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and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s)

  • 강민주;홍정순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333-35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때 사회불안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수행불안으로 구분하여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자의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 절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수행 불안은 모두 유의한 정적 관련을 보였다. 둘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 가치 절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 절하가 매개할 때,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보다 유의하게 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할 때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 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의 4차산업혁명 최신기술 관심도가 최신기술 활용 저항도와 불안도에 미치는 영향: 최신기술 수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Interest in the Latest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mong Workers at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on the Resistance and Anxiety :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of the Latest Technology)

  • 남희은;임유진;백정원;김남숙;윤영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8-198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들 최신기술에 관심도와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 간의 관계에서 최신기술 수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2018년 7월부터 8월까지 P광역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8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변수간 인과관계 검정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단계별 분석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최신기술 관심도는 최신기술 수용도를 매개로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Sobel test 결과, 통계적으로도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의 최신기술 관심도는 최신기술 수용도를 매개로 저항도 및 불안도를 낮추어 미래사회 적응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최신기술 기술에 대한 관심과 최신기술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관련 방안을 제언하였다.

20대 성인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변인으로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of Young Adults in Twenties: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Mediators)

  • 김대희;김명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1호
    • /
    • pp.51-71
    • /
    • 2021
  • 본 연구는 20대 성인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온라인으로 만 20대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불안 사이에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가 지각하는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과정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줄 때,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 모두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여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국내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뿐 아니라 20대를 대상으로 한 외국의 선행연구와도 많은 부분이 일치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의 아동청소년 뿐만 아니라 20대 성인에게도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적용 가능함이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것과, 그 사회불안 감소에 관한 심리학적 개입의 필요성과 그 실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강원지역 소방공무원에서 직무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Firefighter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이준영;최종혁;황현국;서영은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1-156
    • /
    • 2014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firefighters, particularly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2,136 firefighters in Gangwon-do, who completed the short form of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S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and the revised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 online in mental health promotion service of firefighters. The data was analyzed with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variable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of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Results : Job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r=0.493, p <0.01) and suicidal ideation (r=0.296, p<0.01). Depress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r=0.561, p<0.01).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showed that depression was a full mediator variable between job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it is very likely that job stress may affect suicidal ideation via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ventive interventions emphasized on depression may be helpful for reduction of suicide in firefighters.

전청소년기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 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Preadolescence)

  • 남연주;김민혁;이진희;서용석;민성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0-107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preadolescence. We verified the gender differ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 subtypes. Methods : This cross-sectional study obtained data from 674 subjects aged 9-12 year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Short Form Version (SAS-SV),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KIIP-SC). We analyzed data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evaluat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Results : The CDI sco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ssociated with the SAS-SV and the KIIP. In the total group, the KIIP-PA (Domineering) (b=0.13, 95%CI [0.05, 0.22]), the KIIP-BC (Vindictive)(b=0.07, 95%CI [0.02, 0.14]) and the KIIP-NO (Intrusive) (b=0.07, 95%CI [0.02, 0.13]) significan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DI and the SAS-SV. In me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KIIP-PA (Domineering) (b=0.20, 95% CI [0.08, 0.35])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KIIP-BC (Vindictive) (b=0.14, 95% CI [0.06, 0.25]) and the KIIP-NO (Intrusive) (b=0.08, 95% CI [0.02, 0.17]) were significant. Conclusion : Understanding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may help find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target.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 유제근;송원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03-217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216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정신화, 정서조절곤란,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SPSS 23.0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애착불안, 애착회피, 정신화, 정서조절곤란, 우울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는 유의했다. 셋째,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매개효과는 성인애착의 하위요인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을 가지고 있으며, 우울을 호소하는 내담자를 위한 효율적인 상담 방향성과 한계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아동의 자기지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 불안 간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in Children, and Depression and Anxiety)

  • 정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5-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s among two dimensions of children's perfectionism (both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and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2) whether or not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d anxiety; and (3) whether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d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406 fifth and sixth graders. Their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here a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It was also found that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mensions of children'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d anxiety.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enhancing healthy self-esteem could lower the risks of experiencing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 with perfectionistic personality.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 김지원;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2호
    • /
    • pp.67-84
    • /
    • 2022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0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사회부과 완벽주의, 주관적 안녕감, 특성 불안, 소진을 측정하였고, 변인들의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특성 불안, 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났고, 특성 불안은 소진과 정적 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소진은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간에 특성 불안과 소진이 각각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은 사람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완벽주의 그 자체를 다루기보다 과정 변인으로서 특성 불안과 소진을 다루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자아분화 및 거부민감성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Interpersonal Anxiety : Moderated Mediating by Gender)

  • 김나루미;박부진;김세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4호
    • /
    • pp.111-12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del the rela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anxiety. Questionnaires from 502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were analy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elf-differentiat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anxie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econdly,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from family regression was higher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e lower the rejection sensitivity experiencing in vertical relations became, and the lower the rejection sensitivity on horizontal relations was, the lower the interpersonal anxiety became.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for male students, differentiation from family regression affected rejection sensitivity on horizontal relations, and for females, differentiation from emotional reactivity affected ejection sensitivity o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relations. Finally, rejection sensitivity played a full mediation parameter when self-differentiation affected interpersonal anxiety, and it was demonstrated differences by gender.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rela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anxiety.

영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병렬이중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on Self-compass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xamining the Parallel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 안혜령;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203-232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allel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of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nters. Methods: Two hundred and six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o were recruited from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five provinces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s,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25.0 and model 4 provided in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 version. Results: First, the teachers' degrees of anxiety and avoidance in their adult attachment were below the median scores. Thos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and their self-compassion were close to the median scores. Second, there were parallel dual mediation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of teachers. Meanwhile, only positive affec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of teachers' avoidan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raise positive affect by lowering each level of anxiety and avoidance in their attachment for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self-compassion. It implied the need to provide support for attachment stability enhancement and to pay attention to improve their self-compa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