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crobiological food safety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Repeated Freeze-Thaw Cycles on Beef Quality and Safety

  • Rahman, Mohammad Hafizur;Hossain, Mohammad Mujaffar;Rahman, Syed Mohammad Ehsanur;Hashem, Mohammad Abul;Oh, Deog-Hw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82-495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know the effect of repeated freeze-thaw cycles of beef on the sensory, physicochemical quality and microbiological assessment. The effects of three successive freeze-thaw cycles on beef forelimb were investigated comparing with unfrozen fresh beef for 75 d by keeping at $-20{\pm}1^{\circ}C$. The freeze-thaw cycles were subjected to three thawing methods and carried out to know the best one. As the number of freeze-thaw cycles increased color and odor declined significantly before cook within the cycles and tenderness, overall acceptability also declined among the cycles after cook by thawing methods. The thawing loss increased and dripping los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ater holding capacity (WHC) increased (p<0.05) until two cycles and then decreased. Cooking loss increased in cycle 1 and 3, but decreased in cycle 2. pH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mong the cycles. Moreover, drip loss, cooking loss and WHC were affected (p<0.05) by thawing methods within the cycles. 2-Thiobarbituric acid (TBARS) value increased (p<0.05) gradually within the cycles and among the cycles by thawing methods. Total viable bacteria, total coliform and total yeast-mould count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in and among the cycles in comparison to the initial count in repeated freeze-thaw cycles. As a result, repeated freeze-thaw cycles affected the sensory,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beef, causing the deterioration of beef quality, but improv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lthough repeated freeze-thaw cycles did not affect much on beef quality and safety but it may be concluded that repeated freeze and thaw should be minimized in terms of beef color for commercial value and WHC and tenderness/juiciness for eating quality.

국내식품을 이용한 이유식 개발에 관한 연구(II) - 이유식의 미생물검사와 관능검사 - (Development of the Supplementary Foods for Infants Using Korean Foods - Safety Storage Assay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Supplementary Foods for Infants -)

  • 민성희;손경희;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5-108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storage and to evaluate preference of supplementary foods for infants using Korean foods. Thirty-four different kinds of supplementary foods were developed and fourteen representative one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A safety storage assa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safety storage assay,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products was good during the 13 day-storage in refrigerator. After 14 days, the total plate counts in the products were low and were determined safe. During the 17 day-storage in refrigerator, coliform was not found. 2. In the sensory evaluation, fruit products scored high in acceptability and cow liver products scored low.

  • PDF

병원급식 시설에서의 완자전 생산과정의 미생물적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Hazard Analysi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of Sauteed Beef or Pork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 곽동경;장혜자;류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99-110
    • /
    • 1990
  • 서울시내 종합병원 병상 규모를 3 group으로 분류하여 5개병원을 대상병원으로 선정한 후 완자전과 육개장을 대상 음식으로 하여 각 생산 단계의 소요시간, 온도 상태 및 미생물적 품질평가를 실시하여 HACCP 방법으로 위험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본재료의 미생물적 품질상태가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배달과정 및 검수 후 저장단계에서 냉장고의 철저한 온도관리가 요구되었다. 음식생산 과정에서의 소요시간-온도상태의 기준이 적절히 시행되고 있지 못하였다. 음식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기구, 기기, 및 용품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즉각적인 시정이 요구되었다. 완자전 생산과정에서의 각 병원별 criticla control point는 A병원: 기본재료, 전처리단계, 조리단계, 조리후 보관단계 ; B병원 : 기본재료, 전처리단계 ; C병원: 기본재료, 전처리단계, 조리후 보관단계 및 급식단계 ; D병원 : 기본재료 전처리단계 , 조리후 보관 단계 및 급식단계 ; E 병원: 기본재료, 전처리 단계 , 조리후 보관단계 및 급식단계로 지적되었다.

  • PDF

Assessment of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marinated turkey meat with the use of dairy products and lemon juice

  • Augustynska-Prejsnar, Anna;Hanus, Pawel;Sokolowicz, Zofia;Kacaniova, Miroslava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2호
    • /
    • pp.2003-2011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arinating turkey meat with buttermilk and acid whey on the technological trait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product. Methods: Slices of turkey meat muscles were marinated for 12 hours in buttermilk (n = 30), acid whey (n = 30) and comparatively, in lemon juice (n = 30). The control group (n = 30) consisted of unmarinated slices of turkey breast muscles. Physical parameters (pH, water holding capacity, colour L*a*b*, shear force, weight loss) were assessed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and roasted products was performed. The microbiological parameters were determined as the total viable counts of mesophilic aerobic bacteria, of the Enterobacteriaceae family, and Pseudomonas spp. Bacterial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Results: Marinating turkey meat in buttermilk and whey compared to marinating in lemon juice and the control sample resulted in a higher (p<0.05) degree of yellow color saturation (b*) and a reduction (p<0.05) in the number of mesophilic aerobic bacteria, Pseudomonas spp. and Enterobacteriaceae family as well as the number of identified mesophilic aerobic bacteria in both raw and roasted samples. The lowest (p<0.05) shear force values were found in products marinated in whey. Conclusion: The use of buttermilk and acid whey as a marinade for meat increases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product compared to marinating in lemon juice, while maintaining good technological features of the product.

대학생의 즉석섭취식품류 소비 실태와 김밥류의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 (A Survey on the Ready-to-Eat Foods' Consumption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Kimbab)

  • 이진향;배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61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ractices of ready-to-eat (RTE) foods and to analyze the microbiological hazard of kimbab, a Korean dish, and the most popular of the RTE foods eaten by participant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30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reviously purchased RTE foods, and 224 were collected (response rate: 97.4%).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questionnaires using the SPSS program, and a total of 135 kimbab products were sampled for aerobic plate counts, coliforms, E. coli,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Kimbab (87.0%), sandwich (86.4%), hamburger (89.8%), lunchbox (81.5%), and sushi (87.4%) were most often eaten immediately after purchasing.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e microbiological hazards analysis of kimbab showed that the aerobic plate cou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urchasing price (p<0.01). The coliform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lace of purchase (p<0.01) and the major ingredients of kimbab (p<0.05). In additi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 coli were detected in 5.9% and 5.2% of the tested samples, respectively. However,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In conclusion, the manufacturers of RTE foods should apply the HACCP system for food safety.

국내 생산단계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on-farm Produce in Korea)

  • 김원일;곽민규;조아라;류상돈;김세리;류송희;김황용;류재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0-26
    • /
    • 2017
  • 국제적으로 식중독 세균이 오염된 농산물의 신선 섭취에 따른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생산단계 수박, 참외, 고추, 당근, 상추, 배추, 양배추, 셀러리, 버섯, 보리, 옥수수, 복숭아, 포도를 대상으로 위생지표세균과 식중독 세균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각 작물별로 3곳 이상의 주산지에서 총 1,820점의 시료를 수집하여 일반호기성세균, 대장균군, B. cereus, S. aureus의 정량적 분석과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의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호기성세균은 전체 시험대상 농산물에서 0.01~7.18 log CFU/g 범위의 밀도를 나타냈고, 대장균은 총 651점의(35.8%) 시료에서 나타났다. B. cereus는 0.01~2.48 log CFU/g 범위로 총 169점의(9.3) 시료에서 나타났고, S. aureus는 총 14점의(0.7%) 시료에서 0.01~1.69 log CFU/g 범위로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에서 E. coli는 총 101점의(5.5%) 시료에서 양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는 모두 음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생산단계 농산물의 전반적인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고 농산물 중 미생물 기준 설정 등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써 미생물위험평가(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건강기능식품 중 주요 식물성 원료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과 알로에 제품에 대한 방사선 조사 가능성 검지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Botanical Raw Materials used for Functional Health Foods and Preliminary Screening for Irradiation of Aloe Powder Products)

  • 성동은;이지혜;오상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2
    • /
    • 2007
  •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등의 형태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2004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지만 아직은 시작단계이며 소비자의 피해나 섭취 후 부작용에 대한 문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중 비교적 높은 부작용 발생 빈도를 보이는 건강기능식품의 주원료인 식물성 원료 14종 37개 품목과 알로에분말 제품 4개 품목을 대상으로 미생물 분석을 하였으며, PSL을 이용하여 알로에분말 제품의 방사선조사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식물성 원료 총 14종 37개 품목에서 세균수는 $10^{3}-10^{6}\;CFU/g$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검출한계(<10 CFU/g)에서 31개 품목에서 $10^{2}-10^{5}\;CFU/g$ 검출되었다. 식중독균은 E. coli와 Salmonella spp., Staph.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B. cereus는 8종 12개 품목에서 검출되었다. 알로에 분말제품 4개 품목 중 1개 품목에서만 세균수 $10^{4}\;CFU/g$, 대장균군수는 $10^{3}\;CFU/g$ 검출되었고,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PSL을 이용하여 알로에 분말제품의 방사선조사 가능성을 monitoring한 결과, 알로에 분말제품은 4개 품목 중 positive 2개 품목, negative 1개 품목, intermediate 1개 품목이었다.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Kimchi and Its Ingredients

  • Lee, Ji-Hyun;Ha, Ji-Hyoung;Lee, Hae-Won;Lee, Jae Yong;Hwang, Ye-Seul;Lee, Hee Min;Kim, Sung Hyun;Kim, Su-J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4-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 제조시 철저한 재료 세척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더불어 비가열 식품인 김치의 위생 안전성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미생물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내에서 유통되는 김치 원 부재료 200건의 세척 전과 후의 비교분석과 시판 김치 100건에 대하여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 대하여 일반세균수, 대장균 및 대장균군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병원성 미생물 9종(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정성 정량, Staphylococcus aureu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jejuni/coli,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정성)을 분석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서 일반세균은 1.4~9.0 log CFU/g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원 부재료 중 생강에서 8.8 log CFU/g, 완제품 중 총각김치에서 9.0 log CFU/g으로 일반세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0.5~7.3 log CFU/g으로 확인되었으며, 생강에서 7.3 log 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병원성 미생물 9종의 분석결과,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나머지 8종의 식중독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김치 원 부재료들의 세척공정 후 미생물 수는 일반세균수 0.2~3.2 log CFU/g, 대장균군 0.3~2.7 log CFU/g, Bacillus cereus 1.0~3.9 log CFU/g 감소하였다. 따라서, 김치 원 부재료의 세척 공정으로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 시켰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김치 완제품의 위생 및 저장성 증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취학 어린이의 손씻기 교육에 따른 미생물학적 실태 분석 (Microbiological Effect of Hand Safety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a Day Care Center)

  • 김지은;문지혜;신현아;이지선;권성희;이정숙;엄애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1-150
    • /
    • 2011
  • 본 연구는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손씻기 교육 방법에 따른 미생물학적 변화를 모니터링한 연구이다. 연구는 3세에서 5세까지의 서울시 어린이집 어린이 1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미생물 분석은 손씻기 교육 전, 1주간 동영상 교육실시 후, 1주간 동영상 교육 및 손씻기 실습 교육병행 후로 분류하였다. 손씻기 교육 전 어린이들의 손에서는 일반세균, 진균, 대장균군 및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2주간 손씻기 동영상 교육과 실습교육을 연속적으로 실시한 결과 손씻기 교육에 따른 손 위생상태는 개선되었다. 결과 손씻기 교육은 취학 전 어린이를 대상으로 손씻기 교육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미취학 아동의 경우 평생 습관을 확립시키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언제, 어디서 손을 씻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