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ure cell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8초

특정 세균으로 유도된 백서의 치수염에서 T 세포 아군집의 분포와 interleukin-2, interferon-γ, interleukin-4의 수준에 관한 연구 (THE LEVELS OF INTERLEUKIN-2, INTERFERON-γ, INTERLEUKIN-4 AND TLYMPHOCYTE SUBPOPULATIONS IN RAT PULPAL INFLAMMATION INDUCED EXPERIMENTALLY BY SPECIFIC BACTERIA)

  • 김선아;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1호
    • /
    • pp.1-11
    • /
    • 2002
  • Immune responses associated with bacterial infection involve various inflammatory cells. Clinical symptoms and pathologic features are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e predominant cells Among inflammatory cells, T cells have the heterogenity. T cells may develop into the mature cells expressing the cell surface markers with different functions and T helper cells are categorized into Th1 and Th2 cells based on their different patterns of cytokine produ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expression of surface markers on T cells and the Th1/Th2 immune response in pulpal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specific bacteria. We experimentally induced pulpal inflammation in rat incisors by drilling without coolant and innoculated with Streptococcus mutans (S.M. group), Porphyromonas endodontalis (P.E. group), or only sterile cotton (control group). After 1, 2, and 5 days, mandibular incisors were extracted and the pulp tissues were extirpated The expressions of IL-2 recepters (CD25) and ICAM-1 (CD54) on CD4+ and CD8+ cells in the pulps were determined using a flow cytometer, and the concentration of IL-2, IFN-$\gamma$ and IL-4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S.M. group, CD4+ cells were more increased at 2nd day than 1st day and in the P.E. group, CD8+ cells were more increased at 2nd day than 1st day. 2. The percentages of CD4+, CD4+25+ and CD4+54+ cells were decreased in the pulp tissues at 5th day after irritation in all groups. 3. The ratios of CD4+/CD8+, CD4+/CD4+25+ and CD4+/CD4+54+ in the pulps at 2nd day after irritation by P. endodontali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groups. 4.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IFN-$\gamma$ than IL-4 in the pulps at 2nd day after irritation by P. endodontalis showed that T helper 1 reaction were predominant in the early stage of the pulpal inflammation induced by P. endodontalis. 5.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IL-4 than IFN-$\gamma$ in the pulps at 1st day and 5th day after irritation by S. mutans were measured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Citrus reticulata 감과 과피 내 미세구조 변화 (Sequential Changes of Pericarp Ultrastructure in Citrus reticulata Hesperidium)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1호
    • /
    • pp.79-92
    • /
    • 2003
  • Citrus reticulata 감과 과피조직 내에서 탈리를 전후하여 신속하게 진행되는 특정 미세구조의 분화양상을 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하였다. 특히, 색소체 전환이 진행되어 뚜렷한 외과피층을 이루는 후각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미세소기관 분해물질의 형성 및 특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색 변화가 수반된 발달 중의 외과피 유세포들은 세포벽이 비후되면서 1차공역이 잘 발달하는 후각세포로 분화하며, 대부분의 색소체는 유색체로 전환되어 티라코이드는 거의 소실되고 지질입자를 다량 함유하는 불규칙적인 형태로 변형되었다. 이때 세포막이나 액포막에서는 국부적으로 형성된 수많은 소낭들이 집적되어 세포질 내부로 이동하였고, 세포간 1차공역에 발달하는 원형질연락사를 통한 소낭의 집적현상 또한 빈번히 일어났다. 집적된 소낭들은 융합되어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 또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구조(EDB)로 되며, 이동하여 엽록체, 미토콘드리아 등의 주요 세포소기관을 점차 포위하였다. 소액포들은 융합하여 거대액포가 되며, 세포질 및 EDB에 포위된 소기관들은 점차 분해되기 시작하였다. EDB는 리파제 확인실험에 의해 지질성 물질로 이루어진 구조로 확인되었다. 과피발달 초기에 선행된 중과피 분화는 세포 내에서 급격히 진행된 용해현상에 의해 수많은 소액포들로 이루어진 거대한 세포 공강을 형성하며 밀착되어 불규칙적인 세포벽과 함께 해면성으로 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감과가 식물체에서 분리되기 직전에서부터 탈리 후까지 일어나는 과피의 발달 및 노화현상을 추적하였다.

사람 태아 지라에서 혈구형성에 관한 연구 (Hemopoiesis in Human Fetal Spleen)

  • 김대진;심규민;김성수;이원복;김경용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1호
    • /
    • pp.41-48
    • /
    • 2003
  • 사람 태아의 지라를 대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지라에서 혈구형성이 일어나는 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태아 지라에서는 적혈구형성에서 볼 수 있는 미분화세포인 전적혈구모세포를 포함해 염기호성적혈구 모세포, 뭇염색성적혈구모세포, 호산성적혈구모세포를 모두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호산성적혈구모세포에서 핵의 탈출, 유사분열중인 적혈구모세포가 있었다. 하나의 세포가 적혈구모세포 집단을 에워싸고 있는 적혈구모세포섬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가 있었으며, 이러한 구조는 태아 간 적혈구형성에서 보이는 적혈구모세포섬과 매우 유사한 구조로서 지라에서도 적혈구모세포섬이 형성되어 적혈구형성을 이루고 있었다. 거대핵세포 계통의 세포들도 지라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나 더욱 발달된 거대핵세포나 유사분열중인 거대핵모세포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혈소판을 만들어내는 세포질의 분리현상을 볼 수 없었다. 지라의 기능으로 볼 때 본 실험에서 관찰한 거대핵모세포는 순환중인 거대핵모세포가 단순히 지라에서 걸려있는 여과기능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이곳에서 증식하여 혈구형성에 관여하는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람의 태아 지라에서도 적혈구형성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 방식은 골수나 간에서 일어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혈소판형성에 관여하는 거대핵세포의 형성의 유무는 확실하지 않았다.

Stain improvement in the white button mushroom 'Seolgang' and its varietal characteristics in Agaricus bisporus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Lim, Yong-Pyo;Lee, Byung-Eui;Song, Ho-Ye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1-159
    • /
    • 2012
  • The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s one of the most widely cultivated important edible mushroom species. In the breeding of new button mushroom, 'Seolgang' was developed by crossing two monokaryons 'CM020913-27' and 'SSU423-31'. Because of the secondarily homothallism, only a small percentage of the basidia produce 3 or 4 spores, which are mostly haploid (n) and do not fruit. Single spore cultures derived from these types of spores produce a vegetative mycelium that also contain a variable number of genetically identical nuclei per cell called monokaryon. The lack of clamp connections between monokaryon and dikaryon required a series of mycelial culture and fruiting test. After crossing, hybrids were cultivated on a small scale and on a commercial scale at a farm. For this, the spawn was made by a commercial spawn producer and the spawned compost by a commercial compost producer. Mycelial growth of 'Seolgang' on CDA was better at $20^{\circ}C$ and $25^{\circ}C$ when it was compared with that of '505 Ho'. The mature cap shape of new strain 'Seolgang' is oblate spheroid and the immature cap shape is round to oblate spheroid. The cap diameter was 41.2 mm on average. In comparison with white strain '505 Ho', the strain had a yield that was 9% higher. It produced fruiting bodies which had a higher weight on average per fruiting body and were 19% firmer with a good shelf life. Days of fruiting body were 3-4 days later than those of '505 H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lasticity, chewiness, adhesiveness were better than that of '505 Ho'. Genetic analysis of the new strain 'Seolgang' showed different profiles compared to '505 Ho', CM02913-27, SSU413-31, when RAPD primers A02 and O04 were used.

소의 생리적 특성에따름 세포내 텔로미어 함량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Telomerase Activity on Cattle Cells)

  • 최덕순;조창연;손시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445-456
    • /
    • 2008
  • 텔로미어란 염색체 말단부에 TTAGGG의 반복 염기서열과 특정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핵 내 염색체의 안정성에 작용을 하며 세포의 노화, 사멸 및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텔로머레이스는 텔로미어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직접적 효소로서 telomeric DNA 합성에 관여하는 ribonucleoprotein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와 Holstein종 136두를 대상으로 백혈구 세포를 이용하여 연령 별, 품종 별, 성 별 텔로미어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동일 연령에서 혈액, 간, 뇌, 심장, 신장 및 생식선 조직들의 텔로미어 함량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도 비교 분석하였다. Telomeric DNA의 양적분석은 양적형광접합보인법(Q-FISH)을 이용하였고, 텔로머레이스 활성도의 분석은 TRAP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소의 백혈구 세포들에 있어 개체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텔로미어의 함유율이 점진적이며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고, 한우가 Holstein에 비해 텔로미어 함유율이 높게 나타나 품종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 성 간에도 수컷이 암컷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텔로미어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동일 연령의 간, 심장, 신장, 폐, 혈액 세포내 텔로미어의 함유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태아의 모든 조직에서 비교적 강한 활성을 보였지만, 성 성숙이 된 18개월령에서는 생식선 조직을 제외한 나머지 조직에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현저하게 떨어져 조직별 세포의 증식성 특이성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간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서 세포내 텔로미어 양적 분포 양상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이용하여 개체의 연령 지표 또는 생리적 표지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자 한다.

녹차씨 압착박 열수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Cake)

  • 위지향;성혜미;정경옥;김숙정;신유림;박주현;김종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25-533
    • /
    • 2015
  • 본 연구는 녹차씨 압착박의 활용성을 증가해 보고자 녹차씨를 압착한 후 남은 박을 추출하여 총 페놀, 조사포닌, 카테킨, 나린게닌 함량을 확인하고 3T3-L1 세포에서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관련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에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녹차와도 비교하였다.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의 페놀, 조사포닌, 카테킨, 나린게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나린게닌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T3-L1 세포에서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저해 정도 및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지방 축적저해 및 중성지방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녹차씨 압착박이 지방합성 및 에너지 조절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백질 발현 실험을 실시한 결과, 녹차 또는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 의해서 AMPK 및 ACC의 인산화 증가 및 FAS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효능은 녹차 추출물보다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이 녹차 추출물 보다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어져, 녹차씨는 추후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식품 소재로도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IL-1{\beta}$), PDGF-BB 그리고 $TGF-{\beta}$가 사람 배양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PDLs17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leukin $1-{\beta}$,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BB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on the expression of PDLs17 mRNA in the Cultur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 임기정;한경윤;김병옥;임창엽;박주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787-801
    • /
    • 2001
  • The molecular mechanisms control the function of PDL(periodonta1 ligament) cells and/or fibroblasts remain unclear. PDLsl7, PDL-specific gene, had previousely identified the cDNA for a novel protein from cultured PDL fibroblasts using subtraction hybridization between gingival fibroblasts and PDL fibrobla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gulation by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on PDLsl7 gene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nd observe the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PDLsl7 protein in various tissues of mouse. Primary PDL fibroblasts isolated by scraping the root of the extracted human mandibular third molars.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human recombinant $IL-1{\beta}$, PDGF-BB and TGF\;${\beta}$ for 48h nd 2 weeks. At each time point total RNA was extracted and the levels of transcription ere assess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 polyclonal antiserum raised against PDLsl7 peptides, CLSVSYNRSYQINE and SEAVHETDLHDGC, were made, and stained the tooth, periodontium, developing bone, bone marrow and mid-palatal suture of the mou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DLsl7 mRNA levels were increased in response to PDGF (10ng/ml) and $TGF\;{\beta}$(20ng/ml) after treatment of the $IL-1{\beta}$, PDGF-BB and $TGF{\beta}$for 48 h. 2. PDLsl7 was up-regulated only by $TGF{\beta}$(20 ng/ml) after treatment of the $IL-1{\beta}$, PDGF-BB and $TGF\;{\beta}$ for 2 weeks and unchanged by the other stimulants. 3. PDLsl7 was a novel protein coding the 142 amino acid peptides in the ORF an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obtained cDNA from RT-PCR was exactly same as the nucleotides of the database. 4.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PDLsl7 is preferentially expressed in the PDL, differentiating osteoblast-like cells and stromal cells of the bone marrow in the adult mouse. 5. The expression of PDLsl7 protein was barely detectable in gingival fibroblasts, hematopoetic cells of the bone marrow and mature osteocytes of the alveolar bo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DLsl7 might upregulated by PDGF-BB or $TGF{\beta}$ and acts at the initial stage of differentiation when the un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 in the bone marrow and PDL differentiate into multiple cell types. However, more research needs to be performe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act function of PDLsl7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mesenchymal and PDL cells.

  • PDF

수소생산 기술동향 (Technical Trends of Hydrogen Production)

  • 이신근;한재윤;김창현;임한권;정호영
    • 청정기술
    • /
    • 제23권2호
    • /
    • pp.121-132
    • /
    • 2017
  • 온실가스 배출과 지구온난화 문제로 인하여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확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데, 청정에너지원인 수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수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원소이며, 화석연료, 바이오매스 및 물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소생산방법에는 전통적 방법인 화석연료 개질반응을 통한 생산과 재생가능한 방법인 바이오매스 및 물을 이용한 생산으로 나뉜다. 화석연료를 이용한 수소생산은 습윤개질반응, 자열개질반응, 부분산화반응 및 가스화반응 등 열화학적 방법으로 가능한데, 이를 청정에너지원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소생산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포집이 필요하다.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수소생산은 그 양이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특히 생물학적 전환법은 효율증가를 위한 반응기 구성, 수소생산미생물 배양 등 효과적으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한다. 물분해를 통한 수소생산이 가장 청정한 수소생산기술이지만 태양광, 태양열, 풍력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부터 충분한 에너지공급이 가능해야 한다.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수정관의 미세구조와 기능 (Finestructure and Function of Vas deferens in a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 김대현;이재용;정지현;강정하;이복규;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24-430
    • /
    • 2002
  • 징거미새우의 수정관은 정소의 중앙 후반부에서 기원되어 제 5보각의 기부에 위치한 생식공까지 연결되어 있고 그 형태에 따라 짧고 가느다란 기부, 나선부, 직선상의 말단부 그리고 사정관 4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정관 기부의 내강은 높이가 $12{\~}28{\mu}m$의 SCE가 랴은 기저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일부에 높은 HCE도 관찰된다. 나선부와 말단부의 내강은 배면으로는 $40\~120{\mu}m$ 높이의 높은 HCE가 그리고 복면과 측면에는 $12\~28{\mu}m$ 범위의 SCE로 구성되어 있다. 수정관의 사정관에는 종주근과 환상근으로 이루어진 근세포들로 둘러싸여 있고 2종류의 상피세포는 거의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기부의 내강에는 성숙정자와 호염기성 기질만 관찰되는 반면, 나선부부터는 SCE주변으로 호 산성 기질이 함께 나타난다. 사정관내에 저장되어 있던 정자덩어리와 정자를 싸고있는 물질이 양쪽의 생식공으로부터 한 쌍의 관형태의 정포로 되어 교미 직후의 암컷의 $2\~4 $또는 5번째 보각의 복판에 부착된다. 정포는 그 길이가 $2.7\~4.0mm$, 폭이 $1.5\~2.7mrn$ 정도의 크기였다.

한계령풀의 생식기관 발생형태 (Embryology of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Berberidaceae))

  • ;신동용;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6-233
    • /
    • 2010
  • 속간 계통유연관계 해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연구되지 않은 한계령풀의 생식기관 발생학적 형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한계령풀의 생식기관 형태는 매자나무과의 다른 속들과 비슷한 점이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주피 내강벽의 발달, 미분화 종피 구조 등과 같은 새로운 생식기관 특징들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계통학적으로 한계령풀속은 매자나무과 내에서 꿩의다리아재비속이나 Leontice속에 가장 가깝다고 인정되고 있는데 이들이 같은 족에 분류되어 있는 것처럼 분자계통학적 유사성과 더불어 많은 형태적인 특징들도 공유하고 있었다. 한계령풀은 기본형의 약벽형성, 분비형 융단세포, 화분모세포의 연속형 세포질분열, 약 열개시 2세포성 성숙화분, 도생배주, 후층성주심, nucellar cap의 발달, 내주피 내강벽의 형성, 마디풀형 배낭형성, 핵형 배유형성, 미분화 종피 패턴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과내 Nandina속과의 비교에서는 약의 열개 패턴, 소포자의 세포질 분열패턴, 종자 형태, 종피 유형 등 많은 형태적 특징에서 차이가 있었다. 비록 이 연구에서 근연속인 꿩의다리아재비속이나 Leontice속의 생식기관 정보를 충분히 이용할 수는 없었지만, 한계령풀속은 종자와 종피 형태를 근거로 매자나무과내에서 꿩의다리아재비속과 Leontice속에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