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ualization of Caring Justice and an Evaluation of Long-Term Care Policy in Korea

돌봄정의(Caring Justice) 개념구성과 한국 장기요양정책의 평가

  • 석재은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19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Despite the rapid growth of social care, understanding of care is segmental and caring is still marginalizing. The socialization of caring is actually a 'half-socialization' that is the result of injustice surrounding car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problem of caring in terms of justice. In this paper, I discuss the limitations of social justice based on John Rawls 's social contract theory in the discussion of caring justice through feminists'writings on caring ethics. And then applying Nancy Fraser' s three scales of Justice-redistribution,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the concept of caring justice has been newly constructed. The concept of caring is defined as a unified concept of caring including the aspect of the social rights of the care recipient as well as the labor rights of the care provider. Based on the analysis of care justice, we derive the ideal types of care policy and then evaluate the long-term care policy for the elderly,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Korean care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abor rights of care providers especially for the socialization of care responsibilities and the proper allocation of social resources. Second, a service delivery system and care culture are needed to ensure the relational autonomy of care-receivers and care-givers for caring ethics and individualization of care. Third, the issue of care should be treated as the central agenda of politics in order to distribute care responsibility democratically and to distribute legitimate resources. This requires a paradigm shift from marginalization of care to mainstreaming of care. Ultimately, we should aim for a Caring Society.

사회적 돌봄의 급격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돌봄에 대한 이해는 분절적이고 돌봄은 여전히 주변화(marginalizing) 되어 있다. 돌봄의 사회화가 실질적으로 '절반(折半)의 사회화'에 머물고 있는 것은 돌봄을 둘러싼 사회 부정의(不正義)의 결과이다. 따라서 돌봄의 문제를 정의(Justice)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돌봄정의(Caring Justice)를 논함에 있어 존 롤스의 사회계약론에 기반한 사회정의 접근이 가지는 한계를 페미니스트 돌봄윤리에 관한 저작들을 통해 정리하고, Nancy Fraser의 3차원 정의기준인 (재)분배(redistribution), 인정(recognition), 대표(representation)를 기준으로 돌봄정의 개념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이 때 돌봄의 관계적 측면에 주목하여, 돌봄정의 개념을 돌봄수혜자의 돌봄 사회권(社會權) 측면뿐만 아니라 돌봄제공자의 노동권(勞動權) 측면을 포함하는 통합적(統合的)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돌봄정의 분석틀에 입각하여 돌봄정책 이념유형(ideal types)을 도출한 다음, 한국 돌봄정책의 중심축인 노인 장기요양정책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책임의 사회화 및 사회적 자원의 정당한 분배 관점에서, 특히 돌봄제공자의 노동권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돌봄윤리와 돌봄의 개별화 관점에서 돌봄수혜자 및 돌봄제공자의 관계적 자율성을 보장하는 서비스 제공체계와 돌봄문화가 필요하다. 셋째, 돌봄책임을 민주적으로 배분하고 정당한 자원배분을 위하여 돌봄문제를 정치적 중심 아젠다로 다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돌봄의 주변화(marginalization of care)로부터 돌봄의 주류화(mainstreaming of care)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 돌봄사회(Caring Society)를 지향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