R-214는 0.1mg/ml glycine 함유배지에서 24시간 배양후에 lysozyme의 작용을 받았다. 두 균주 모두 이러한 처리에 의해 96%이상의 spheroplast 형성빈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spheroid-type cell은 대두근의 nodule에서 분리한 bacteroid에서도 관찰되었으며 nodule extract에 존재하는 유리 amino acid 중 glycine 은 다른 amino acid에 비해 소량 존재하고 있었다.

  • PDF

난배양성 토양세균을 위한 신배양기술의 고찰과 향후 발전 방향 (Review and Future Development of New Culture Methods for Unculturable Soil Bacteria)

  • 김재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79-187
    • /
    • 2011
  • 고찰을 통해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특징과 배양에 성공한 사례 및 성공하기 위해 알아야 될 지식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배지는 목적한 세균이 토양에서 느리게 성장하다가 실험실의 빠른 성장조건으로 전환하도록 알맞게 선택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기질, 질소 및 인 등의 농도를 낮게 조절해야 한다. 새로운 배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분자생태학적 연구도 병행되어야 한다. 세균 세포 간 음성적 상호작용을 줄이기 위해 평판배양 시 접종량도 평판 당 세포수가 50개 이하로 조절해야 한다. pH나 염농도 같은 성장조건은 실제 환경조건과 맞춰야 하며 배양온도는 낮거나 다양하게 그리고 배양기간은 길게 잡아야 한다. 새로운 배지에서 분리될 수많은 토양 미생물 콜로니들 중에서 단지 몇 개만이 난배양성이므로 이들이 기존에 배양이 되지 않았던 미생물인지를 신속 정확히 검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많은 토양세균들이 군집 내에서 서로 협력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공동배양이나 상등액을 이용해서 토양 미생물을 농화증식하고 이를 순수 분리하면 배양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호염성세균, Kordia algicida gen. nov., sp. nov.의 염류요구특성 (Salts Requirement of Moderately Halophilic Bacterium, Kordia algicida gen. nov., sp. nov.)

  • 손재학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2-116
    • /
    • 2005
  • 호염성세균인 Kordia algicida gen. nov,, sp. nov.은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에 의한 적조발생동안 마산만의 표층수로부터 분리되었다. 본 균주는 숙성해수가 공급된 ZoBell 2216e 배지에서 성장이 가능하나 $3\%$ NaCl만이 공급된 동 배지에서는 성장하지 않았다. 13종의 주된 재수성분을 대상으로 한 염류 요구성 조사에서 $Na^+,\;Mg^{2+}$$Ca^{2+}$ 이온이 제한된 배지에서는 성장을 하지 않아, 성장을 위해 필수적으로 3조의 이온을 요구하였다. 3종의 이온을 대상으로 한 Kinetic 조사에서 $Na^+,\;Ca^{2+}$$Mg^{2+}$ 의 Km 간은 각각 0.202 M, 0.089 mM, and 0.189 mM로 결정되었으며 $V_{max}({\mu}max)$는 또한 0.442h, 0.411h 및 0.316h로 결정되었다. 현미경적 관찰에서 K. algicida는 각 이온들을 제한하였을 때 $2\~8$시간에 내에 빠른 사멸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Kordia algicida는 해양으로부터 유래된 전형적인 호염성세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해양유래 미생물의 분리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Rhizopus oryzae와 Aspergillus oryzae의 속간 원형질체융합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between Rhizopus oryzae and Aspergillus oryzae)

  • Lee, Soo-Youn;Jung, Sung-Won;Kim, Seong-Han;Lee, Yung-Nok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8-223
    • /
    • 1993
  • Conditions for the release and regeneration of protoplasts form Rhizopus oryzae and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between Rhizopus oryzae and Aspergillus oryzae were studied. High yields of protoplast fusion between Rhizopus oryzae and Aspergillus oxyzae were studied. High yield of protoplasts from young germilings of R. oryzae were obtained by using lytic enzymes containing chitosanase (3 mg/ml), chitinase (3 mg/ml) and Novozym 234 (5 mg/ml). 0.5M glucose was used as the osmotic stabilizer and optimum pH of buffer was determined to be pH 7.5-8.0. Under these conditions, protoplasts were formed after about 3-4 hrs incubation. Approximately, 1.0%-4.9% of these protoplasts were formed after about 3-4 hrs incubation. Approximately, 1.0%-4.9% of these protoplasts regenerated on solid medium with a soft agar overlay. We have also carried out protoplasts fusion between R. oryzae and A. oryzae and have succeeded in obtaining three types of intergeneric fusants. In these experiments, 35% PEG-4000 and 10 mM CaCl$_{2}$ were used as fsogenic agents, and auxotrophic properties were used as a genetic marker to select fusants. Complementation frequency be protoplasts fusion of A. oxyzae and R. oryzae was 4.4% * 10$^{-5}$ . The fusant strains of the first type were prototrophs showing an Aspergillus type morphology with dark-yellow sporulation, those of the second type were also Apergillus type morphology but showed no sporulation. And the strains of the third type stopped growing when fusion products grown on regeneration minimal medium were transferred to fresh minimal medium. The formation of fusion products was observed by fluorescent vital stains for complementary labelling of protoplats from R. oryzae and A. oryzae. Rhodamine 6G and fluorescein diacetate wer useful complementary vital stains of Rhizopus and Aspergillus protoplasts for visualization of requency and type (dicell, multicell) of fusion.

  • PDF

Thiodiglycol를 분해하는 Cupriavidus sp.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iodiglycol-Degrading Cupravidus sp.)

  • 박종덕;김지천;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1-316
    • /
    • 2007
  • 탄소원으로 thiodiglycol(TDG)을 함유한 배지에서 농후배양하여 인삼토양으로부터 TDG 분해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 WS-32의 형태적, 생화학적, 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이 Alcaligenes faecalis와 유사한 생화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16S rRNA 서열이 Cupriavidus 속 균주와 유사도가 높은 균주로 판명되었다. WS-32는 $33^{\circ}C{\sim}37^{\circ}C$, pH $6.0{\sim}8.0$에서 성장이 우수하였으며, TDG에 의해 성장에 약간의 저해를 받지만, 배양후기에서는 이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현상을 보였다. HPLC를 통해 배양액 내 잔존하는 TDG를 분석한 결과 2일 배양하였을 때 배지내 잔존하는 TDG가 상당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리균 WD-32의 균체 파쇄상등액은 TDG의 산화활성을 보였으며, pH 8.0과 $45^{\circ}C$에서 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다.

풋마름병균의 길항세균 Bacillus amyloliquefaciens SKU-78의 대량 배양 조건 확립 (Fermentation of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Bacillus amyloliquefaciens SKU-78 Strain)

  • 김신덕;조홍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4-86
    • /
    • 2014
  • 길항균을 생물 농약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저렴한 산업용 배지를 이용한 대량 생산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풋마름병 방제 효과가 뛰어난 Bacillus amyloliquefaciens SKU-78 균주의 배양조건을 확립하였다. 저가의 산업용 기질로는 콩가루와 옥수수 전분 배지가 균 생장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최초 pH 5.5, 배양 온도 $30^{\circ}C$, 교반속도 150-250 rpm의 조건으로 30 L fermenter를 이용한 배양에서 20 시간째에 최대 생균수($1.2{\times}10^{11}$ CFU/ml)에 도달하였다. 저가의 산업용 배지로 배양한 배양액을 관주 처리하였을 때 65%의 발병 억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SKU-78 균주의 산업용 배지를 이용한 대량배양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Overexpression of the spr D Gene Encoding Strptomyces griseus Protease D Stimulates Actinorhodin Production in Streptomyces lividans

  • Choi, Si-Sun;Chi, Won-Jae;Lee, Jae-Hag;Kang, Sang-Soon;Jeong, Byeong-Chul;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305-313
    • /
    • 2001
  • The spr D gene encoding Strptomyces griseus protease D(SGPD); a chymotrypsin-like proteae, was cloned from Strptomyces griseus IFO13350 and sequence. Most of the amino-acid sequence deduc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is idential to that Strptomyces griseus IMRU3499 except that one amino acid has been deleted and Trp 369 has been substituted into Cys369 in the SGPD from S. griseus IFO13350 without affecting the protease activity. The spr D gene was overexpressed in Streptomyce liv-idans TK24 as a heterologous host. Various media with different compositions were also used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of SGPD inthe heterologous host. The SGPD productivity was best when the transformant S. lividans TK24 was cultivated in R2YE medium. The relative chymotrypsin activity of the culture broth measured with an artificial chromogenic substrate, N-scuccinyl-ala-ala-pro-phe-p-nitroanilide, was 16 units/ml. A high level of SGPD was also produced in YEME and SAAM medial but it was relatively lower that in R2YE medium and negligible amounts of SGPD were produced in GYE, GAE and Benedict media. The growth of S. lividans reacted the maximum level of cell mass at days 3 and 4 of the culture, but SGPD production started in the stationary phase of cell growth and kept increase in till the 10$^{th}$ day of culture in R2YE and YEME medium, but in GYE media the productivity reached maximum level at 8days of cultivation. The introduction of the spr D gene into S. lividans TK24 triggered biosyntheis of the pigmented antibiotic , actinorhodin, which implies some protease may paly a very improtant role in secondary-metabolite formation in sStreptomy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