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nol soluble porti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케일로부터 N-Nitrosamine 생성을 억제시키는 유효성분의 검색 (Screening of Effective Components from Kale to Inhibit N - 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 정미자;이수정;최선영;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3-229
    • /
    • 2003
  • 질간염과 함께 아민이 풍부한 식이에 케일 쥬스(0, 5, 10, 13 및 30mL)를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상기의 시료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NDMtA 생성 억제효과가 높았다. 케일의 Sep-Pak $C_{18}$ 에 의 해 분리 된 메탄을 가용성 획분을 perp-LC로 분획하였고, 각각 분획물을 분취하여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NDMA 생성억제효과를 실험 한 결과 Kl~K7 획분 중 Kl, K2에서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으며, 역시 NDMA 생성억제효과도 71.0, 6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높은 억 제작용을 나타내는 Kl, K2를 Kla~K2c로 subfraction하여 NDMA 생성억제효과를 실험 한 결과 K2c 분획물 1mL 첨가를 제치하고는 모든 시료가 5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DMA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K2a 단일 peak를 분리하여 정제한 후 IR, MS, $^1$H-NMR, $^{13}$C-NMR 과 DEPT spectrum을 이용하여 구조를 검색한 결과. K2a는 a-D-glucose 배당체를 가진 방향족 벤젠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Momordica dioica Fruit Pulp

  • Ilango, K.;Maharajan, G.;Narasimhan, S.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210-212
    • /
    • 2003
  • In the present study Momordica dioica fruit pulp was successively extracted with hexane and methanol. To the concentrated methanolic extract ethyl acetate was added and ethyl acetate soluble portion was separated. Both hexane extract (HE) and ethyl acetate soluble portion (EASP) of methanolic extract was vacuum dried to yield the respective HE and EASP. HE and EASP were evaluated for its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a dose of 50 and 100 mg/kg in mice and rats. Both HE and EASP significant exhibited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hen compare to standard drug.

오배자(Rhus japonica Linne) Methanol 추출물의 황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Methanol Extract in Galla Rhois)

  • 김태철;이기동;윤형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7.1-112
    • /
    • 1992
  • Free-, soluble- and insoluble phenolic acids were extracted from defatted Galla Rhois. The extracts were then dissolved in equal amounts of an soybean oil, and POV (peroxide value) of the resulting substrates, portion of the soybean oil (control) and 0.02% BHT were measured by AOM (active oxygen method) test at 97.8$^{\circ}C$ for 40 hours through Rancimat method. Induction period of control, BHT, free phenolic acids, soluble phenolic acids and insoluble phenolic acids by the Rancimat method were 4.8, 10.5, 23.9 and 30.5hr. The phenolic acids separated and tentati-vely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were catechol, gallic acid, vanillin, protocatechuic acid, syri-ngic acid, ferulic acid.

  • PDF

PDMS-바이오 멤브렌인을 이용한 용해성과 비용해성 휘발성유기화학물질의 가스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Soluble and Insoluble gas of VOCs Using PDMS Biomembrane)

  • 하상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19
    • /
    • 2006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moval of VOCs gas using a biomembrane reactor were carried out at various inlet gas concentration, specific loading rate, retention time and gas flow rate of volume. The variations of efficiency and various parameters, which are relevant to gas removal, with mixing of soluble gas and without have been discussed. More than 95% of the toluene and methanol present in the feed was successfully removed in each study. The elimination of methanol with mixture of soluble compound of about 300 mg/h corresponds to a portion of 21% if there is a feed stream of 1400 mg/h. On the contrary the maximum efficiency of about 72% of toluene was reached. This is to be rated as a treatment of sorption that the limiting factor of the dismantling speed could be represented by this difficult degradable component. Nevertheless the elimination capacities for this reactor for toluene were on a very high level. For substances which show a very high solubility in silicon rubber an advantage of a bio membrane is clearly shown. Therefore a similarly good result is expected for n-hexane, because of its relatively good permeability which was distinguished during permeation experiments.

늙은 호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umpkin Extracts)

  • 강윤한;차환수;김흥만;박용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6
    • /
    • 1997
  • 늙은 호박의 기능성 검토를 위하여 껍질, 과육, 섬유상 물질 및 가식부의 4 부위를 열수, 70% 아세톤, 70% 메탄올을 이용하여 환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과육의 경우 63.7∼68.2%를 나타내었다. pH는 70% 아세톤 추출물에서 5.01∼5.45였고, 열수 추출물이 5.78∼6.22로 나타났으며, 부위 중에서 과육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 부위는 과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섬유상 부위, 총당은 과육, 섬유상, 껍질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은 것을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용매 종류를 볼 때 껍질, 과육 부위의 경우 열수 추출물, 섬유상, 가식부의 경우 아세톤과 메탄올로 추출할 경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과 가식부는 메탄올, 섬유상 물질은 아세톤 추출물에서 높은 것을 나타났다. 특히 열수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의 크기는 총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pigenin Derivati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Leaves

  • Si, Chuan-Ling;Kim, Jin-Kyu;Kwon, Dong-Joo;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83-87
    • /
    • 2006
  •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were extracted with acetone-$H_2O$ (7:3, v/v),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actionated successively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and ethyl acetate, leaving residual water soluble fraction. A portion of the resulting aqueous soluble powder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using aqueous methanol and ethanol-hexane as washing solvents. Three apigenin derivativ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apigenin-7-O-${\beta}$-D-glucpyranoside, apigenin-7-O-${\beta}$-D-glucuronopyranoside and apigenin-7-O-[${\beta}$-D-glucuronopyranosyl($1{\rightarrow}2$)-O-${\beta}$-D-glucuronopyranoside] by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NMR and FAB-MS.

Phenolic Compounds from the Inner Bark of Paulownia coreana

  • Si, Chuan-Ling;Bae,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5호
    • /
    • pp.93-99
    • /
    • 2007
  • Paulownia coreana inner bark was collected, extracted in 70% aceton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sequentially fractionated using n-hexane, $CH_2Cl_2$, EtOAc and $H_2O$, then freeze dried to give brown powders. A portion of the EtOAc soluble powder was chromatographed on a Sephadex LH-20 column using a serious of aqueous methanol and ethanol-hexane mixture as eluting solvents. Two phenolic acid, $\rho$-courmaric acid and caffeic acid, two isomeric phenylethanoid glycosides, verbascoside and iso-verbascoside, and one epimeric phenylpropanoid glycoside, cistanoside F, were isolated and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analysis such as NMR and MS.

느릅나무 근피의 화학조성분 및 항균성 물질(I) : 화학조성분 및 추출성분의 항균성 (Chemical Analysis and Isola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 from Ulmus species(I) : Chemical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Extractives)

  • 김창순;이중명;최장옥;박성배;엄태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66-73
    • /
    • 2002
  • 느릅나무 근피와 점액질의 화학 조성을 분석하였고, 근피의 MeOH추출물을 각종 유기용제 및 수층으로 분획하고 각 분획물의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원소조성은 수종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목부의 질소 및 리그닌 함량은 사부보다 높았으며 회분 및 추출물양은 목부보다 사부가 높게 나타났다. 근피의 점액질은 냉수에 의해 매우 느리게 용출 되었으며, 높은 산성당 함량을 갖는 pectin 유사 물질이었다. 느릅나무 근피로부터 약 7% 정도의 메탄올 추출물이 얻어졌고 이 중 78%가 수용성 물질이었으며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백강잠(Bombysis corpus)으로부터 유용물질 분리 (A useful material isolation from the Bombycis corpus (Beauveria bassiana) growing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 정이연;남성희;홍인표;유승헌;권학철;이강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5-30
    • /
    • 2003
  • 뇌신경세포주(PC12)에 백강잠의 분획물(조추출물)을 10 $\mu\textrm{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헥산분획층과 부탄올분획층에서 뇌신경세포성장을 촉진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헥산분획물로부터 화합물 4종(Fig.2: compound 1-4)과 부탄올분획물로부터 화합물 5종(Fig.2: compound 5-9)을 분리하여 각각의 화합물에 대하여도 검색한 결과 모두 뇌신경세포주(PC12)에 뇌신경세포 성장 촉진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이들중 3종(4E, 6E, 2S, 3R)-2-N-Eicosanoy1-4,6-tetrade-casphingadienine,(4E, 6E, 2S, 3R)-2-N-Docosanoyl-4,6-tetradecasphingadienine, Urea)이 화합물은 NGF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헥산분획물로부터 분리한 4종의 스핑고신 유도체는 천연에서 처음 보고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백강잠 유래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추출물은 뇌졸중, 뇌허혈, 파킨슨, 노인성치매 및 헌팅턴질환을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he Fraction Isolated from Pyrus ussuriensis Leaves)

  • 이창언;김영훈;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85-890
    • /
    • 2010
  • 본 연구는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에서 추출한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여 화장품소재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산돌배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60% acetone-$H_2O$(6:4, v/v)로 추출하고, 아세톤 가용부를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아세톤 및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메탄올 MeOH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또한 MeOH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MICgel을 이용했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Silica-gel TLC로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에서 914 mg/g으로 정량되어 높은 함량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의 100 ppm농도에서 80%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 중 한 분획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은 1000 ppm에서 77%의 활성을 보였다. 분획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10 ppm에서 38%의 저해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은 항산화효과를 가진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