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ganese oxide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6초

동시베리아해 비구형 망가니즈단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on-Spherical Manganese Nodule from the East Siberian Sea)

  • 구효진;박무성;서충만;조현구
    • 광물과 암석
    • /
    • 제34권4호
    • /
    • pp.241-253
    • /
    • 2021
  • 유라시아 대륙 주변부 북극해의 천해에서도 태평양이나 인도양의 심해저에서와 같이 많은 망가니즈단괴가 발견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자세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고 있지 않다. 아라온호의 북극해 탐사를 통하여 동시베리아해에서 채취한 망가니즈단괴는 Mn/Fe 비가 매우 높아 Mn 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번 연구에서는 북극 동시베리아해에서 산출되는 망가니즈단괴 중 약 7%를 차지하는 비구형 단괴를 외부형태에 따라 구분하고, 크기와 무게, 내부조직을 관찰하였으며, X선회절분석 그래프의 피크 면적비를 이용한 산화망가니즈광물의 반정량 분석과 지화학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구형 단괴와 비교하였다. 비구형 망가니즈단괴는 외부형태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되며, 타원체형, 판상형과 불규칙형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장경과 무게는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비구형 단괴는 모두 핵을 가지며, 핵 성분은 이질 퇴적물이 주를 이룬다. 산화망 가니즈광물의 평균 함량은 버네사이트, 부서라이트, 토도로카이트 순으로 감소하며, 함량비는 외부형태, 내부조직이나 핵 성분과는 상관관계가 없지만, 단괴의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토도로카이트와 부서라이트는 감소하고, 버네사이트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북극해의 다른 천해는 물론 태평양이나 인도양의 심해저의 단괴에 비하여 Mn 함량이 많고, Mn/Fe 비가 높다. 비구형 단괴는 구형 단괴에 비하여 크기가 크고 무겁고, Mn 함량이 적고 Mn/Fe 비는 낮지만, 광물조성이나 내부조직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동시베리아해에서 채취된 모든 망간단괴는 Mn/Fe 비가 5 이상으로 높으므로 대부분 속성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Electrodeposition of Mn-Ni Oxide/PEDOT and Mn-Ni-Ru Oxide/PEDOT Films on Carbon Paper for Electro-osmotic Pump Electrode

  • Baek, Jaewook;Shin, Woonsup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93-98
    • /
    • 2018
  • $MnO_2$, a metal oxide used as an electrode material in electrochemical capacitors (EDLCs), has been applied in binary oxide and conducting polymer hybrid electrodes to increase their stability and capacitance. We developed a method for electrodepositing Mn-Ni oxide/PANI, Mn-Ni oxide/PEDOT, and Mn-Ni-Ru oxide/PEDOT films on carbon paper in a single step using a mixed bath. Mn-Ni oxide/PEDOT and Mn-Ni-Ru oxide/PEDOT electrodes used in an electro-osmotic pump (EOP) have shown better efficiency compared to Mn-Ni oxide and Mn-Ni oxide/PANI electrodes through testing in water as a pumping solution. EOP using a Mn-Ni-Ru oxide/PEDOT electrode was also tested in a 0.5 mM $Li_2SO_4$ solution as a pumping solution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Li^+$ insertion/de-insertion reaction of Ruthenium oxide on the EOP.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flow rate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current in a 0.5 mM $Li_2SO_4$ solution compared to that obtained when water was used as a pumping solution.

금속산화물을 이용한 이산화황과 산화질소의 동시재거( II ) -금속산화물과 이산화황의 반응- (Simultaneous Removal of SO$_2$ and NO by Using Metal Oxide( II ) -Oxidative Sorption of SO$_2$ by Metal Oxide-)

  • 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33
    • /
    • 1991
  • To remove SO$_2$ from flus gas, cupric oxide, manganese oxide and iron oxide were studied with varying loading valu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flow reactor and the reactants were prepared by impregnation method using alumina.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varied from 30$0^{\circ}C$ to 45$0^{\circ}C$.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se metal oxides were effective on SO$_2$ removal reaction and cupric oxide was the best reactant. The sample with 10wt% loading value was better reactant than with 20wt% because in case of 20wt% loading, metal dispersion on the alumina surface was not uniform. And the SO$_2$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the reaction temperature.

  • PDF

강변여과수 개발지역 우물 개량시 철망간 저감 효과 (Iron and Manganese Removal through Well Development at River Bank Filtration Site)

  • 김규범;김병우;신선호;박준형
    • 지질공학
    • /
    • 제19권3호
    • /
    • pp.389-400
    • /
    • 2009
  •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일부 충적층에서의 철과 망간은 음용수 기준치(각각 0.3 mg/L)를 초과하고 있으며, 강변여과 취수개발 및 이용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서적블록 및 에어서징 기술은 자갈층에 충진된 슬라임을 제거함으로서 관정 주변의 투수성을 높일 뿐 만 아니라 대수층을 산화 환경으로 만들 수 있고, 대수층에서 생성된 철과 망간의 산화물들을 관정내로 빼낼 수 있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서징에 따른 철과 망간의 제거효율을 검토한 결과, $Fe_{(total)}$$Fe^{2+}$이온 농도는 서징 전과 비교하여 $5{\sim}8$배 및 $5{\sim}9$배 정도 줄어들었고, $Mn^{2+}$이온농도는 약 10배의 저감 효과가 나타났으며, 철산화물($Fe_2O_3$)은 약 1.2배, 망간산화물(MnO)은 약 $1{\sim}1.2$배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대수층내 공기 주입을 통한 철과 망간 이온농도의 저감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국내에서도 강변여과수의 철 망간 제거를 위하여 대수층내 직접 처리 기술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강의 대기 중 1050~1200℃의 산화에 미치는 합금원소 Si, Mn, Ni, Cr의 영향 (Effect of Alloying Elements of Si, Mn, Ni, and Cr on Oxidation of Steels between 1050℃ and 1200℃ in Air)

  • 이동복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00-309
    • /
    • 2012
  • Low-carbon steels and a stainless steel were oxidized isothermally and cyclically between $1050^{\circ}C$ and $1200^{\circ}C$ for up to 100 min in air to find the effect of alloying elements of Si, Mn, Ni, and Cr on their oxidation. The most active alloying element of Si was scattered inside the oxide scale, at the scale-alloy interface and as internal oxide precipitates beneath the oxide scale. Manganese, which could not effectively improve the oxidation resistance, was rather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oxide scale. Nickel and chromium tended to present at the lower part of the oxide scale. Excessively thick porous scales formed on the low-carbon steels, whereas thin but non-adherent scales containing $Cr_2O_3$ formed on the stainless ste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