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mall-Group Mathematical Word Problem Activity with Concrete Materials on 5 Years Ol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and Attitudes

구체물을 이용한 소집단 문장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10.15
  • Accepted : 2017.11.3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group arithmetic word problem activities with concrete materials on 5 year ol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 Methods: A total of 34 five-year-old children (control group 16 children, experimental group18 children) attending two kindergartens in P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fteen small-group arithmetic word problem activities with concrete materials were conducted in the classroom of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all the participants individually took a basic arithmetic test,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test, and mathematical attitudes test. Results: First, we observed tha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mathematical ability tests, including the basic arithmetic test and mathematical word problems solving test when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Second, we also found that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the mathematical attitudes test than their counterpart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mall-group arithmetic word problem activities with concrete materials a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attitudes.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정 (2015). 문장제 유형에 따른 유아의 빼기 문제해결 전략 및 오류 유형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37-55.
  2. 곽향림, 허미화, 김선영 (2013). 구성주의 유아교육교수법. 서울: 창지사.
  3. 교육부 (2017).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 교사용 지도서 1-1. 서울: 교육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13).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권영례 (2010). 유아수학교육. 파주: 양서원.
  6. 권혁일 (2008).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초등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9(3), 139-170.
  7. 김경희 (2006). 사회적 구성주의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동일, 고혜정, 신재현, 김이내, 김우리야, 김붕년 등 (2013). 수학문장 제 문제해결력 검사 타당화 연구: 학습장애 위험군 선별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1(1), 129-148.
  9. 김세루 (2010). 협동적 문제해결에 기초한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소연, 김수영 (2015). 유아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및 유아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과 유아의 연령, 언어능력, 연산능력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35(1), 113-134.
  11. 김유정 (2003). 생활 문제 중심의 소집단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수.연산 발달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정은, 홍순옥 (2014). 유치원 수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9(1), 177-211.
  13. 김창복 (1999). 유아의 활동중심 수학학습을 위한 부모참여 프로그램 내용의 구성 및 적응. 열린유아교육연구, 4(2), 241-262.
  14. 박연옥 (2006). 학부모와 초등교사 및 유치원 교사의 취학 전 유아의 문자.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백현경 (2003). 이야기형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수학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연숙 (2002). 유아의 연령에 따른 산수문장제와 해결과정별 수행수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3), 109-129.
  17. 송연숙, 황해익 (2000). 유아의 산수문장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5(1), 19-69.
  18. 윤미진, 김은정 (2013).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활동 수업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2(3), 173-190.
  19. 윤은경 (2007). CGI(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원리를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아람 (2013).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 이해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정욱, 안경숙, 김소향 (2001). 3세와 4세 유아의 비형식적 수 지식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1), 251-267.
  22. 정혜영 (2015). 수학적 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및 교수실제 탐구. 유아교육연구, 35(6), 317-337.
  23. 한종화 (2007). 학부모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가정수학교육 현황. 유아교육논문집, 11(4), 29-54.
  24. 홍혜경 (2013). 유아의 더하기와 빼기 문제에 대한 표상능력과 연산능력. 유아교육연구, 33(4), 5-24.
  25. 홍혜경, 이정욱, 정정희 (2006). 유아 수학능력검사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5(5), 377-400.
  26. 황성아, 권주석 (2006). 수학 문장제지도 프로그램이 수학학습부진아동의 수행전략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10(1), 23-38.
  27. 황순분 (2002). 단계형 수준별 학습을 통한 연산능력 신장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Aubrey, C. (1997). Children's early learning of number in school and out. In I. Tompson (Ed.), Teaching and learning early number (pp. 20-29). Buckingham: Open University.
  29. Canobi, K. H. (2005). Children's profile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understanding.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92(3), 220-246. doi: 10.1016/j.jecp.2005.06.001
  30. Carpenter, T. P., & Moser, J. M. (1984). The acquisition of addition and subtraction concepts in grade one through thre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3), 179-202. doi: 10.2307/748348.
  31. Carpenter, T. P., Corbitt, M. K., Kepner, H. S., Lindquist, M. M., & Rey, R. E. (1980). Solving verbal problem: Results and implication from national Assessment. Aritbmetic Teacher, 28(1), 8-12.
  32. Geary, D. C., Hamson, C. O., & Hoard, M. K. (2000). Numerical and arithmetical cognit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cess and conceptdeficits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77(3), 236-263. doi: 10.1006/jecp.2000.2561.
  33. Johnson, D. W., & Johnson, R. T. (1990). Social skills for successful group work. Educational Leadership, 47(4), 29-33.
  34.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35. Riley, M. S., Greeno, J. G., & Heller, J. I. (1983). Development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ability in arithmetic. In H. Ginsburg (E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pp. 153-196). NY: Academic Press.
  36. Schliemann, A. D., & Carraher, D. W. (2002). The evolution of mathematical reasoning: everyday versus idealized understanding. Developmental Review, 22(2), 242-266. doi: 10.1006/drev.2002.0547.
  37. Turner, E. E., & Celdon-Pattichips, S. (2011).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mong latina/o kindergartners: An analysis of opportunities to learn. Jounal of Latino Ecuation, 10(2), 146-169. doi: 10.1080/15348431.2011.556524.
  38. Ward, C. S. (1993). Developmental versus academic mathematics education: Effects 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f Vanderbilt University, Nashvile, Tennessee.
  39. Welchman-Tischler, R. (1992). How to use children's literature to teach mathematics. Reston, Virgin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Cited by

  1. The Development of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based on CRA Model vol.28, pp.1, 2018, https://doi.org/10.21024/pnuedi.28.1.20180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