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 불안과 교사 성별 및 경력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Analysis on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Anxiety for Teaching Mathematics)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3호
    • /
    • pp.191-20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McAnallen Anxiety in Mathematics Teaching Survey 도구를 이용하여 초등교사 214명의 수학 교수 불안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학 교수 불안 지수와 응답한 교사의 학력, 자격증, 교직 경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 불안은 교사의 학력, 자격증, 교직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반면,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통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확대를 통해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과 초등교사의 수학 교수 불안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ing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71-8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의 관계를 통합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 256명의 설문 조사의 통계적 분석 결과 두 요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 = .630, p<.05). 두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수학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직경력과 학위, 수학 교수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직경력, 학위, 교사 자격증으로 조사되었다. 이어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초등학교 교사와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불안이 반드시 수학교수불안을 야기하는 유일한 원인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양적·질적 분석 결과 한국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은 동일한 몇 가지 요인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요인 사이의 유사성이 발견되지만, 별개의 요인에 각각의 정서적 상태의 변화가 확인되는 점을 바탕으로 수학불안과 수학교수 불인이 동일한 정서적 상태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학불안만으로 수학교수불안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가정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불안과 수학교수불안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서적 상태의 치료가 우선시된다기 보다 각각의 정서 상태에 맞는 방법들이 고안되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Teachers)

  • 김리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49-6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검증 절차를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이용하여 설문 문항 간 유기성을 검증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수학 교수 효능감 도구의 적용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된 문항들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통계적 검증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21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불안 요인과 수학에 대한 태도 조사

  • 배민옥;김상룡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363-38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correlation for the tendency of mathematics anxiety, trait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attitude depending on the teacher variable through a survey of mathematics anxiety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on teaching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solve the questions above, sampled 2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province. As a result of the study, mathematics anxiety on teaching is not actually formed a lot. However, the more training experience with mathematics, previous academic career, education career were, the lower mathematics anxiety was. The results showed that mathematics anxiety is affected by previous academic career, training experience with mathematics in particular. In addition, we found that mathematics anxiety is affected by mathematics anxiety in their school, recognition of the ability to explain mathematics contents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고등학생용 수학불안 요인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Math Anxiety Factor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Validation of Validity)

  • 강양구;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01-227
    • /
    • 2022
  •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학불안 요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요인 탐색, 문항 개발,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의 단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기 개발되어 사용되어온 문항을 수정 보완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조사를 통해 사교육 및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신규 문항을 추가하였다. 개발된 측정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 수학교과의 특성에 기인하는 불안 요인이 구체화되었고, 모둠학습이나 발표수업 등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 등이 반영되었다.

위상수학적 데이터 분석법을 이용한 수학학습 불안 분석 사례 (Mathematics Anxiety Analysis using Topological Data Analysis)

  • 고호경;박선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77-189
    • /
    • 2018
  • Recently, Topological Data Analysis (TDA) has attracted attention among various techniques for analyzing big data. Mapper algorithm, which is one of TDA techniques, is used to visualize the cluster diagram. In this study, students were clust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mathematics anxiety using a mapper, and students were visualized according to mathematics anxiety. In order to do this, Mathematical Anxiety Scale (Ko & Yi, 2011) in the aspect of mathematical instability in terms of teaching - learning, ie, Nature of Mathematics, Learning Strategy, Test/Performance is used. And the number of questions that measure the anxiety of mathematics can be extracted by extracting the most relevant items among the items that measure the anxiety of mathematics.

초등학교 학생의 수학불안 변화 분석: 종단연구 (Analysis of Changes in Mathematical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14
    • /
    • 2021
  • 수학불안은 수학에 대한 정서적·신체적 거부감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학생들의 수학불안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수학학업 성취도 향상 뿐 아니라 미래 사회에 필요한 수학 인력 양성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특히 수학불안은 대부분 초등학교시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후속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수학불안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불안 변화 패턴을 제시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249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을 4학년에서 6학년까지 3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수학불안 양상의 다섯 가지 패턴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학불안 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흥미도이며, 부모의 관심은 수학불안을 경감시키고, 사교육에 대한 부담감은 수학불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학 통계 수업에서 가르치기가 수학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aching on reducing mathematics anxiety in university statistics class)

  • 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99-108
    • /
    • 2021
  • 다른 사람에게 학습 자료를 가르치는 것의 이점은 학업 성취도에서 나타났다. 불안은 학습을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이고 수학 불안은 수학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통계를 학습할 때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이 수학 불안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통계수업에 등록한 학생들 59명이 참여했고 30명의 학생은 그룹 안에서 다른 학생을 가르치는 그룹 과제를 수행했고, 29명의 학생은 수행하지 않았다. 그룹 과제를 제외하고 강사, 강의, 문제 풀이 과제와 시험은 모두 동일했다. 그 결과, 가르치는 그룹 과제를 수행한 학생들의 수학 불안은 학기 말에 감소하였다. 수학 불안이 증가하면 통계 학습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그 결과 학습 성취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수학 불안과 통계 학습에 대한 태도의 관계는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으로 조절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르치기는 수학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미쳐 지속적인 학습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비초등교사의 학습동기 전략에 관한 연구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2호
    • /
    • pp.55-64
    • /
    • 2002
  • According to changing the society rapidly in the 21s1 century,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considered as an ability of which people should carry o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method class in terms of the following areas: (1) the degree of their abilities shown the lower level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such as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anxiety, cognitive strategy use, and self-regulation (2) relations between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or loaming and performance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bove the mean valu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and there are positive relations among lower level factors of motivated strategies fur learning except anxiety, positive relation between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and achievement. In order to help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improve their motivated strategies fur learning in their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ethod lecture, several methods such as mathematical connections to real world problem, history of mathematics and interview with mathematicians and application of feller's ARCS model to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re suggested.

  • PDF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불안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vity of Mathematical Anxiety Depending on the Type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 고호경;박상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69-384
    • /
    • 2007
  • 본 연구는 성격과 수학불안이 무관하지 않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격유형에 따라 수학불안 하위요인에서의 불안 정도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공주 및 경기도 안양의 고등학생 159명이었고 네 가지 선호지표(E-I, S-N, T-F, J-P), 기능과 기질, 16가지 성격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수학불안 하위요인별로 느끼는 수학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학불안 하위요인인 학습동기에서는 E형이 교수방법에서는 N형의 학생들이 수학불안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교수방법에서 심리적 기질 및 기능에서 NT형의 학생들이 수학불안 정도가 높게 나옴으로서 성격유형에 따른 수학불안의 하위요소와의 관련성이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학불안 하위요소를 고려한 교수 학습을 제안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