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term care policy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노인장기요양시설 및 재가 요양보호사들의 노동환경과 노동조건 개선방안 (The Strategy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among Long-term Health Care Workers in Korea)

  • 손미아;김태운;예상은;황은아;최민서;윤재원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8-379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strategy to improve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among long-term healthcare workers in Korea. Methods: A total of 600 questionnaires with which long-term health care workers participated in the targeted base areas of each city and province nationwide were distributed directly and 525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506 responses were analyzed. Surveys, on-site field visi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orking environment as well as conditions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mong long-term healthcare workers to understand the demands of working conditions and working conditions. Results: Korean long-term care workers firstly and mostly enumerated their risk factors for ill-health when lifting or moving elderly recipients directly by hand (69.9%), followed by increased physical workload with old beds, tools, and facilities (42.3%) in the workplaces, shortage of manpower (32%), and source of infection (30%).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s well as conditions, Korean long-term care workers considered improving low-wage structures, ergonomic improvements to solve excessive physical loads, and increasing various bonus payments as well as implementing the salary system, positive social awareness, and increasing resting time. Of 506 responses, 92.3% replied that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to expand publicization at the national level.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o improve the low-wage structure of Korean long-term care workers, automation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equipment, and tools to eliminate excessive physical loads (beneficiary elderly lifting), and reduction of night labor.

배우자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Caregiver Burden for Spouse Caregiving in Korea)

  • 이정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9-479
    • /
    • 2010
  • Using data from the 2001 National Long-Term Care Survey database, this study analyzed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caregiver burdens of spouse caregivers in Korea.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stimate factors influencing caregiver burdens of caregiving wives and caregiving husband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bility in predictors of caregiver burdens of spouses who take care of the impaired elderly. ADL functional status of care recipients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for both the caregiving wives model and caregiving husbands model in influencing caregiving burdens. It was noticeable to report that a caregiver's self-rated health status, monthly caregiving expenses, a care recipient's self-rated health status were unique predictors for the caregiving wives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vital for planners and providers to take gender differences in spousal caregiving into account when designing and formulating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service programs.

본인부담상한제 적용 요양병원 환자의 의료이용가수요 예측요인 분석 (An A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of Medical Service Overuse for Inpatients Applied Out-of-Pocket Maximum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South Korea)

  • 임승지;신한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2-81
    • /
    • 2020
  • Background: The out-of-pocket maximum is one of the distinctive healthcare systems which sets a ceiling on co-payment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households from the unpredictable medical expenditure. However,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healthcare services especially in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 of medical service overuse of 165,592 inpatients in LTCHs which out-of-pocket maximum is applied, by utiliz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Based on Anderson Model, the medical service overuse, as a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long-stay admission more than 180 days at the LTCHs. Independent variable was comprised of predisposing factors (gender, age), enabling factors (income level, types of out-of-pocket maximum) and need factors (illness level, patient use of tertiary hospital). Results: The most powerful factor of medical service overuse in LTCHs was availability of pre-payment for the out-of-maximum (odds ratio [OR], 191.66; p<0.001). This tendency was found in high income level status (p<0.001). Furthermore, mild inpatients (OR, 1.50; p<0.001) which had no experience with the tertiary hospitals (OR, 2.06; p<0.001) were more relevant to the medical service overuse in LTCHs, compared to the severe inpatients.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 separate standard of out-of pocket maximum with regards to LTCHs is required to secure the beneficial functions of long-term hospitals and prevent unnecessary financial leakage to achieve sustainable and financially sound National Health Insurance.

복지기술적 관점에서 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시장 제약성 분석: 복지용구를 중심으로 (Long-term Care Service Policy and Welfare Technology in South Korea: How Does Long-term Care Insurance Restrict the Quasi-market for Welfare Technology?)

  • 김수완;최종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287-320
    • /
    • 2018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분야에서 복지기술 준시장(quasi-market)의 성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복지기술 발전에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개발자들에 대한 질적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지는 제도적 특성은 그 자체로 복지기술 시장을 제약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복지용구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통해 중증 장기요양보험대상자에 대한 제한된 유효수요 창출과 낮은 복지기술 수준의 복지용구 시장형성에 도움이 되었으나,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취하고 있는 정책 패러다임은 오히려 복지기술 시장의 확대와 질적 성장을 제약하는 왜곡된 관계의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중증요양대상자 중심의 일방적 돌봄과 의존, 제도 내외 서비스 제공자간의 단절적 보호, 낮은 수가, 지원품목 지정 등의 엄격한 규제, 급여방식 등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특징으로 인해, 복지용구 시장은 급여지원이 되는 범위 내에서 협소하게 형성되어 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노인들의 자립을 유도하는 복지기술보다는 중증 노인들의 수발에 필요한 최소한의 획일적인 복지용구가 주로 개발되고 있었다. 정부지원이 낮은 수준이면서도 엄격한 규제로 인해 질적 경쟁이 발생할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 본 연구는 결론에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복지기술 시장에 대한 발전 전망과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태조사를 통한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 (Study on the Efficient Integra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Geriatric Hospitals by Using NHIC Survey Data)

  • 최인덕;이은미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855-869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이후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운영센터를 이용 장기요양시설 192곳과 요양병원 168곳 시설관계자(시설장, 병원장 및 이용자 등)에게 운영현황과 효율적 연계방안에 대해 면접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χ2검증 등을 SPSS 1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현황에서는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모두 본인부담의 차이가 미미하나 식대에 대한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경영수지적자에 대해서는 양 기관 모두 수가보전에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으며, 교통과 환경요인이 입지조건을 좌우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이용행태면에서는 양 기관 모두 비용할인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면회를 오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요양시설이 사망 시까지 있는 경우가 요양병원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기관의 서비스제공문제점으로는 일률적인 서비스제공, 가족의 지지나 방문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끝으로 양 기관의 효율적 연계방안으로는 수가현실화, 간병비 지급, 복합시설 허용, 판정기준 강화, 주치의, 요양병원의 장기요양보험 관리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노인장기요양인력 확보 방안: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중심으로 (Manpower Acquisition Strategies of Long-term Care: Focused on Nurses and Nurse Aides)

  • 임지영;김주행;임정미;박영숙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4-8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anpower acquisition strategies of nurse and nurse aide in long-term care Method: The study was proceed using following three stages: to explore workforce status and labor environment with database analysis, literature reviews, to explore the best practices, practical experiences with expert interviews, with focus group interview, to identify problems and present acquisition strategies Results: Acquisition strategies were increasing of pay,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development of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 diversification of entry paths, establishing clear roles for nursing staffs, diversification of training program.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acquisition strategies of nurse and nurse aide can be as an useful methods to increase manpower in long-term care for higher quality of services and care.

돌봄정의(Caring Justice) 개념구성과 한국 장기요양정책의 평가 (The Conceptualization of Caring Justice and an Evaluation of Long-Term Care Policy in Korea)

  • 석재은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57-91
    • /
    • 2018
  • 사회적 돌봄의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돌봄에 대한 이해는 분절적이고 돌봄은 여전히 주변화(marginalizing) 되어 있다. 돌봄의 사회화가 실질적으로 '절반(折半)의 사회화'에 머물고 있는 것은 돌봄을 둘러싼 사회 부정의(不正義)의 결과이다. 따라서 돌봄의 문제를 정의(Justice)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돌봄정의(Caring Justice)를 논함에 있어 존 롤스의 사회계약론에 기반한 사회정의 접근이 가지는 한계를 페미니스트 돌봄윤리에 관한 저작들을 통해 정리하고, Nancy Fraser의 3차원 정의기준인 (재)분배(redistribution), 인정(recognition), 대표(representation)를 기준으로 돌봄정의 개념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이 때 돌봄의 관계적 측면에 주목하여, 돌봄정의 개념을 돌봄수혜자의 돌봄 사회권(社會權) 측면뿐만 아니라 돌봄제공자의 노동권(勞動權) 측면을 포함하는 통합적(統合的)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돌봄정의 분석틀에 입각하여 돌봄정책 이념유형(ideal types)을 도출한 다음, 한국 돌봄정책의 중심축인 노인 장기요양정책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책임의 사회화 및 사회적 자원의 정당한 분배 관점에서, 특히 돌봄제공자의 노동권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돌봄윤리와 돌봄의 개별화 관점에서 돌봄수혜자 및 돌봄제공자의 관계적 자율성을 보장하는 서비스 제공체계와 돌봄문화가 필요하다. 셋째, 돌봄책임을 민주적으로 배분하고 정당한 자원배분을 위하여 돌봄문제를 정치적 중심 아젠다로 다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돌봄의 주변화(marginalization of care)로부터 돌봄의 주류화(mainstreaming of care)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돌봄사회(Caring Society)를 지향해야 한다.

영국 성인돌봄서비스 시장에 대한 감독 개혁과 한국 장기요양의 시사점 (The reform of inspection of adult social care market in the UK and policy suggestions for long-term care in South Korea)

  • 전용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03-210
    • /
    • 2018
  • 영국은 사회복지 돌봄에서 시장화를 유럽에서 가장 먼저 추진한 나라로 유명하다. 영국의 시장화 정책은 사회민주주의 국가에게도 영향을 끼칠 정도로 여러 나라가 시장화 정책을 도입해서 추진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해서 시장화 정책을 적극 도입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정부가 최근에 단행한 성인 돌봄 시장의 감독 강화 개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장기요양보험의 정책적인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국은 시장을 적극적으로 관리 감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규모 요양시설의 갑작스러운 파산 이후에 '2014년 돌봄 법'을 제정해서 돌봄품질위원회(Care Quality Commission)가 6단계별로 대규모 서비스 제공기관의 재정 상태와 서비스 질 등 측면에서 파산의 위험성을 사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제공기관이 일정한 수준으로 위험성이 높아지면 그 결과를 지방정부에 통보해서 파산과 같은 상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도록 했다. 영국의 개혁은 장기요양 시장에 문제가 있는 한국에 시장에 대한 감독 강화, 새로운 감독 시스템 구축, 공공 감독 조직의 확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정보 공개 등의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노인요양보장체계의 효율화에 대한 소고 (Reviewing Efficiency Strategy of Long-term Care System)

  • 신의철;임금자;이은환;이윤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5-131
    • /
    • 2011
  • Several common issues are encountered by countries - German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 that adopted long-term care (LTC) system. First, the demand for LTC and its associated costs have steeply risen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LTC policy. Second, ensuring the quality of services have been difficult. Third, the coordination of services among providers and between LTC and medical care has been inadequate. Learning from their experience, we suggest ways to improve the LTC system in Korea. The basic approach aims for efficiency over equity in the system. This would require promoting provider competition and consumer choice. We propose several policy options according to the major stakeholders. For consumers, cash benefits at fixed rates and personal savings accounts are feasible options to self-contain the demand and cost of services. On the insurer's side, creating an environment of multiple insurers will engender competition, leading to cost savings and quality care. For providers, delivery of quality services through competition, cost-containment through capitated reimbursements, and coordination of services through integrated delivery system can be achieved. From the assessors' perspective, establishing an information system to monitor the activities of insurers and providers would be important, empowering consumers with information to choose cost-effective service providers. In summary, the suggested approach would provide cost-effective LTC services by guaranteeing consumer choice and promoting major stakeholder accountabilit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test the feasibility of this model in ensuring quality LTC in Korea.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A Study of Determinants on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 한은정;강임옥;권진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259-276
    • /
    • 2011
  •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노인도 적절한 재가서비스를 받으면서 가능한 오래 가정에 머물 수 있다면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한 후, 재가서비스 이용자가 시설서비스로 전환하여 입소하는 것에 대한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한 종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장기요양급여 이용자와 주수발자를 대상으로 한 '2009년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만족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자는 총 1,230명으로, 이들은 시도별, 장기요양등급별, 의료보장형태별로 비례할당으로 추출된 것이다. 종속변수는 연구대상자가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시설로 입소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이고, 이것은 노인장기요양급여DB를 연계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hazard ratio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른 변수들을 보정한 후에도 이용자가 골절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시설에 입소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저하된 인지기능의 항목수가 많을수록 시설에 입소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들을 감안하여 향후에는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재가서비스 이용체계를 구축하고 보완하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