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ological hazard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1초

깻잎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적용을 위한 수확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n Perilla Leaf Farms at the Harvesting Stage for the Application of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 권우현;이원경;송정언;김경열;심원보;윤요한;김윤식;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5-300
    • /
    • 2012
  • 본 연구는 안전한 깻잎의 생산을 위한 GAP 모델 확립을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한 깻잎 재배농가 3 곳을 선정하여 수확단계에서 작물, 재배환경 및 개인위생을 대상으로 미생물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총 96점의 시료를 수집하였으며 위생지표세균, 곰팡이, 병원성미생물(E. coli O157:H7, L. monocytogens, Salmonella spp., S. aureus 및 B. cereus) 및 공중낙하균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의 경우 깻잎과 토양에서 4.4~5.2 및 6.5~6.6 log CFU/g, 작업자 손에서 4.9~5.6 log CFU/hand, 대장균군은 깻잎과 토양에서 3.4~4.3 및 4.9~5.3 log CFU/g, 개인위생인 작업자 손에서는 2.3~3.4 log CFU/hand 수준으로 세 농장 모두 비슷한 오염도를 나타내었으며 곰팡이의 경우 깻잎에서 최대 4.4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E. coli O157:H7, L. monocytogens 및 Salmonella spp.은 모든 농장에서 불검출 되었다. 하지만 S. aureus는 A농장의 작업자 손에서 3.4 log CFU/g 확인되었으며, B. cereus는 깻잎과 줄기에서 2.0~2.4 및 1.4~2.1 log CFU/g, 관개용수 0.7 log CFU/ml, 토양 4.2~5.0 log CFU/g, 개인위생인 손에서는 3.0 log CFU/hand, 장갑과 작업복에서는 2.1~2.4 및 1.5~2.8 log CFU/100 $cm^2$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안전성이 확보된 깻잎을 생산하기 위해 중금속 및 농약 등과 같은 화학적 위해 요소와 이물 등의 물리적 위해요소 뿐만 아니라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농산물우수관리제도를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급식장의 조리기구.용기 및 작업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 박희경;김경립;신혜원;계승희;유화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5-323
    • /
    • 2000
  • 국내 단체급식업체의 급식장 위생환경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단체급식에 적용할 수 있는 HACCP Plan개발시 급식장에서의 위해요소중 조리기구 및 용기, 조리종사자, 급식 작업장 등의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생물학적인 분석이 실시되었다. 도마의 위생상태는 육류, 야채 및 생선용의 도마종류별 및 급식장별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일반세균수가 검체 채취면적 10$\times$10 $ extrm{cm}^2$$10^2$~$10^4$ CFU 정도로 양호하였으며, 소독한 행주의 경우 일반세균은 상당히 낮았고 대장균균은 검출되지 않아 양호하였다. 반면 채와 탈피기 등의 조리기구는 기구별, 급식장별 및 분석횟수별로 차이는 있으나 일반세균이 $10^{6}$ CFU이상 검출되거나 대장균군도 $10^{6}$ CFU이상 검출된 곳도 있어 전반적으로 위생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특히 칼의 경우 오염된 소독용액에 의한 이차오염이 문제되었다. 이러한 오염된 전처리기구는 원부재료를 전처리할 때 교차 오염시킬 수 있어 항상 세심한 주의와 관리.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조리종사자의 손에 대한 분석 결과 1차에서 $10^4$ CFU 이하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관이 일부에서 검출되었으나 2차 및 3차 측정시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급식환경의 위생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공중낙하균을 측정한 결과 작업장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모든 급식장에서 7 CFU/Plate 이하로 검출되었고 공중낙하 황색포도상구균은 단 1곳의 측정지점에서만 검출되었다.

  • PDF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유기질 퇴비의 병원성 미생물 저감화 (Reduction of Pathogenic Bacteria in Organic Fertilizer using Gamma-Irradiation)

  • 윤혜정;임상용;송현파;김병근;정진우;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6-251
    • /
    • 2006
  • 시판 유기질 퇴비(우분, 돈분, 계분 및 혼합분) 16종의 총 호기성 세균수, 대장균 및 대장균군 그리고 Salmonella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파악하고, 미생물 오염도 저감화 및 위생성 향상을 위해 감마선을 조사한 후 미생물 사멸도를 측정하였다. 총 호기성 세균수는 우분, 돈분, 계분 및 혼합분의 경우 $10^4{\sim}10^\;CFU/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장균군은 16종의 시료 중 12종의 시료에서 $10^1{\sim}10^3\;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대장균은 3종의 시료에서 $10^1{\sim}10^2\;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SS agar plate 분리 enteric group 미생물은 계분제품 중 1종에서만 검출되었다. 한편 총 호기성세균은 10 kGy 감마선 조사에 의해서 평균 4 log cycle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은 5 kGy 감마선 조사시 완전살균 수준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E. coli와 SS agar plate 분리 enteric group은 3 kGy 감마선 조사에 의해 완전 사멸되었다. 유기질 퇴비 분포 미생물의 D값은 SS agar plate 분리 enteric group은 0.40 kGy, E. coli는 0.39 kGy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시판 유기질 퇴비는 3 kGy 수준에서 축분뇨발효 비료액의 병원성 미생물 공정규정을 충족할수 있으며, 위생화를 위해서는 5 kGy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싱싱회류 생산업체의 HACCP 시스템 구축 전 후의 미생물학적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Chilled Freshes Raw-fish Manufacturers before and after HACCP System Establishment)

  • 박완희;이성학;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4-83
    • /
    • 2004
  • Raw-fish food contains a lot of moisture and is a high-protein food. It is a first-stage processed food taking a lot of manual work. Therefore, it is classified as a PHF food, very liable to cause a bacterial food-poisoning. But its manufacturers are usually small-sized and a systematic sanitation management is difficult to expect. But the manufacturer participating in this study produces chilled fresh raw-fish food. Fish are sliced into two fillets, which are packaged under vacuum, kept and distributed in refrigerators, and sold within a day. It is a newly-developed kind of raw-fish food, and a more improved kind of raw-fish food making possible a systematic sanitation management. The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is a systematic and continuous process-control method which is very efficient for controling food sanitation and reducing the expenses. A new HACCP model has been developed to be applied to a large-sized chilled fresh raw-fish food manufacturer. To ascertain its efficiency, the baterial examination was done to its workplace and products. The significance test was done on its data by "SPSS 12.0 for Window" and "Mann-Whitney U Test". The numbers of bacteria on its final produ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flatfish and porgy. The number of bacteria tended to decrease in each time-differential sampling (P<.00l). The final food products showed no food-poisoning bacteria in all the time-differential tests and in all the samplings, which proves that the CCP of the HACCP system is under control. After the SSOP program was applied, no pathogenic bacteria were found in the work-place, and the kinds and numbers of bacteria decreased. The numbers of general bacteria and colon bacilli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ose before the SSOP program in the filleting board (P<.05), in the skinning board (P<.0l), in the neck-removing knife (P<.05), and in the filleting knife (P<.01). The working equipments, periodically disinfected,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nitary conditions (in the dehydrator, P<.05). The number of bacteria found on the food-touching surface was within the standard (below 500/l00 cm$^2$) After the SSOP program was applied, the general bacteria and colon bacilli were not found. The quality of water used in the food processing was also within the standard. The numbers of bacteria falling from the air in the work-place were negligible in all the samplings (<30CFU/l000ι). The staphylococci and fungi were not found.

참굴(Crassostrea gigas) 탈각 공정에서 작업자 장갑에 의해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From Working Gloves Used in the Processing of Shuck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강민균;박슬기;강동민;이도하;조두민;이장원;이재화;신일식;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44-348
    • /
    • 2019
  • This study assessed the microbiological hazards of gloves worn during the shell shucking process of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we suggest an in situ method for minimizing microbial contamination. The study consisted of two groups, one in which the working gloves were periodically replaced (PRG) with new gloves, and another in which the gloves were not replaced (NRG). In the PRG group, gloves were replaced every 2 h during 8 h of processing. Food pathogenic bacteria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ecie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found in any samples, including gloves and shucked oysters. However, Staphylococcus aureus (SA) was detected in some samples, and the contamination levels were correlated with the working time and the regular replacement of gloves. SA was not detected on gloves or oysters of the PRG group. However, it was detected in the range of <$15CFU/15cm^2$ to $2.9{\times}10^2CFU/15cm^2$ on gloves after 6 h of continuous work, and from <$15CFU/15cm^2$ to $2.23{\times}10^2CFU/15cm^2$ on oysters after 8 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A contamination in shucked oysters originated from the working gloves, and that replacement of working gloves every 2-4 h will minimize SA contamination in oyster products.

우유의 HACCP 시스템에서 Predictive Food Microbiology Model 이용 (Application of Predictive Food Microbiology Model in HACCP System of Milk)

  • 박경진;김창남;노우섭;홍종해;천석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3-110
    • /
    • 2001
  • 예측식품미생물학(PFM)은 1980년대 후반 이후 식품미생물학 분야에서 새롭게 발생한 신학문 분야이다. PFM은 특별한 환경적 요인에 따른 미생물 특히, 병원성미생물의 반응(사멸과 생존)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학적인 모델을 이용한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PFM모델중 완전한 것은 없지만, 어떤 특정 조건하에서는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미생물의 반응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HACCP시스템, Risk Assessment 등에서 응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PFM 모델중 PMPwin5.1을 이용하여, 우유 저장에 대한 HACCP시스템 중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CCP 및 CL설정에 대한 방법론적 예를 제시하였다. 모델에 대한 초기조건으로 우유와 동일한 물리화학적 조건인 pH 6.7, Aw 0.993, NaCl 1.3%을 고정변수로 하고, 저장온도(4~15$^{\circ}C$)를 변이변수로 선정하여, 온도에 따른 주요 병원성미생물의 generation time, lag phase duration, infective dose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온도의 변화에 따른 각 병원성미생물의 성장을 안전정도에 따라 “안전온도범위(Safe temperature zone)”, “주의온도범위(Caution temperature zone)”, “위험온도범위(Danger temperatue zone)”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분류는 우유의 유통기간인 5일을 기준으로 각 병원성미생물의 lag phase duration, infective dose에 도달하는 시간에 따라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유의 HACCP시스템에 있어, 위해요인 분석시 위해요인의 분류 및 위해요소간의 위해 정도의 우선순위 부여에 보조적인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유통.저장단계에서 병원성미생물의 상징에 대한 온도수준을 나타내므로, 이 단계를 CCP로 설정할 수 있고, CCP에 대한 CL은 주위온도범위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허용수준에 대한 온도의 범위를 제시하므로 모니터링이나 검증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 PDF

볶음김치스프 제조공정중 살균공정에 대한 미생물학적 한계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biological Critical Limit in Sterilization processing of Fried Kimchi Soup)

  • 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18-4024
    • /
    • 2012
  • 본 연구는 볶음김치스프 제조공정중 살균공정의 살균온도와 시간에 대한 한계기준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살균공정의 한계기준 설정은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P사에서 약 30일 (2012년 5월 1일~30일)동안 살균온도, 살균시간, 관능평가, 보관실험 및 보관 중 pH변화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살균 전, 일반세균, 대장균군과 내열성 세균수(세균아포수)는 $6.00{\times}10^5$, $7.50{\times}10^2$ 그리고 $2.75{\times}10^2$ 검출되었다. 그러나 $90{\pm}5^{\circ}C$에서 $22{\pm}5min$ 동안 살균한 모든 시료에서는 일반세균, 대장균군, 내열성세균수(세균아포수)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는 $90{\pm}5^{\circ}C$에서 $22{\pm}5min$ 동안 살균했을 때 가장 맛있는 김치으로써 결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볶음 김치의 살균공정은 유해미생물(일반세균, 대장균군, 내열성세균수)를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따라서 품지 유지와 생물학적 안전성을 위한 살균 온도와 시간의 한계 기준은 $90{\pm}5^{\circ}C$에서 $22{\pm}5$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HACCP 계획은 살균 공정중 모니터링 방법과 모니터링 주기, 문제 해결 방법, 교육, 훈련, 기록 관리 등을 위하여 필요하여 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학교 집단급식소 내 식기류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분석 및 위해요인 평가 (A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Hazard Factor Evalu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of Food Service Operations in Schools)

  • 박성준;홍성호;이하영;김철주;김수진;김성균;고광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76-386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al hazards posed by food utensils and fixtures in food service operations at selected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Methods: We collected 200 samples of utensils and fixtures including cups, spoons/chopsticks, food trays and tables from five different schools in Seoul. Target microorganism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tal bacterial count and total coliform as indicators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pathogens of food poisoning. We used selective media to quantify microbial concentration and 16S rRNA PCR assay for qualitative analysis. In addition, intensive interviews with nutritionists were conducted and observations were made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microbial contamin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bial concentratio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operation. Results: The level of microbial concentration in school B and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school A, D and E (p<0.05). Some samples from school A, D and E showed over 3.4 log CFU/100 $cm^2$ (total bacterial count) and 1.0 log CFU/100 $cm^2$ (total coliform), which requires immediate hygienic action. The number of customers per staff member, periodicity of hygiene education for staff and daily operation time of sterilizer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related with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service opera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ot only a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approach, but also efforts to assess internal risk factors within operations be needed to reduc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assessing microbial hazards in food service operations.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제도 도입을 위한 토마토 산지유통센터의 미생물 위해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of Tomato and Recommendations to Introduc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 이효원;윤요한;서은경;김경열;심원보;길중권;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0-214
    • /
    • 2009
  • APC 지정시설과 APC 미지정시설의 선별대와 작업자, 공중낙하균을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선별대의 경우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모두 높은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고 S. aureus와 Salmonella도 검출되었다. 특히 모든 시료에서 S. aureus 의 오염이 매우 높아 제품으로의 직접적인 교차 오염이 우려되었다. 이와 같이 APC 지정시설과 APC 미지정시설간의 미생물 오염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은 기존의 APC 시설이 미생물학적 개념이 없이 단순히 저장의 용도로만 설치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GAP제도를 도입 운영하기 위하여 APC 시설은 단순한 농산물 저장의 기능뿐만 아니라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없는 구조를 갖추어 위생적인 선별 및 유통이 이루어져야 하고, GAP 운영의 연장선에서 관리 운영해야 할 것 이다. 아울러 일정한 기간마다 시설에 대한 위해요소 분석을 하여 APC시설의 미생물학적 측면에서의 적절한 유지, 보관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그 결과를 문서화 하여야 할 것이다.

생딸기 주스 제조 환경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Environment for Juice Production)

  • 김세리;심원보;박선자;하광수;윤혜숙;하상도;김근성;이규호;김민곤;김광엽;김철호;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87-293
    • /
    • 2005
  • 본 연구는 서부경남 진주지역 생딸기 주스 상점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주스 HACCP 도입을 위한 미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총 75점의 시료를 5곳의 상점으로부터 채취하였으며, 일반세균수, coliforms, 그리고 E. coli와 같은 위생지표세균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us aureus and Listeia monocytogenes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을 검사하였다. 위생지표세균 검사결과 일반세균수는 $0-5.2\;log_{10}\;CFU/(mL,\;g,\;100cm^{2},\;hand)$. coliform은 $0-2.8\;log_{10}\;CFU/(mL,\;g,\;100cm^{2},\;hand)$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4곳의 상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딸기 주스에서 E. coli가 검출되었다. 한편,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는 S. aureus가 19% 검출되었으며 특히 가장 빈번하게 검출된 시료는 작업자의 손, 딸기, 딸기 주스였다. 그러나 E. coli O157:H7, Salmonella spp.와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안전한 주스의 생산을 위해서는 모든 생산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HACCP 제도가 도입되어야 하며 주스 HACCP 도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HACCP의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