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dicinal mugwor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1초

쑥 첨가급식이 흰쥐의 혈청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Mugwort Powder on the Serum Components in Rat)

  • 이성동;박홍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46-452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body growth and components of edible mugwort(Artemisia sp.) and medicinal mugwort(Kanghwa medicinal mugwort) . Twenty-four young rats of Sprague Dawley strain, body weight of about 89g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were fed on the basal diet(control diet) supplemented with 5% edible mugwort powder ( EM diet) and 5% medicinal mugwort powder( MM diet) for 4 weeks respectively. In proximate composition of nutrients of mugwort in dry basis(100g). crude protein (16.4g) and crude ash(11.8g) contents of EM were higher to about 2% than that of MM, but crude lipid content(4.3g) of EM was lower to about 2% than that of MM. However, the contents in calcium(6.9g) of MM was higher to 5.3 times than that of EM. but in Mn(17mg), Zn(0.5mg), Fe(131mg), Mg(337mg) of EM were higher to 2.8∼2.3 times and vitamin A(39,776 IU) of EM was higher to 2.9 times than that of MM respectively. Body wight gain rate and diet efficiency ratio of EM and MM diet group were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total protein, albumin, urea nitrogen. creatinine, uric acid, total cholesterol, HDL-C, LDL-C, glucose, amylase, transaminase (GOT, GPT) in serum exhibited no remarkable difference among of the EM and MM diet group but the level of LDH activity of MM die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EM diet group.

  • PDF

쑥 첨가급식이 성장기 흰쥐의 혈청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Mugwort Powder on the Serum Components in Growing Rat)

  • 이성동;박홍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11-417
    • /
    • 2001
  • 식용의 참쑥과 강화지역 특산물인 강화약쑥이 체성분 중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84$\pm$9g정도의 흰쥐(Sprague Dawley) 18두를 3개 동물군(대조군, 참쑥군 및 약쑥군) 으로 나누어 4주간 해당 실험식이(기본식이, 5% 참쑥식이 및 5% 약쑥식이)로 급식하였다. 쑥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참쑥의 조단백질과 조회분함량은 약쑥보다 2%이상 높았고, 참쑥의 망간, 아연, 비타민 A 함량은 약쑥보다 약 3배 높았으나 약쑥의 칼슘 함량은 참쑥보다 약 5배 높았다. 참쑥 식이군과 약쑥 식이군의 혈청 중 성분 함량을 대조군과 비교해보면 albumin 함량과 ALT, AP, amylase 및 CK의 효소 활성도는 참쑥과 약쑥 식이군 모두 증가했으나 반대로 AST 효소 활성도는 모두 감소하였다. 참쑥 식 이군에서는 TG 함량과 LDH 효소 활성도는 감소하였고 약쑥 식이군 에서는 포도당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TP 함량은 증가되었다.

  • PDF

강화 약쑥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응고 활성 (Antioxidant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of Ganghwa medicinal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

  • 인만진;김강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4호
    • /
    • pp.439-442
    • /
    • 2020
  • 강화 사자발약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으로부터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장 항응고 활성을 확인하였다. 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6.9±3.3 및 34.1±0.4 mg/g-추출물로 나타났다. 약쑥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리라디칼, 양이온라디칼 및 아질산염을 소거하였고, 우수한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약쑥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액응고의 공통경로를 저해하는 혈장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쑥 , 진피, 두충이 고지혈증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gwort, Dried Orange Peel and Duching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a Rats)

  • 김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8호
    • /
    • pp.895-903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etray food from the three CHinese medicinal herbs(Mugwort, Dried organge peel and Duchung) on lipi d metabolism in rats. Male rats of Sprague-Dawley strain were divided into four dietary groups(Cellulose (CL), Mugwort(MW), Dried organge peel9OP), Duchung(DC)) after three weeks of hyperlipidemic dieting and were fed ad libitum each of the experimental diets for six weeks. The fiber sources of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by drying and milling mugwort, orange peel, duchung and cellulose. Each of the Fiber sources was mixed into the diet to achieve 10g% levels of total dietary fiber. Levels of apparent fat absorption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W and DC groups. The OP group also showed a decreasing trend, but to a lesser extent. The levels of serum total lipi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P grop that in both the CM and MW group. Serum TG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L group than other groups. Serum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L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in liv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L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in feces displayed a significantly increase in the MW and DC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CL group. The OP group also showed an increase compared to the CL group.

  • PDF

쑥의 휘발성분에서 동정된 물질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 Kim, Jeong-Ok;Kim, Yeong-Sook;Lee, Jong-Ho;Kim, Moo-Nam;Rhee, Sook-Hee;Moon, Suk-Hee;Park, Kun-Young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8-313
    • /
    • 1992
  • 쑥의 주요 휘발성분이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aflatoxin B$_1$의 돌연변이 유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쑥(Artemisia asictica nakai)의 생엽과 볶음 쑥차로 부터 휘발성향기성분을 Tenax trap으로 포집하여 분리하였다. GC-MS로 동정된 9가지 주요화합물중 myrcene, cineole camphor, caryophyllen, coumarin, farnesol은 돌연변이 유발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2-pyrrolidine, thujone, 그리고 1-acetylpiperidine은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9가지 화합물을 혼합하여 시험하였을 때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만 현저하였다. 따라서 2-pyrrolidine, thujone, 그리고 1-acetylpiperidine의 돌연변이 증가효과는 쑥중의 항돌연변이 물질에 의해 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쑥(艾)의 생리활성 물질과 이용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 이성동;박홍현;김동원;방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90-505
    • /
    • 2000
  • 쑥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하며 많은 품종으로 분화되었고 인간의 식재료도 민간전래약품으로도 이용되어 많은 고전 문헌 속에 쑥의 효능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쑥의 어떤 성분이 약리적 효능이 있는가 또 어떤 영양성분이 식재료로서 가치가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랜동안 쑥은 구황식물로서의 기능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그 특성과 향을 이용한 식품개발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쑥의 일반성분은 녹황색 채소류와 비슷하나 칼슘과 칼륨의 함량이 높고 비타민 A의 함량이 특히 높아 영양보급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쑥을 물이나 유기용매에 의하여 추출한 성분은 생리활성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보편적으로 많이 검출되는 것은 cineol, thujone, borneol, camphor, caryo-phyllene, coumarin, cubebene, pinene, linallol, an-sinthin등이다. 약리적 효과는 고전문헌에 많은 기록이 있으나 대체로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혈행을 왕성하게 하고 간 기능을 도와주며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음을 주로 기록하고 있다. 쑥은 잎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전초, 꽃, 뿌리, 정유를 이용할 때도 있으며 생쑥 혹은 건조 상태로 이용한다. 민속 약품으로서의 기능도 커서 내복용과 외용으로 쓸 수 있으며 거의 모든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전에는 가정 상비약으로 쓰이기도 했다. 고전문헌이나 전통약품에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쑥성분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서도 고지혈증, 고혈압등 순환기계 질환의 치료 및 예방효과, 간기능 보호, 항돌연변이성 기능, 항염증 및 진통효과, 당뇨병 및 고혈당증의 치료, 생체내 지질의 산화 억제, 항세균 및 항진균효과가 연구보고되어 있으며 유럽에서는 항구충 및 살충효과도 잘 알려져 있다. 유럽에서 행한 쑥의 독성 및 부작용에 대한 연구에서 쑥은 습관성, 향정신적 작용, 피부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여 장기복용 및 다량 사용을 억제하고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식품공업에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 전래된 약효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 타성분과 혼합이용시 생체내 미치는 영향, 여성용품이나 화장수와 같은 생황용품에의 이용방안 등의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쑥은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쉽게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쑥의 이용도를 높이는 것은 자원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 PDF

수집약쑥의 유효성분 함량변이 (Chemical Component of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leaves Collected in Korea)

  • 류수노;한상숙;김관수;정해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20-223
    • /
    • 2006
  •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약용으로 이용 되어온 약쑥의 품질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특수한 용도로 이용되어 온 약쑥을 48개 지역에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에 걸쳐 210점을 수집하여 잎의 유효성분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잎 100 9에 함유된 eupatilin 함량은 $0{\sim}228.0mg$(평균 43.8 mg), jaceosidin 함량은 $0{\sim}73.8mg$(평균 12.8 mg)이 었으며, sesamin 함량은 $0{\sim}6.78mg$(평균 3.58 mg)의 변이를 보였다. 이들 화학성분 중 수집지역별로 함량변이가 큰 eupatilin 성분을 비교한 결과 강화도, 백령도를 중심으로 한 서해안 지역에서 수집된 것에서 높고, 동해안과 남해안지역에서 수집된 약쑥에는 eupatilin이 거의 함유되지 않았다.

식품과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이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of various foods and medicinal herb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jube-omija herbal sauce)

  • 곽은정;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3-439
    • /
    • 2002
  • 식품 12종과 한약재 12종의 에탄을 추출물이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녹차, 쑥, 민트, 레몬 및 부추 등의 식품 추출물과 인삼, 솔잎, 갈근, 모과 및 귤홍 등의 한약재 추출물 첨가시 시료 소스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들 에탄을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전자공여능이 높고. 과산화물 생성량은 적어 항산화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녹차, 쑥, 인삼 및 솔잎 추출물은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시료 소스에 첨가시 기호도는 높지않았으나 레몬과 모과 등의 추출물은 강한 단맛과 신맛에 의해 기호도도 증가시켰다. 특히 레몬즙은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효과 및 기호도를 높이는데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엽(艾葉) (Artemisia asiatica Nakai)의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 (Depressor Responses to Intravenously Administered Artemisia asiatica Nakai Juice in Cats)

  • 김윤호;신홍기;김기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2호
    • /
    • pp.91-96
    • /
    • 1981
  • The wormwood is one of the plants which occur widely throughout the world. Though the precise data on the entire chemical composition of mugwort leaves are not available, the major principles which have been found so far include inulin, alkaloid, thujon, sesquiterpene and several vitamins. Santonin, a parasiticide, is one of the glucosides extracted from the limited species of wormwood. It has long been known in herb medicine that the plants of this family has not only strong hemostatic, analgesic and parasiticidal actions but also therapeutic effects for diarrhea, stomachache and asthma. In recent pharmaceutical botany the wormwood is introduced to have antipyretic and astringent actions also. The mugwort(Artemisia asiatica Nakai) is the most common species of wormwood that occurs in Korea. The usage of this edible leaves of mugwort is rather various. It is used not only for wormwood bath but also as forage, moxa and medicinal agents. Recently Kim et al reported from their study on the effect of mugwort on the motility of isolated intestine of rabbits that tonus and motility were markedly enhanced by mugwort but this effect of mugwort on intestinal motility was almost completely blocked by atropine suggesting that activity of mugwort was exerted through its cholinergic effect. It was the findings of Kim et al that prompted the authors to do the present experiment.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effects of mugwort(Artemisia asiatica Nakai) juice on the respiration and blood pressure in cats. And also studied was the mechanism of depressor action of Artemisia asiatica Nakai Juice (AAJ).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It was observed that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decreased markedly by AAJ. Following administration of 0.15 ml/kg and 0.3 ml/kg AAJ into cats the maximum depressor responses observed were $77.5{\pm}2.2\;mmHg$ and $94.0{\pm}3.7\;mmHg$ respectively. 2) Depressor responses to AAJ were blocked markedly by atropine whereas the responses were not affected by propranolol and dibenamine. Therefore it is strongly inferred that depressor action of AAJ results mainly from its cholinergic effect. This inference was further substantiated by the fact that heart rate change which invariably accompanies depressor responses to AAJ was almost completely abolished by atropinization. 3) After administration of AAJ into cats frequency of respiration was markedly increased while depth of respiration decreased during first 2-3 seconds.

  • PDF

한방재료를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배지개발 (Medium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by Using Korean Herb Medicine Materials)

  • 정주교;이창윤;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50-656
    • /
    • 2012
  • 느타리버섯의 생산단가를 절감할 목적으로 한의원 등에서 폐기처리 되고 있는 한방슬러지를 수거하여 느타리 버섯 배지의 개발을 행하였다. 한방재료의 일반성분을 검토한 결과 조회분 함량은 홍화대와 지리오갈피가 11.6%와 10.1%를 나타내어 대조구인 폐면의 9.6%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지방 함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대조구인 폐면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 함량은 폐면배지에서는 9.8%로 검출되었으나 야생 쑥, 지리오갈피, 한방슬러지 및 홍화대에서는 각각 14.9%, 13.9%, 13.4% 및 11.5%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방슬러지, 야생쑥 및 지리오갈피의 pH는 5.27~5.72 범위로 폐면이 나타낸 pH 5.70과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느타리버섯의 균사 성장에 미치는 각 한방재료의 첨가농도는 3% 및 6%의 첨가보다 9%의 첨가구에서 느타리버섯 균사의 성장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한방재료의 첨가는 $P.$ $tolaassi$의 생육 및 $Trichoderma$ $sp.$의 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폐면배지에 9%의 한방슬러지를 첨가하여 실시한 현장 실험결과 버섯의 균사생장은 폐면배지에서 보다 약 2~3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고, 버섯의 수확량은 10~15% 정도 증수되었으며 또한 버섯의 대 및 갓 등이 균일하고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