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검색결과 1,002건 처리시간 0.032초

문제해결에서 생산적 실패의 경험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Experiences of Productive Failures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Mathematical Dispositions)

  • 박유나;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23-1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에서 생산적 실패를 한 경험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생산적 실패를 경험할 수 있도록 수업 과정을 고안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서울 은평구 Y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반은 생산적 실패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비교반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로 수학 개념이해 검사, 다양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검사, 수학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각각 t-검정하였으며, 학생들의 토의과정 및 활동지, 면담 등을 활용하여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성향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적 실패를 경험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에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실패를 통해 수학 개념을 스스로 구성하면서 보다 명확한 이해를 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보인다. 심층적인 추후 연구로 수학교과서 개발 및 수업 방법 개선에서 이를 활용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Items for the Assess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 신준식;고정화;박문환;박성선;서동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19-640
    • /
    • 2011
  • 본 연구는 수학적 추론, 문제해결, 의사소통과 관련된 평가 문항을 소개하고, 평가 문항에 대한 5 학년 학생들의 반응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수학적 추론은 연역 추론, 귀납 추론, 유비 추론으로, 문제해결은 외적 문제해결과 내적 문제해결로, 의사소통은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로 나누어 각각의 예시 문항과 학생들의 반응을 소개하였다. 수학적 추론 문항은 각각의 추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문항의 개발이 중요하며, 5학년 학생들 중 일부는 이러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의사소통의 각각의 형식보다는 문항에 내재된 수학적 상황이 학생들의 반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수학 평가 문항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수학 평가에서 인지적 영역의 설정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수학 평가 문항 개발과 관련된 교사 연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메타인지 전략 학습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 연구 (Metacognitive Learning Methods to Improve Mathematical Thinking)

  • 박혜연;정순모;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17-746
    • /
    • 2014
  •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인재는 자기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춘 사람으로, 수학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사고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사고력은 자신의 사고과정을 모니터하고 조절 통제하는 메타인지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메타인지와 관련된 여러 연구결과들의 통합을 통해 '메타인지능력과 수학적 사고력과의 상관관계,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 및 그 효과,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PDF

학생의 문제해결전략에 대한 교사의 노티싱 역량 분석: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서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Examining teachers' noticing competency on students' problem-solving strategies: Focusing on errors in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uncommon denominators problems)

  • 손태권;황성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2호
    • /
    • pp.229-247
    • /
    • 2021
  • 학생의 수학적 사고는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로 나타나며, 교사는 이를 통해 학생의 수학적 사고를 추론하고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중심으로 오류가 포함된 문제해결전략에 대한 39명의 현직 초등교사의 노티싱 역량을 분석하였다.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의 노티싱 역량은 식별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반응하기는 교사의 의도와 문제 유형에 따라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 노티싱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인터넷을 활용한 패턴 학습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Using Internet in Pattern)

  • 류성림;박신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4호
    • /
    • pp.459-476
    • /
    • 2003
  • 본 연구는 수학 교실에서의 시·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수학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수학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도입하였다. 인터넷을 활용한 수학 교육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과 문제해결의 형태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수학적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방법은 학생들마다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은 다른 학생들의 표현 방법을 통해 자신의 표현 방법을 보다 논리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수학적 의사소통 참여 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는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패턴 학습이 수학 교실의 문제해결에 있어서 이유 및 검증의 습관화와 과제 집착력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 PDF

교구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논리-수학적 지식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vities using Hands-on Robots on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 김상언;김상희;장지은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87-296
    • /
    • 2017
  • Robots ar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new instructional media, and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robots have been increas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hands-on robots on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43, and they were all five-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activities with hands-on robots and general free activities, respectively. Results using ANCONA have shown that the activities with hands-on robots positively affected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se meaningful results have shown the possi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use as the effectiveness of hands-on robots has come out.

A Development of the Test for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Lee, Kang-Sup;Hwang, Dong jou;Seo, Jong-J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3호
    • /
    • pp.163-18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st, which can be used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s. This test tool i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fluency (number of responses), flexibility (number of different kinds of responses), and originality (degree of uniqueness of responses) which are the factors of the creativity. After applying to 462 middle school students, this test was analyzed into item analysis. As a results of item analysis, it turned out to be meaningful (reliability: 0.80, validity: item 1(1.05), item 2(1.10), item 3(0.85), item 4(0.90), item 5(1.08), item difficulty: item 1(-0.22), item 2(-0.41), item 3(0.23), item 4(0.40), item 5(-0.01), item discriminating power: item 1(0.73), item 2(0.73), item 3(0.67), item 4(0.51), item 5(0.56), over the level of a standard basis. This means that the test tool was useful in the test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 PDF

초등수학 교과서 문장제의 언어적 분석 (A Linguistic Study on the Sentence Problems in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영아;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2호
    • /
    • pp.115-139
    • /
    • 2019
  • In problem solving education, sentence problems are a tool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of mathematical ability. The sentence problems refer to the problem expressed in sentence form rather than simply a numerical represent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In order to solve sentence problems with a mixture of mathematical terms and general language, problem-solving ability includ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entences as well as the mathematical computation ability is requir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syntactic elements from the linguistic aspects in sentenc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lexity of sentence problems in the length of sentences and the grammatical complexity of the sentences in the depth of the sentences by analyzing the 51 sentence problems presented in the $4^{th}$ grade mathematics textbook(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ength and depth of the sentence more carefully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entence problems. Especially in elementary mathematics, the sentence problems requires a linguistic understanding of the sentenc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yntactic elemen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teaching sentence problems in mathematics textbook.

구체물을 이용한 소집단 문장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ll-Group Mathematical Word Problem Activity with Concrete Materials on 5 Years Ol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and Attitudes)

  • 권은서;이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9-86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group arithmetic word problem activities with concrete materials on 5 year ol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Methods: A total of 34 five-year-old children (control group 16 children, experimental group18 children) attending two kindergartens in P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fteen small-group arithmetic word problem activities with concrete materials were conducted in the classroom of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all the participants individually took a basic arithmetic test,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test, and mathematical attitudes test. Results: First, we observed tha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mathematical ability tests, including the basic arithmetic test and mathematical word problems solving test when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Second, we also found tha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the mathematical attitudes test than their counterpart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mall-group arithmetic word problem activities with concrete materials a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