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RNA 발현

검색결과 1,676건 처리시간 0.025초

임신 및 수유기간 동안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노출에 의한 랏트 부고환 clusterin mRNA 발현량 감소 (Decreased of Clusterin mRNA Expression of Epididymis Following Exposure to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during Gestation and Lactation in Sprague-Dawley Rats)

  • 강대웅;권수경;양윤정;천영진;홍연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3권4호
    • /
    • pp.291-299
    • /
    • 2008
  • Bisphenol A diglycidyl ether(BADGE)는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의 축합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로 상업용 액상 에폭시 수지의 주성분이다. 본 연구는 clusterin mRNA 발현이 BADGE의 노출된 생식기계 독성에 연관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BADGE는 SPF Sprague-Dawley 임신 랏트에 임신 6일부터 수유기가지 하루에 한 번 0(대조군)과 375mg/kg/day를 경구 투여하였다. 수컷 새끼는 일반 사항과 몸무게, 일반 발달 지표(예, 항문과 생식기 사이의 거리, 이개개전, 절치붕출, 유두잔류, 안검개열, 고환하강, 포피박리 등)등을 관찰하였다. 대조군과 투여군에서 다섯 마리의 수컷 새끼는 출생 후 3, 6와 9주에 부검하여 부고환의 조직학적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BADGE 375 mg/kg/day 투여군에서 항문과 생식기 사이의 거리는 대조군보다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출생 후 6주와 9주에서 부고환의 상대 무게는 대조군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조직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BADGE 투여 군에서 clusterin mRNA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3주에 56%, 6주에 57% 그리고 9주에 86% 감소하였다. 이런 결과는 랏트의 부고환에서 clusterin은 BADGE에 반응하는 유전자 중 하나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멜라노마 세포에서 당귀추출물의 MITF, TRP-1, TRP-2, tyrosinase mRNA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icacy of Angelica gigas Nakai on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and Tyrosinase mRNA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 이수연;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36-1341
    • /
    • 2013
  • 아시아에서 한방약초로 널리 알려진 당귀 추출물의 미백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mu}g/ml$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당귀 추출물에 대한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500 ${\mu}g/ml$의 농도에서 99%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백 관련 인자인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5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5.7%, 123.9%, 68.8%, 208%로 당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당귀 추출물이 melanin 합성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 발현의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온별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스트레스 반응 및 산소소비 변화 (Change on Stress Responses and Oxygen Consumption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 박형준;김성연;양성진;민병화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19
    • /
    • 2017
  • 급격한 수온의 변화는 어류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각 수온별(9, 12, 15, 18 및 21℃) 조건에 따라 24 및 48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에, 혈액생리학적 분석, 스트레스 단백질로 알려진 Hsp70 mRNA 발현 및 산소 소비량을 조사하였다. 혈액학적 분석에서 hematocrit (Ht) 및 hemoglobin (Hb), 혈장 코티졸 및 글루코스의 변화,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NH3, 삼투질농도(osmolality) 및 총단백질(total protein, TP)은 9℃ 및 12℃에서 다른 수온별 실험구에 비해 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Hsp70 mRNA 발현은 9℃ 및 12℃에서 다른 실험구에 비해 높은 발현량을 확인하였고, 산소소비량은 9℃ 및 12℃에서 21℃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넙치 종자의 장거리 수송을 위한 수온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넓패추출물에 의한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Ishige foliacea in RAW 264.7 Cells)

  • 심중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6
    • /
    • 2024
  • 본 연구는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넓패추출물(Ishige foliacea, I. foliacea)의 피부 항염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세포 생존력 분석, mRNA 발현 및 산화질소(NO)/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생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IL-1α/IL-1β/IL-6/TNFα mRNA 발현 및 NO/PGE2 생성을 분석하여 규명하였고, 정량적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넓패추출물은 iNOS/COX2/IL-1α/IL-1β 및 IL-6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GE2와 NO 생성의 비교를 통해 넓패추출물이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바탕으로 코스메슈티컬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넓패추출물의 항염증 메커니즘에 대한 후속 연구를 바탕으로 코스메슈티컬뿐만 아니라 염증과 관련된 약리학적인 메커니즘 발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재래닭에서 아연 보충급여가 항산화 지표 및 아연 운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Zinc Supplements on the Antioxidant Indicators and the Expression of Zinc Transport Genes in Korean Native Chicks)

  • 전동경;김민정;윤일규;안호성;손시환;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1-171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재래닭에서 Zn 보충제 급여가 체내 항산화 지표 및 아연운반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초사료(100 ppm, 대조군)에 산화아연(ZnO) 또는 Zn-methionine(ZnM)을 각각 50 ppm을 첨가하여 모두 3개군으로 설정하여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혈중 total protein, albumin, blood urea nitrogen과 같은 질소화합물은 처리군들 간 차이가 없었으나, uric acid는 ZnM군에서 ZnO군보다 유의하게(P<0.05) 증가되었다. 혈액의 총 항산화능과 지질과산화도에서는 아연의 급여원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소장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도 및 지질과산화도를 조사한 결과,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 및 지질과산화도는 아연의 보충급여 및 급여원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활성도는 ZnM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P<0.05) 증가되었다. 간 조직에서 SOD와 GPX 활성도 및 지질과산화도는 처리군간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GST는 ZnM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P<0.05) 증가하였다. 소장 흡수세포에서 아연 운반단백질 ZnT-1(8.62배 P=0.09) 및 ZnT-5(7.3배, P=0.06) mRNA 발현은 ZnM군에서 증가되는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간에서 아연운반체 mRNA 발현은 아연급여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ZnM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MT mRNA 발현이 4.12배 증가되는 경향(P=0.10)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초사료에 Zn-methionine 보충급여(50 ppm)는 재래닭의 소장 및 간 조직에서 GST 활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소장에서 아연운반체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여 유기태 아연급여는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 방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흰쥐 간장에 있어서 아실-CoA 합성효소4의 기능연구 (Functional Studies of Acyl-CoA Synthetase 4 in the Rat Liver)

  • 정영희;문승주;강만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4호
    • /
    • pp.376-38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흰쥐 간장에 있어서 아실-CoA 합성효소 4의 세포내 소기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fasting, high fat diet, fat-free high sucrose diet, 퍼옥시솜 증식 인자인 DEHP [Di-(2-ethylhexyl)phthalate]를 급여한 흰쥐 간장에 있어서 ACS4의 발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CS4는 ACSI과 마찬가지로 흰쥐 간장의 마이크로솜, 미토콘드리아와 퍼옥시솜에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미토콘드리아에서 가장 많은 단백질이 검출되었다. ACS4 mRNA는 절식하였을 때와 high fat diet, fat-free high sucrose diet을 급여하였을 때는 대조군에 비하여 2.3배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DEHP을 급여하였을 때는 3.9배 mRNA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간장에 있어서 ACS4는 기본적인 $\beta$-산화뿐만 아니라 호르몬에 의한 조절과 간접적으로는 인슐린에 의한 조절도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Renin-Angiotensin계의 분자생물학적 연구 : Renin유전자의 발현과 Genomic Library작성 (A Study on the Molecular Biology of Renin-Angiotensin System : Renin Gene Expression and Construction of Genomic Library)

  • 박영순;한동민;김종호;문영희;이호섭;고건일;김성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5-44
    • /
    • 1990
  • 생쥐 악하선으로부터 분리한 전 RNA를 poly(U)-sepharose chromatography와 sucrose linear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방법으로 레닌 mRNA를 분리하여 in vitro translation과 immunoprecipitation에 의하여 레닌 mRNA를 확인하였다. 레닌 mRNA로부터 레닌 cDNA를 합성하여 EcoRI inker를 이용하여 pUC19에 삽입시켰고, Taq, polymerase를 이용한 PCR방법으로 합성한 레닌 cDNA는 pUC19의 Hinalll 부의에 삽입하여 재조합 plamid를 각각 작성하였다. 이것을 JM103에 형질전환시켜 레닌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여 45,000의 분자량을 갖는 레닌을 얻었으며 이 레닌 단백은 토끼으 혈압을 850115mmHg에서 115-140mmHg로 증가시키는 생리 활성을 나타냈다. 토끼의 신장 DNA를 EMBL3 phage에 삽입시켜 genomic library를 작성한 후, 레닌 cDNA로부터 합성한 probe로 plaque hybridization시켜 genomic 유전자를 갖는 재조합 phage를 분리하였다.

  • PDF

Plumbagin에 의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성장 및 병원성 인자 발현 억제효과 (Plumbagin Inhibits Expression of Virulence Factors and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 이민호;우현준;박민;문철;엄용빈;김사현;김종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8-226
    • /
    • 2016
  •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인간의 위에 감염하여 위염, 위궤양, 심지어 위암을 포함한 다양한 위장 질환의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헬리코박터균의 제균을 위해 항생제 치료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항생제들에 대한 헬리코박터균의 내성 증가가 전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보고들에 따르면, 천연물질인 plumbagin은 항균 및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리코박터 표준균주(ATCC 49503)에 plumbagin을 처리한 후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세균의 성장 및 병원성과 관련된 다양한 물질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immunoblotting 및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lumbagin의 헬리코박터균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천희석법과 액체배지희석법을 이용해 최소억제농도를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Plumbagin에 의한 헬리코박터균의 억제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헬리코박터균에 plumbagin을 처리한 후 세균 의 증식과 관련된 물질들을 대상으로 RT-PCR을 수행한 결과 RNA polymerase subunit α (rpoA)의 mRNA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헬리코박터균에 plumbagin을 처리한 후 주요 병원성인자들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CagA와 VacA 독소들의 mRNA 및 단백질양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레아제(ureA)와 부착단백(alpA)의 발현도 plumbagin 처리에 의해 감소한 것을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plumbagin은 본 연구에서 밝힌 기전들을 통해 헬리코박터균의 성장, 감염 및 발병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쥐 난자의 성숙과 착상전 배발생에서의 Phospholipase C $\beta1$$\gamma1$의 발현 및 기능 (Expression and Possible Role of Phospholipase C $\beta1$ and $\gamma1$ in Mouse Oocyte Maturation and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 이영현;금동호;심찬섭;서판길;김경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9-20
    • /
    • 1998
  • Phospholipase C (PLC)는 다양한 세포주에서 세포내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생쥐 난자성숙 과정과 착성전 배아발생 과정에서 PLC의 역할과 발현은 아직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난자성숙과 착상전 배아발생 과정에서 생쥐의 PLC \beta 1과 \gamma 1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 개의 난자 혹은 배아에서 추출된 total RNA를 사용하여 경쟁적 RT-PCR 방법으로 mRNA를 정량하였다. PLC \gamma 1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 개의 난자 혹은 배아에서 추출된 total RNA를 사용하여 경쟁적 RT-PCR 방법으로 mRNA를 정량하였다. PLC \gamma 1의 유전자는 전혀 발현하지 않았다. 수정후 PLC \betta 1과 \gamma 1의 유전자 발현은 상실기 배아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포배기 배아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난자성숙과 착상전 배아발생 과정에서 protein kinase C(PKC) 신호전달체게에 의한 PLC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PKC의 억제제인 sphingosin, PKC의 촉진제인 $diC_{8}$, 그리고 PLC의 억제제인 U73122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Spihingosine은 처리후 1시간 이내에 대조군에 비해 20% 정도의 난자성숙을 촉지하였으나 U73122는 유효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U73122는 상실기 배아의 compaction을 억제하였으나 $diC_{8}$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극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PLC \beta 1과 \gamma 1 유전자가 생쥐의 착상전 발생단계에서 특이젖으로 발현하고 있으며, 난자성숙과 착상전 초기배아에서 PKC-PLC 신호전달체계가 관여하고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저빈도 전침이 만성 단발성 관절염 흰쥐의 관절염 치료효과 및 척수에서의 P 물질과 trk A mRNA 발현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on the Chronic Monoarthritis and the Abundance of mRNA Encoding Substance P and Trk A mRNA levels at the Spinal Level in Rats)

  • 박히준;임사비나;이향숙;하영추;왕운;한제생;이혜정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97-110
    • /
    • 2002
  • 목적 : 본 연구는 (a) 저빈도 전침의 만성 단발성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와 (b) 척수에서 동통과 관련되는 지표인 P 물질과 trk A mRNA의 발현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방법 : Complete Freund's adjuvant를 실험동물의 우측 경족근관절에 주입하여 관절염을 유발시키고 9주 동안 관찰하였다. 만성 관절염의 최적의 치료조건을 찾기 위하여 각각 세 종류의 경혈(환도, 용천, 족삼리)과 전침자극강도(0.5, 1, 2 mA)를 사용하여, 행동학적 지표로서 동통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낸 군을 선택하여 RT-PCR 방법을 사용하여 P 물질 및 trk A mRNA의 변화를 척수 후각과 후근신경절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 관절의 굴신을 통한 통증 검사와 족과관절 둘레 길이 측정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원위부에 위치한 환도에 저강도의 자극을 시행한 경우(환도, 0.5 mA)가 가장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RT-PCR을 시행한 결과, 환측 후근신경절의 P물질이 관절염 유발 대조군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증가하였고 환도-0.5mA 군에서 다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trk A는 관절염 유발군의 경우 척수 후각에서 양측성 증가를 나타내었고 이는 전침치료에 의해 다시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 환도 0.5mA의 저빈도 전침은 관절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뿐 아니라 관절염으로 증가된 후근신경절의 P 물질과 척수후각의 trk A mRNA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는 원위취혈로 선혈된 환도혈의 만성관절염에 대한 치료효과를 분명히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