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er data

검색결과 840건 처리시간 0.035초

벽체형 매스콘크리트구조물의 온도 및 온도응력측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emperature and Thermal Stress of Wall Type Mass Concrete Structure)

  • 강석화;이용호;정한중;박칠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5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3-177
    • /
    • 1995
  • Thermal cracks ard occured when thermal stress due to the hydration of cement exceeds the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Since cracking causes poor durability of concrete, the effect of thermal cracking should be included for the desing and construction of massive concrete structures. In this study, an experiments are performed for the investigation of time dependent temperature and thermal stress of massive concrete structure at early ages. In order to measure temperatures and thermal stresses, concrete stress meter, embedded strain meter, non-stress meter, and thermocouples are used. Based on the analyses of measured thermal stress data, measured values by concrete stress meter are more reliable than those by embedded strain meter and non-stress meter, And measured values by concrete stress meter a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values by FEM program developed by DICT (DWTS2D). Calculated values by DWTS2D show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values.

  • PDF

검침데이터를 이용한 전력설비 시공간 부하분석모델 (Spatio-temporal Load Analysis Model for Power Facilities using Meter Reading Data)

  • 신진호;김영일;이봉재;양일권;류근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7권11호
    • /
    • pp.1910-1915
    • /
    • 2008
  • The load analysis for the distribution system and facilities has relied on measurement equipment. Moreover, load monitoring incurs huge costs in terms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his paper presents a new model to analyze wherein facilities load under a feeder every 15 minutes using meter reading data that can be obtained from a power consumer every 15 minute or a month even without setting up any measuring equipment. After the data warehouse is constructed by interfacing the legacy system required for the load calcu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system and the power consumer is established. Once the load pattern is forecasted by applying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algorithm of temporal data mining techniques for the power customer who is not involved in Automatic Meter Reading(AMR), a single-line diagram per feeder is created, and power flow calculation is executed. The calculation result is analyzed using various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methods such as Interne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single-line diagram, and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

스마트워터그리드를 위한 LoRa IoT 원격검침 및 계량데이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oRa IoT Automatic Meter Reading and Meter Data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Grid)

  • 박정원;박재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72-178
    • /
    • 2022
  • 본 논문은 스마트워터그리드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수도미터 원격검침(AMR)을 LoRa IoT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한 대의 PC 서버에서 LoRa 통신으로 다수 세대의 수도미터기 검침 값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인터넷을 통하여 웹 서버의 클라우드 저장을 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검침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테스트 결과를 보인다. 시스템 구성을 위하여 디지털 수도미터기 메인보드의 하드웨어와 펌웨어를 자체적으로 설계 제작하고, PC 서버프로그램으로서 계량데이터운용시스템(MDMS) 프로그램을 비주얼 C#으로, 사용자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앱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자체 설계 제작한다. 제작된 각각의 구성을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을 실험실 내의 유량 테스트벤치에 장착하여 테스트하여 결과를 보이고, 실제 사용환경 테스트를 위하여 대학 주변의 5곳을 선정하여 전송 거리 테스트를 하여 개발된 시스템이 실사용 현장에 사용 가능함을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워터그리드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물 사용량 소비패턴, 위치 정보 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물 사용량 관리뿐만 아니라 독거, 치매 어르신 등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지를 추정까지 가능하다는 등 다양한 사회안전망으로도 확대 가능하다.

IEEE 802.15.4 Protocol 기반 원격 수도검침 System (Automatic Piped Water Meter Reading System Based on IEEE 802.15.4 Protocol)

  • 선용주;이호응;박수진;박현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04-308
    • /
    • 2008
  • 본 논문은 원격 수도 검침을 위한 수도 사용량의 측정 방법 빛 검침 시스템에 적합한 통신 환경을 제안한다. 기존의 수도 검침 방법은 사람의 손으로 직접 사용량을 확인 및 기록하는 방식으로 수도 검침 값의 오차 및 인력 수급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hoto Interrupt Sensor를 이용하여 수도의 사용량을 Data로 전환하며 원격지에서 Data 값의 확인을 위해 IEEE 802.15.4 Protocol을 활용하여 원격검침 System에 적합한 무선 통신 환경을 제안한다.

  • PDF

첨단계랑인프라를 위한 원격검침 및 계량데이터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Meter Reading and Meter Data Management System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 박재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29-836
    • /
    • 2017
  • 본 논문은 새로운 구조의 AMR(원격검침)/AMI(첨단계량인프라)를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시스템 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검침 시간이 단축되고, 설치가 용이하다.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하면 한국의 일반 가정에서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기, 수도, 가스, 온수 및 난방의 5종 계량기의 계량값을 원격검침 하고 이에 대한 AMI 적용이 가능하다. 제안된 시스템이 이론과 실제 적용에 있어서 경제성과 신뢰성 모두 우수함과, AMI 적용에 기존 시스템보다 더 적합함을 테스트 결과에 보여준다.

전력선 통신과 공중 전화망에 의한 전력량의 원격 검침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Remote Meter Reading System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PSTN)

  • 박종연;조호찬;최승지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103-106
    • /
    • 2002
  • This paper has studied a remote AMR(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using the power line and the telephone line as a communication media and the digital power meter. In the developed system, because we have used the power line and telephone, the facility is very easy and then its cost is not expensive. The system includes following elements: a digital power meter, an indoor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ower line modem and a telephone line interface system for sending data to the utility company.

  • PDF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미터 집계 보안 시스템 구축 (Implementation of Secure System for Blockchain-based Smart Meter Aggregation)

  • 김용길;문경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11
    • /
    • 2020
  • 스마트 그리드 환경의 중요한 기본 구성 요소라 할 수 있는 스마트 미터기는 유틸리티 기관에게 실시간 전력소비 정보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스마트 미터기에 의한 전력 소비 데이터 집계 과정에서 정보 보안 및 사생활 보호를 보장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최근 몇 년 동안 특정 소비자의 전력 소비 정보 추출을 방지하는 정보 보안 데이터 집계 프로세스에 관해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대부분 내부 공격자로부터 안전하지 않거나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bilinear pairing 또는 hash-to-point 작업이 스마트 미터기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계산 비용이 만족스럽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에너지 공급 회사, 신생 기업, 기술 개발자, 금융 기관, 국가 정부 및 학계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는 기술로 블록체인 또는 분산 원장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전력 소비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블록체인은 상당한 이점과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 분산된 전력 소비 정보 보호 및 보안 미터 데이터 집계 시스템을 제안하고,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자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스마트 미터 데이터는 계층적 Merkle 트리에 의해 집계 및 검증되며, 비잔틴 결함 허용 프로토콜에 의한 합의 방식이 지원된다.

선박 유수분리기용 유분검출기의 개발 (Development of Oil Content Meter for Oily Water Separator in Ship)

  • 황정웅;정병건;김창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338-344
    • /
    • 2001
  • According to the MARPOL 73/78 of Convention, all ships should have oil filtering equipment and 15 ppm bilge which satisfy Requirements of MARPOL 73/78.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prototype Oil content Meter(OCM) used in machinery area of ship. The prototype OCM is composed of two parts which are oil content sensing module and data processing unit. The oil content sensing module consists of infra-red light source, photo-diode light receivers, and a glass tube for bilge water sample. The data processing unit has a micro-processor as hard core and peripheral device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rototype OCM and analysis of collected data reveal linear property between transmitted light and scattered light as long as the bilge water has low level content of oil. And this linear property leads to a oil content detecting method which is programmed and loaded into the data processing unit. The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OCM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mercial OCM in the market.

  • PDF

밸브 수압측정기의 유동해석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of Hydraulic Valve Meter)

  • 이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63-1968
    • /
    • 2012
  • 본 논문은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밸브 수압측정기를 3차원 자동설계 프로그램인 CATiA를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코드인 ANSYS를 활용하여 설계된 밸브 수압측정기에 대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여 내부압력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구하였다. 이러한 해석결과는 새로운 밸브 수압측정기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며 개발예정인 밸브 수압측정기는 밸브 점검 시 시간을 단축하고,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상수도 자동 검침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부산 기장군과 김해시 사례를 중심으로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for Water-Supply)

  • 서창갑;박영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3호
    • /
    • pp.103-111
    • /
    • 2009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for tap water. The system is composed of automatic meter, router using RF and CDMA network, and data server. This system will easily extend to fire detect, gas, and electric charge meter system. In addition, this system will be used to monitoring a water leak and human which live in solitude. Proposed system is installed at Gimhae-City and Gijang-gun. As a result of the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for tap water, The leak of water and complain of user is decreased. But The building cost is still an obstacle to expand into entire 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