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organism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39초

초음파를 이용한 생물 활동 측정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System in Organism Activities Using the Supersonic)

  • 김영일;박동진;윤기한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년도 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164-165
    • /
    • 2005
  • As MSOA(organism activity measurement system) is a system that measure organism's activities using the 455[kHz] supersonic transducer, it's composed to MCM(main control module), LDM(loop design module) and CMM(control and monitoring modu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upersonic measurement in organism activity as comparison with organism's respiration measurement using oxygen meter.

  • PDF

초록갈파래(Umbraulva japonica)에서 분리한 세균의 군집 구조 분석 및 항균 활성 (Bacterial Community Analy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Isolated from Umbraulva japonica)

  • 김지현;박소현;문경미;김동휘;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인 Umbraulva japonica의 표면에서 79개의 세균을 분리하였다. 16s rRNA 유전자 분석 결과, 주요 계통군은 Proteobacteria (74.69%), Actinobacteria (2.53%), Fimicute (2.53%), Bacteroidetes (20.25%)로 4개의 문(Phylum)이 관찰되었고, 7개의 강(Class), 13개의 목(Order), 17개의 과(Family), 31개의 속(Genus)을 확인하였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3개의 균주가 표준균주와 97% 이하의 유사성을 보여 신속 또는 신종으로 보고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향후 표준균주들과 함께 추가적인 신종 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된 79 균주를 이용하여 인체 및 어류 병원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UJT7, UJT20, UJR17의 균체 현탁액이 Vibrio vulnific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UJR17의 균체 현탁액은 V. vulnificus와 Streptococcus parauberis에 항균 활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UJT7은 Bacillus sp., UJT20과 UJR17은 Pseudomonas sp.로 확인되었으며 다양한 활용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한 후 유익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제주 조간대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tease-producing bacteria from the intertidal zone in Jeju Island, Korea)

  • 문영건;수브라마니안 다라니다란;김동휘;박소현;허문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82-388
    • /
    • 2015
  •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생산하는 11개의 세균들은 유기 생물체의 외부 표면 서식하며, inorganic materials는 제주도 조간대로부터 수집되었다. 시료들은 냉동 상태로 실험실로 옮겨졌으며, 멸균 해수와 1% skim milk가 들어가 있는 Zobell plates에서 배양시켰다. 다음 clear zone이 나타난 11개의 균주들은 단백질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으로서 선택되었으며, 각각의 균주들은 16S rDNA을 기반으로 동정하였다. 분석결과, Psedoalteromonas속 해양 세균 JJM125, JJM129, YG47과 YG49, Microbulbifer속 JJM122, Vibrio속 YG51, YG52, YG62, YG63, Firmicutes문과 Bacillaceae강에 속하는 JJM129, YG65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분해가수효소를 생성하는 세균들을 다양한 생명 공학 응용프로그램과 함께 새로운 다양성의 개발 및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Indian medicinal plants for the protection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 Harikrishnan, Ramasamy;Jawahar, Sundaram;Kim, Man-Chul;Kim, Ju-Sang;Jang, Ik-Soo;Balasundaram, Chellam;Heo, Moon-So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7-326
    • /
    • 2009
  • This study has shown the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three Indian medicinal plant choloroform : methanol (50:50) solvent leaf extracts (i.e. Azadirachta indica, Ocimum sanctum, and Curcuma longa)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10, 5, 2.5, 1.25, 0.625, 0.312, and 0.156 mg/ml) under in vitro conditions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Aeromonas hydrophila, Streptococcus iniae, Vibrio harveyi, V. anguillarum, and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olive flounder farms, Jeju Island, South Korea.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 indica and O. sanctum extracts yielded the zones of growth inhibition (ZI) was 3 and 1mm against A. hydrophila at concentration of 0.156 mg/ml when compared to that of tetracycline standard (3 mm). At highest concentration (10 mg/ml) of A. indica, O. sanctum, and C. longa, high inhibition was 9, 7, and 6 mm when compared to that of tetracycline (11 mm) against A. hydrophil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A. indica, O. sanctum, and C. longa at 0.156 mg/ml that yield 9, 10, and 13 CFU/ml for A. hydrophila, 16, 22, and 25 CFU/ml for S. iniae and 18, 22, and 23 CFU/ml for E. tarda compared to the tetracycline. At highest concentration (10 mg/ml) of the three extracts was better inhibiting the growth of A. hydrophila, S. iniae and E. tarda. A. indica, O. sanctum, and C. longa were determined to the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on the basis of their scavenging activity of the stabl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A. indica extract was 0.625 mg/ml which indicated that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O. sanctum and C. longa extracts showed weak anti-oxidant activity at this concentration. Hence, in vitro assay among the pathogens, A. hydropila is better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It is evident that the Indian medicinal plants extracts were subjected to its effectiveness against A. hydrophila, S. iniae, and E.tarda at low concentrations. The obtained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Indian plant extracts is a prevention tools for Korean olive flounder aquaculture pathogens and its need further advance investigation.

Evaluation of ${\mu}$-Calpain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Indigenous Marine Organism Extracts

  • Lee, Yoo-Jin;Lee, Eun-Young;Han, Ah-Reum;Song, Jun-Im;Kwon, Young-Joo;Seo, Eun-Kyo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102-105
    • /
    • 2012
  • Marine organism extracts were prepared from 26 species of Korean indigenous marine organisms, including 25 species belonging in class Anthozoa of phylum Cnidaria and a species belonging to subphylum Urochordata of phylum Chordata, and screened their inhibitory effects against ${\mu}$-calpain. As a result, the thirteen extracts were found to be active in the criteria of $IC_{50}$ < 100 ${\mu}g/ml$. Among them, the MeOH extracts of Plexauroides praelonga and Alveopora japonica showed remarkable ${\mu}$-calpain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4.62{\pm}0.22$ and $4.82{\pm}0.07{\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chemical investigation of A. japonica led to the isolation of an active compound, hexadecyl tetradecanoate, as a selective cathepsin B inhibitor ($IC_{50}=9.05{\pm}2.45{\mu}M$). This compound was isolated as constituent of A. japonica for the first time in the present study.

전이금속 갈륨이 금붕어(Carassius auratus)의 적혈구 및 혈청의 생화학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ition Metal Gallium on the Serum Biochemistry and Erythrocyte Morphology of Goldfish (Carassius auratus))

  • 김동휘;숩라마니안 다라니다란;장영환;박소현;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308-1312
    • /
    • 2016
  • 갈륨은 갈륨비소와 같은 고속 반도체 제작에 사용되는 금속간 화합물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붕어(Carassius auratus)에 갈륨을 적용 시 일어나는 혈청의 생화학 변수, 급성독성 및 적혈구 형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LC_{50}$은 96시간 째 갈륨 농도 9.15 mg/ml로 나타났다. 갈륨을 농도별(2.0, 4.0, 8.0 mg/ml)로 금붕어에 노출시켜 28일 동안 독성실험을 하였다. 독성실험 결과 혈청의 생화학(글루코즈,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반응에서 갈륨 미처리 그룹과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갈륨의 노출에 따른 적혈구의 변형으로 인한 호흡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에 사용된 금붕어와의 동일한 크기에 갈륨을 적용할 때 생물학적으로 안전한 농도는 2.0 mg/ml로 사료된다.

Estimation of dietary intake and human health risk of hexachlorobenzene by marine organism consumption in Korea

  • Moon Hyo-Bang;Lee Su-Jeong;Lee Yoon;Park Jong-So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1-128
    • /
    • 2005
  • Hexachlorobenzene (HCB) was analyzed in various marine organisms of Korea. HCB was detected in all organism samples with residual concentrations from 0.51 to 222 pg/g wet weight. HCB residue was the highest content in crustacean, and followed by bivalves, fish, cephalopods and gastropods. The residues were comparable to or lower than those in marine organisms of other countries. Daily dietary intake of HCB from seafood was estimated to be 13.4 pg/kg body weight/day.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axonomic group to the total dietary intake of HCB were in the order of crustaceans $(40.1\%)$, bivalves $(34.2\%)$, fish $(23.1\%)$, cephalopods $(2.22\%)$, and gastropods $(0.38\%)$. Daily dietary intake of HCB expressed as toxic equivalent (TEQ) value was estimated to be $1.34\times10^{-3}pg$ TEQ/kg body weight/day. This value did not exceed tolerable daily intake (TDI) proposed by the WHO, the UK toxicity committee and the KFDA. Cancer risk and target hazard quotient (THQ) due to the consumption of the marine organism in Korean adult population were evaluated using the exposure equation of food inges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dietary intake of HCB by the consumption of Korean seafood seems to be safe for human health with negligible cancer and non-cancer risks so far.

에어버블 차단막을 이용한 발전플랜트 피해 저감 방안 연구 (The Damage Reduction Strategy for Power Plant Using Air Bubble Barrier)

  • 장형준;이호진;이효상;황명규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5
    • /
    • 2018
  • 발전소는 선진 산업사회에서의 중요한 사회기반시설이다. 이러한 발전소가 해초, 물고기, 해파리, 새우 등과 같은 해양생물의 유입으로 정지 될 경우, 사회-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발전소 취수구 유입구 부분의 해양생물 침투로 인한 발전소 가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버블 차단막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어버블 차단막 기술의 기초연구인 에어버블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형 에어버블 실험장치를 개발 및 에어버블수직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에어버블 수직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형 에어버블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 분사량에 따른 수심별 에어버블의 상승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수심구간별 에어버블 상승속도 경험식을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경험식은 향후 에어버블 차단막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발전시설 운영 부분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 유래 미생물을 이용한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Marine-Derived Biomaterials against Fish Pathogens)

  • 김동휘;박소현;김지현;이해리;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0-256
    • /
    • 2017
  • 제주도 육상 양식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어류 질병세균인 Edward tarda, Streptococcus parauberis, Photobacterium phosphoreum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치료하고자 해양유래 미생물을 이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진은 제주 지역 4개 해역에서 해양유래 미생물을 8종 분리하였다. 분리 된 해양유래 미생물을 이용하여 항생제 디스크에 대한 감수성 확인을 한 결과, Oxytetracycline과 penicillin에서만 약한 내성을 보일 뿐 나머지 항생제 디스크에 대해선 감수성을 보였다. 해양 유래 미생물을 이용하여 어류질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E. tarda에 대해선 MD-02, MD-04, MD-06이 각각 22 mm, 18 mm, 19 mm의 억제환이 나타났다. S. parauberis에 대해선 MD-01, MD-02, MD-04, MD-06이 각각 19 mm, 22 mm, 30 mm, 29 mm의 억제환이 나타났으며, P. Phosphoreum에 대해선 모든 해양 유래 미생물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 중 어류질병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가장 좋으며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이는 B. subtilis MD-02를 최종 선정하였다. B. subtilis MD-02의 배지조성은 탄소원에서는 Dextrine, 질소원에서는 Peptone, 무기염에서는 $MgSO_4{\cdot}7H_2O$에서 생육이 가장 활발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해양에서 분리된 B. subtilis MD-02는 어류질병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동시에 향후 치료제로써의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