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al arithmetic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19초

초등학교에서의 암산 지도에 관한 논의 (On the Teaching of Mental Arithmetic in Primary Mathematics)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2호
    • /
    • pp.167-189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에 초등학교 수학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암산 지도의 교수학적 배경과 여러 나라의 암산 지도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암산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지난 10여 년 동안 계속 논의되어 온 수학적 소양의 의미와 이와 관련 해서 더욱 중시되고 있는 암산의 의미와 중요성뿐만 아니라 미국의 EM, 영국의 NNP, 네덜란드의 TAL, 독일의 mathe 2000 프로젝트에서 제안하고 있는 내용들을 통해 암산 지도의 실제 및 학생들의 암산 전략과 암산 지도에 도움이 되는 교수학적 모델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제 7차 수학 교과서의 암산 지도 내용을 암산 전략과 교수학적 모델에 비추어 분석하고 암산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PDF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에 이중 과제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ual-Task on Standing Postural Control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 전혜원;정이정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30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y changes by mental task types on postural control in chronic stroke persons. Sixteen chronic stroke persons (mean age=53.75 yr) and sixteen age-and gender-matched healthy controls (mean age=54.44 yr) took part in this study. Participants randomly performed three different tasks on the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The no mental task was to stand while holding a 100 g weight in each hand, the arithmetic task (mental task) was to perform a silent 1-backwards counting while standing and holding a 100 g weight in each hand, and the simple task (mental task) was to stand and hold with both hands a tray (200 g) on which a glass filled with water has been placed. Sway path and sway velocity of the center of pressure (COP) were measured to assess standing postural control by task performance using the force platform. According to the results, in stroke group, total sway path and total sway velocity of CO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arithmetic and simple task compared to no mental task on the stable surface (p<.05), and sway path (anteroposterior AP, mediolateral ML) of COP, total and sway velocity (AP, ML, total) of CO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arithmetic and simple task compared to no mental task on the unstable surface (p<.05). Especially, sway path (AP, total) of COP and sway velocity (AP, ML, total) of CO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under the simple task when compared to the arithmetic task on the unstable surface (p<.05). In healthy control group, sway path (AP, ML, total) of COP and sway velocity (AP, ML, total) of CO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arithmetic and simple task compared to no mental task on the stable and unstable surface (p<.05), and sway path (AP, total) of COP and sway velocity (AP, ML, total) of CO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under the simple task when compared to the arithmetic task on the unstable surface (p<.05).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arithmetic and simple task improved standing postural control for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he type of arithmetic and simple tasks were critical factor that reduced standing postural sway in dual-task conditions. Future research should determine whether dual-task conditions, including simple task, would be effective as a training program for standing postural control of stroke patients.

숙련된 근력 사용자와 미숙련 근력 사용자간 단시간의 전신 근력활동이 정신적 작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Whole-body Activity in a Short Time Period on Mental Work between The Skilled and The Unskilled in Muscular Movement)

  • 김정만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2-47
    • /
    • 2002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n mental task of changes in th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 treadmill-equipped instrument and perception tester were used to attain several levels of physical activity. In this paper, in order to determine the individual levels of physical activity of subjects, Borg-RPE scale, heart rate(HR) and respiratory quotient(RQ) were used. Also, an arithmetic addition test in whole-body activity on treadmill-equipped instrument as an indicator of mental task were performed. In the above experiments, the scores obtained in arithmetic addition test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physical activity at each intensity level used. Restricted within the limits of this paper, the results of these tes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mental task was Increased after physical activity.

생명 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 생성과 수리 연산에서 나타나는 두뇌 활성: fMRI 연구 (Brain Activation in Generating Hypothesis about Biological Phenomena and the Processing of Mental Arithmetic: An fMRI Study)

  • 권용주;신동훈;이준기;양일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3-104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의 두뇌 활성화 특성을 수리 연산 과정과 비교하여 3.0T fMRI를 이용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6명의 건강한 남자 피험자가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제와 수리 연산 과제를 684초 동안 수행하여 fMRI 영상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후 언어적 보고 자료를 수집하여 fMRI 영상 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언어적 보고의 분석 결과 수집한 fMRI 영상 자료 전부를 통계적 분석 대상 자료에 포함시켰다. SPM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은 수리 연산 과정과 다른 독립적인 두뇌 네트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에서는 측두엽의 방추이랑(fusiform gyrus)에서 의문 상황 분석으로 이끌어내진 의미가 전두엽에서 부호화하는 과정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수리 연산 과정은 전두엽과 두정엽의 연합된 영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능적 숙련도는 두정엽 영역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에서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도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을 두뇌 과학적 측면에서 고찰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과학적 가설 생성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학적 가설 생성 학습 프로그램은 두뇌-기반 학습의 한 전형으로 제안할 수 있다.

심상자극과 GSR의 관계에 대한 예비연구 - 쾌.불쾌를 유발하는 심상자극과 암산과제에 대한 SCL 반응비교 (Prelimina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nduced Mental Imagery and GSR - Comparison among Mental Imageries Inducing Pleasantness or Unpleasantness and Mental Arithmetic)

  • 이봉건;정인원;김재진;신철진
    • 감성과학
    • /
    • 제5권2호
    • /
    • pp.11-22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단기적 쾌 또는 불쾌 자극의 생리적 반응지표로서의 전기 피부반응[electrodermal response(EDR) 또는 Galvanic Skin Response(GSR)로 총칭의 유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위한 자료수집 절차를 확립하기 위한 예비연구의 수행에 있다. 이를 위해 쾌 또는 불쾌를 유발하는 미약한 심상자극과 인지적 암산과제가 피부 전도도(skin conductance level : SCL)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9명의 대학생(남자 5명, 여자 4명)이었다. 쾌 불쾌 자극의 선정방법으로서 각 피험자에게 일련의 단어를 제시하고 머리 속에 떠오르는 대로 좋아하는 대상과 싫어하는 대상을 적게 한 후 그 중 가장 좋아하는 대상과 싫어하는 대상을 선택하게 하였다 이 대상을 각각 쾌\ulcorner불쾌를 유발하는 심상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세 번째로 제시된 정신적 내면자극은 전통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된 인지적 암산과제(숫자 빼기)였다. 자극자료 수집절차는 기저수준 기간, 쾌를 유발하는 심상, 기저수준, 불쾌심상, 기저수준, 암산과제의 순으로 진행되면서 매 10초 간격으로 SCL을 기록하였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전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심상의 미세한 심리적 효과가 보다 잘 드러나도록 자료수집 절차가 수정 \ulcorner보완되었다. 즉, 심상자극을 상상한 후 심상자극에 몰입을 충실히 하면서 잡음신호(Irtifact)를 극소화하기 위하여 생생한 심상에 몰입하고 나면 손가락을 살짝 들어서 실험자에게 신호를 보내도륵 하였으며, 기저수준으로의 원상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완의 수준을 깊게 해 주는 데 초점을 둔 지시문을 읽어 주었다. 연구결과, 3회의 기저수준의 SCL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절차와 달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절차가 여러 자극의 효과비교에 필요한 기저수준의 안정성을 달성하였음을 알려 준다. 또한 암산과제시의 SCL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괴로운 심상자극의 경우보다도 SCL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산과제가 가장 큰 생리적 흥분을 일으킴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절차와 자극과제는 장차 내면의 심리자극의 정신생리적 효과를 연구할 때 좀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PDF

게임기반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정신지체 학생의 기초연산 수행능력 및 과제집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ame-Based-Digital Textbook on the Basic Arithmetic Abilities and the Task Atten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 이태수;이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484-495
    • /
    • 2012
  • 이 연구는 게임기반 디지털 교과서가 정신지체 학생의 기초연산 수행능력과 과제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8명의 정신지체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으로서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만 사용한 집단과 서책형과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를 모두 활용한 집단을 구성하였고, 통제집단으로서 전통적인 서책만 사용한 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주4회, 45분씩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수업을 참여하였다. 실험결과, 기초연산과 과제집중력에서 모두 서책만 사용한 집단과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한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서책과 게임기반디지털 교과서를 모두 사용한 집단은 서책만 사용한 집단과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만 사용한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교과서와 게임기반디지털교과서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정신지체 학생의 기초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방법이라 할 수 있다.

제스처 입력 기반 안드로이드 암산 애플리케이션 개발 (Android's Mental Arithmetic application gesture based input development)

  • 오정철;현동림;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41-246
    • /
    • 2011
  • 최근 모바일 기기의 보급에 따른 모바일 컴퓨팅 교육 환경의 조성으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중요도가 높아지는 암산 지도를 위한 초등학생 저 중학년용 안드로이드 암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특히 초등학생들의 인지적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손가락을 이용한 조작활동으로 값을 입력하는 제스처 입력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흥미와 집중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행 자연수의 덧셈과 �y셈의 기초를 익히고 자연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기초를 순차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일정량의 문제를 일정시간 동안에 게임처럼 즐기며 계산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정신적 스트레스와 신문(神門)(HT7) 자침(刺鍼)이 정상성인의 심박변이도(HRV)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Stress Stimulation and Acupuncture at Shinmun(HT7) on Heart Rate Variability)

  • 강문수;김락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5-176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mental stress stimulation and acupucnture applied at HT7 point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 normal subjects. Methods : Thirty seven healthy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volunteer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Both groups performed a mental arithmetic stress test and stroop color-word test for 10 minute. Then, acupuncture needles were inserted on HT7 for the study group and on non-acupucnture point for the control group. HRV was recorded three times at test time and before and after acupuncture stimulation. Results : After giving mental stress stimulation to both groups, LF and LF!HF ratio were increased and HF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giving acupuncture to study group, LF and LF/HF ratio were decreased and HF was in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After giving acupuncture to control group, LF and LF/HF ratio were increased and HF was de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This results show that mental arithmetic stress test and stroop color-word test contribute to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upuncture at HT7 could be relatively useful to decrease sympathetic activity and balance autonomic nervous system for those who are under stress.

  • PDF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the Heart Rate Variability of Stroke Patients under Mental Arithmetic Stress

  • Oh, Jae-Gun;Kwon, So-Yeon;Yun, Henja;Sung, Kang-Key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0-59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high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low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and manual acupuncture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stroke patients by using a heart rate variability measuring device. Methods: Thirty-ni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each participated in the high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group, low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group, manual acupuncture group and non-acupuncture group. Some participants received needle insertion with 100 Hz stimulation, with 2Hz stimulation and manual stimulation under mental arithmetic stress during 2 sections. Other participants maintained in the supine position without acupuncture under mental arithmetic stress during the 2 sections. Acupuncture needles were directly inserted perpendicularly to the right Liv 3 acupoint followed by delivery of electric pulses to these points for 8 minutes. Heart rate variability was measured 8 minutes before and 16 minutes after acupuncture stimulation by a heart rate variability measuring system. Results: We found a significant elevated HF total power between 1 section and 2 section and between 1 section and 4 section in the non-acupuncture group, between 3 section and 4 section in the 100Hz electroacupuncture group, and between 1 section and 2 section in the manual acupuncture group and with no change in the 2Hz electroacupuncture group. We also found a significant VLF total power between 2 section and 3 section in the 2Hz electroacupuncture group and between 1 section and 4 section and between 2 section and 4 section in the 100Hz electroacupuncture group. All four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parameters including heart rate mean, low-frequency power, and the ratio of low-frequency power to high-frequency power. Conclusions: This study may be a basis for research about effects of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because the parameters measured, heart rate variabilit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acupuncture.

Research on Stress Reduction Model Based on Transformer

  • Xu, Xin;Zhao, Yikun;Zhang, Ruhao;Xu, Tingt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12호
    • /
    • pp.3943-3959
    • /
    • 2022
  • People are constantly exposed to stress and anxiety environment, which could contribute to a variety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Therefo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identify psychological stress in time and to find a feasible and universal method of stress reduc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ifferent music, such as relaxation music and natural rhythm music, on stress relief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signals. Mental arithmetic test was implemented to create a stressful environment. 23 participants performed the mental arithmetic test with and without music respectively, while their Electroencephalogram signal was recorded. The effect of music on stress relief was verified through stress test questionnaires, including Trait Anxiety Inventory (STAI-6) and Self-Stress Assessmen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tress test questionnaire values with and without music according to paired t-test (p<0.01). Furthermore, a model based on Transformer for stress level classification from Electroencephalogram signal was propos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ethod of listening to relaxation music and natural rhythm music achieved the effect of reducing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proposed model yielded a promising accuracy in classifying the Electroencephalogram signal of mental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