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of Young Adults in Twenties: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Mediators

20대 성인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변인으로

  • 김대희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김명식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20.11.04
  • Accepted : 2021.01.1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ify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young adults in twenties and their social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model. The onlin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50 young adults in twenties to assess the four major variables(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anxiety). In correlation analysi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ocial anxiety,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and this study 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vealing the path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social anxiety by mediator such as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inall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social anxiety partial mediator model was suppor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bsequently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anxiety in twentie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task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20대 성인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온라인으로 만 20대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과 사회불안 사이에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가 지각하는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과정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줄 때,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 모두 매개변인으로 기능하여 사회불안에 정적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국내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뿐 아니라 20대를 대상으로 한 외국의 선행연구와도 많은 부분이 일치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의 아동청소년 뿐만 아니라 20대 성인에게도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적용 가능함이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것과, 그 사회불안 감소에 관한 심리학적 개입의 필요성과 그 실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금주 (2015). 부모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대인관계만족의 중다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시은, 이재림 (2017). 한국판 헬리콥터 부모역할 지각 척도(Helicopter Parenting Scale) 타당화: 30대 초반까지의 청년을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2), 3-25. https://doi.org/10.21321/jfr.22.2.3
  3. 강주현 (2017). 대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유미 (2019).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기효정, 홍혜영 (2016).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3), 85-99.
  6. 김민경 (2008).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소라 (2003). 부모애착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소연 (2014). 행동억제기질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 불안통제감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소정, 윤혜영, 권정혜 (2013). 한국판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척도(K-SIAS)와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K-SPS)의 단축형 타당화 연구. 인지행동치료, 13(3), 511-535.
  10. 김신정, 김영희 (2007).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고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0(2), 172-181
  11. 김양은 (2013).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우울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용태 (2010). 상담일반: 사회-심리적 특성으로서 수치심의 이해와 해결. 상담학연구, 11(1), 59-73. https://doi.org/10.15703/KJC.11.1.201003.59
  13. 김윤혜 (2018).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개효능감, 경험회피를 매개변인으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은정. (2011). 새로운 생애 발달 단계로서의 성인모색기 (Emerging Adulthood). 사회와이론, 19, 329-372.
  15. 김지연 (2010). 부모의 과보호가 대학생활 적응,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문화적 특성과 남녀 차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지연, 오경자(2011).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647-661.
  17. 김하얀, 심혜원 (2018).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5(1), 1-29.
  18. 남기숙 (2008). 수치심, 죄책감 경험과 대처가 심리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노하연 (2017). 남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만성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소영, 주은선 (2019). 한국적 정서표현의 특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8(1), 25-52.
  21. 박아청 (1998). 과보호의 발달심리학적 의미에 대한 일고찰. 인간발달연구, 5(1), 53-73.
  22. 배병렬 (2017). AMOS 24.0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출판사.
  23. 배효숙, 홍혜영 (201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8), 27-54.
  24. 서경현, 신현진, 양승애 (2013). 거부적 부모양육 태도와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사회 불안간의 관계: 냉소적 적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837-851.
  25. 성태제 (2019). 알기 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6. 안선영, 김희진, 박현준 (2011).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II: 총괄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안소연 (201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오호영 (2017). 캥거루족 실태분석과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패널 워킹페이퍼, 7. 한국노동패널조사.
  29. 윤애리 (2016).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아동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규원 (2019).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불일치와 타인에 의한 타당화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승은 (2018).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에 관한 연구: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영분, 이용우, 최희정, 이화영 (2011). 한국사회의 부모의존 독신성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1, 5-30.
  33.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34.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35. 이현미 (2016).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 유형을 매개변인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현순 (2019).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혜림. (2009).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통제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혜민 (2017).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병윤, 이민규 (2017). 행동억제기질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4), 811-832.
  40. 정다은 (2019).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소이 (2019).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신체화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표현 불능증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소현 (2018).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9(5), 137-159. https://doi.org/10.15703/KJC.19.5.201810.137
  43. 정송희 (2018). 헬리콥터 부모양육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정은지 (2013). 지각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대학생활 적응: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형희 (2017).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유나 (2018).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최명진, 김은정 (2018). 심리적 통제척도(PCSYSR)의 타당성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34(2), 51-69.
  48. 최명희 (2018). 대학생 사회불안 척도 개발과 타당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최소선 (2016).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최인선, 최한나 (2013).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2799-2815.
  51.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71-89.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4.004
  52. 한아름 (2018).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한영철 (2017).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허준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한나래출판사.
  5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
  56.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7. Arnett, J. J. (2004).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8. Arnett, J. J., Zukauskiene, R., & Sugimura, K. (2014). The new life stage of emerging adulthood at ages 18-29 years: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The Lancet Psychiatry, 1(7), 569-576. https://doi.org/10.1016/S2215-0366(14)00080-7
  59. Barber, B. K., & Harmon, E. L. (2002).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15-52. Washington, DC: APA.
  60. Chan, W. (2007).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SEM: A sequential model fitting method using covariance-equivalent specific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4(2), 326-346. https://doi.org/10.1080/10705510709336749
  61. Carleton, R. N., Collimore, K. C., Asmundson, G. J. G., McCabe, R. E., Rowa, K., & Antony, M. M. (2009). Refining and validating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the social phobia scale. Depression and Anxiety, 26, 71-81.
  62. Cook, D. R. (1991). Shame, attachment, and addictions: Implication for family therapist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13(5), 405-419. https://doi.org/10.1007/BF00890495
  63. Cui, M., Graber, J. A., Metz, A., & Darling, C. A. (2016). Parental indulgence, self-regulation, and young adult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Journal of Family Studies, 25(3), 233-249. https://doi.org/10.1080/13229400.2016.1237884
  64. Dumont, L. (1970). Homo hierarchicu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64-87 https://doi.org/10.1037/0022-3514.58.5.864
  66. Kline, R. B. (2005).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67. Kline, R. B. (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Fourth Edi).
  68. Kwon, K. A., Yoo, G., & Bingham, G. E. (2016). Helicopter parenting in emerging adulthood: Support or barrier for Kore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5(1), 136-145. https://doi.org/10.1007/s10826-015-0195-6
  69. Lewis, H. B. (1971). Shame and guilt in neurosis. Psychoanalytic review, 58(3), 419-438.
  70. Luyckx K., Soenens B., Vansteenkiste M., Goossens L., & Berzonsky M. D. (2007).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imensions of Identity Formation in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1(3), 546-550. https://doi.org/10.1037/0893-3200.21.3.546
  71. Manzeske, D. P., & Stright, A. D. (2009).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regulation: The role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trol during young adulthood.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6(4), 223. https://doi.org/10.1007/s10804-009-9068-9
  72. Mattick, R. P., & Clarke, J. C.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6, 455-470. https://doi.org/10.1016/S0005-7967(97)10031-6
  73. Miller, J. G., & Bersoff, D. M. (1992). Culture and moral judgment: How are conflicts between justice and interpersonal responsibilities resolv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4), 541. https://doi.org/10.1037/0022-3514.62.4.541
  74. Preacher, K. J., & Hayes, A. F. (2008).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40(3), 879-891. https://doi.org/10.3758/BRM.40.3.879
  75. Scanlon, N. M., & Epkins, C. C. (2015). Aspects of mothers' parenting: Independent and specific relations to children's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anxiety symptom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2), 249-263. https://doi.org/10.1007/s10826-013-9831-1
  76. Schaefer, E. S. (1965). A configurational analysis of children's report of parent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9(6), 552-557. https://doi.org/10.1037/h0022702
  77. Schae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226-235. https://doi.org/10.1037/h0041114
  78. Schiffrin, H. H., Liss, M., Miles-McLean, H., Geary, K. A., Erchull, M. J., & Tashner, T. (2014). Helping or hovering? The effects of helicopter parenting on college students' well-being.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3(3), 548-557. https://doi.org/10.1007/s10826-013-9716-3
  79. Schreier, S. S., Heinrichs, N., Alden, L., Rapee, R. M., Hofmann, S. G., Chen, J., Oh, K., & Bogels, S. (2010). Social anxiety and social norms in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countries. Depression and Anxiety, 27(12), 1128-1134. https://doi.org/10.1002/da.20746
  80. Smout, A., Lazarus, R. S., & Hudson, J. L.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d Anxiety in Emerging Adulthood.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44(1), 182-195. https://doi.org/10.1007/s10608-019-10037-8
  81. Tangney, J. P., & Dearing, R. L. (2003). Shame and guilt. Guilford Press.
  82. Tracy, J. L., & Tangney, J. P. (2012) Self-conscious emotions. In M. R. Leary & J. P.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446-478. New York: Guilford Press
  83. Vandana Kapur, & Shweta Rai. (2013). The Experience of Shame in Social Phobia. Journal of Psychosocial Research, 8(2), 299-311.
  84. Wang, J., & Wang, X.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and applications. Wiley
  85. Williams, K. E., & Ciarrochi, J. (2020).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values development: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s and emerging adult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30(2), 541-558. https://doi.org/10.1111/jora.12542
  86. Zhong J, Li B, Qian M. (2003). Shame, pernality and mental health: an original structural model research in Chinese. Chinese Mental Health Journal, 17, 31-35. https://doi.org/10.3321/j.issn:1000-6729.2003.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