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ourse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4초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gineering Education)

  • 김희정;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21-1627
    • /
    • 2011
  • 공학교육인증기준 KEC2005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달성하도록 전공은 물론 수학, 기초과학, 전산학, 전문교양과 관련된 충분한 교과목이 제공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이수 뿐 아니라 전문교양 교과과정에 대한 성취도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공학기본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현재 공학교육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여러 대학들의 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의 실태분석을 통한 전문교양 교과영역의 전형적인 모형을 도출하였다.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Differentiated Curricula)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21-3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es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t the middle school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it.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had the interviews with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he items of survey and interviews consisted of the two main parts: current states and needs about the special supplementary courses and enriched supplementary co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current states and the needs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his means the efforts to improve the current states are needed.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re as follows: 1. The use of various standards including the subject-achievement level and students' or parents' opinions is needed in selecting the students of special supplementary course. 2. More relevant special supplementary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and utilized. 3. The ability grouping is recommended for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4. The deliberation of developing the enriched and supplementary texts is requested. 5. The study for differentiated evaluation of students is demanded.

전문대학 전기전공학과에서 고등학교 전기전공과 졸업생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기초자료 연구 (A Basic Data Research on Effective Studying of Technical High School Department of Electricity Graduate Students in Junior College Department of Electricity)

  • 이상석;김민회;박찬규;이재용;조세호;송태범;배병호;이종우;정안식;최성하;신동수;윤상길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2권3호
    • /
    • pp.127-136
    • /
    • 2003
  • A point of doing this research is to give basic data for Junior college having matriculation resources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majoring to the graduate students from technical high school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the 6th and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urses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on technical high school and analyzed basic subjects of technical high school and detailed major basis subject of junior college in department of electricity by educational courses and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Also we have examined tried to secure advantage of major studying on the basis of result of analysis.

효율적인 공학 교육을 위한 MSC 교과목과 전공 교과목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SC and major curriculum for Efficient Engineering Education)

  • 김성철;김혜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73-6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MSC 교과목과 전공교과목의 연계성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교과과정의 개선 및 학생들의 만족도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이수한 MSC 교과목과 전공필수 교과목에 대한 성적 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조사한다. 뿐 만 아니라 학생들의 이들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개선점을 찾는데 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공학교육인증의 필요성에 대한 낮은 인식이 MSC 교과목에서의 불만 원인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에 대한 공학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인식 제고 및 인증을 위한 형식적인 과목 개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전공 교과목에서 필요한 부분에 대한 강조를 통하여 보다 내실 있는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 강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학 관련 교양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법 개선 및 교재 개발 (Improvement of methods of teaching-learning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general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mathematics)

  • 표용수;조성진;정진문;심효섭;박동준;차지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83-497
    • /
    • 2007
  •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공계열 기피현상, 다양한 형태의 대학 입학전형제도, 교육환경의 변화 등으로 대학에서의 교양수학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지도 방안의 개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력 차 해소를 위한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을 마련하고, 이공계열 전공영역별 맞춤 교재개발과 함께 효율적인 교양수학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제안한다.

  • PDF

Mobile-Learning에 의한 수학학습에서 학생들의 인식변화, 성취도, 및 성향에 대한 연구 (Students' Perspectives towards M-learning Achievement, and Disposition towards Mathematics Using a mobile phone)

  • 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863-885
    • /
    • 2009
  • 무선 인터넷 시대를 맞아 기기의 사용은 PC나 노트북 컴퓨터를 벗어나 휴대폰으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학습현장에 활용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휴대폰을 기반으로 한 M-learning의 학습효과를 파악하고자 설계되었다. 그 동안 전통적인 학습환경이 면대면 학습위주였다면 이런 인터넷환경은 유비쿼터스적인 환경을 제공하므로 학습의 기회를 좀 더 많은 사람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학생들의 폰강의 대한 인식은 유비쿼터스 환경, 요점정리, 저렴한 비용 등의 긍정적인 측면을 선호하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폰강 학습을 통해 수학에 대한 성향이 향상되었으며 보충수업 반보다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 PDF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수학적 태도가 수학 학습동기와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 on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Mathematics Anxiety)

  • 정숙영;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91-312
    • /
    • 2017
  • 부모 행동 지원이 학생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수학적 태도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와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에는 영향을 미치고, 수학불안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높은 학생일수록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수학적 태도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수학적 태도가 좋을수록 학생의 수학불안은 낮아지지만 지나치게 높아지는 경우에는 학생의 수학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배경이 교육에 맞춰진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에 영향을 주지만 교육적 관여가 높아질수록 성취압력이 되어 수학불안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부모의 수학적 태도는 교육적 관여 정도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것으로, 부모가 올바르고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로 양육함으로써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를 높일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수학교육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탐색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정원;권민성;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299-316
    • /
    • 2023
  • 본 연구는 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 교사 161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과 수학교육에 대한 태도 및 수학 교수, 학습, 평가 도구로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인식을 5점 Likert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수학의 교수, 학습, 평가를 위한 도구로 AI를 활용하는 데에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특히, AI를 활용한 수학교육은 맞춤형 개별 교수 학습, 선수 학습 보충, 평가 결과 분석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인공지능이 교사의 역할을 대체할 수 없다는 데에 강한 긍정을 드러냈다. 한편, 초등 교사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나 준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드러냈는데, 이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수학 수업의 실행이나 연수 이수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드러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교육에서 인공지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 및 교사들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학 영재의 심화학습을 위한 다각형의 무게중심 연구 (Study on a Center of Gravity of Polygon as an Enriched Learning Topic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 김선희;김기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335-352
    • /
    • 2005
  •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 영재를 위한 심화학습 주제로 사용해 볼 수 있는 볼록다각형의 무게중심을 연구하고, 그것을 학생들에게 지도한 예시를 소개한다 아르키메데스의 질량중심의 성질을 바탕으로 다각형의 무게중심을 정의하고, 적분과 내분점에 의해 무게중심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무게중심의 성질을 발견하고 정당화하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경험하고 여러 문제해결 방법을 시도한다는 것을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통해 교사는 무게중심에 대한 통찰을 가지고 수학 영재를 안내할 수 있고, 학생들이 수학자와 유사한 경험을 하면서 수학적 사고를 중시하는 심화학습에 참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 탁병주;구나영;강현영;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9-39
    • /
    • 2017
  •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can turn out to be totally useless if we don't appreciate the part sampling plays. However, the conception of sampling is a scheme of interrelated ideas entailing many statistical notions such as repeatability, representativeness, randomnes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This complexity makes many peopl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relying on their incorrect intuitions without understanding sample comprehensively. Some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a sample is understood by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but we want to identify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e as the statistical literacy by a qualitative analysis. We designed four items which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write their understanding for sampling tasks including representativeness and variability. Then, we categorized the similar responses and compared these categories with Watson's statistical literacy hierarchy. As a result, many preservice teachers turned out to be lie in the low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s they ignore contexts and critical thinking, expecially about sampling variability rather than sample representativeness. Moreover, the experience of taking statistics courses in university did no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ir statistical literac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tatistic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