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r polarization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Overcoming Disturbance Light using Polarization Filter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Face Recognition System

  • Yoon, Andy Kyung-yong;Park, Ki-cheul;Lee, Byeong-cheol;Jang, Jung-hyuk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4호
    • /
    • pp.239-248
    • /
    • 2020
  • The performance of the facial recognition system is determined by many technical factors. Further, most of the technical factors have been realized or are still in continued research. The recognition rate has a great influence on performance not only by technical factors but also by other factors. However, researchers are trying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by focusing only on technical factors. The mechanism of recognizing is to compare a fac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y to an already stored face image and determine the score of the similarity. However, if the photographed image is damaged by external light, even a system with a good algorithm will fail to recognize i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disturbance of light entering from the outside, so it should be blocked, but the camera will not work without light. Thus, it is proposed that a method to secure the external light but block the disturbance of light that affects photography. A method of blocking disturbance light is to use a polarization filter. There are three polarization methods: circular polarization, linear polarization, and elliptical polarization. In this paper,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vercome disturbance of light using only a circularly polarized filter. In addition, a lighting system that reproduces disturbance light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 and light of varying intensities and angles was installed to affect the face recognition camera. As a result of actual application, it was determined that a very improved recognition performance in various disturbance light environments.

28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중 선형편파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Dual Linear Polarization Antenna for 28 GHz Band)

  • 윤중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3-2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28 GHz 대역 특성을 갖는 단일 및 배열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급전구조를 갖도록 하였으며 유전율는 2.2이고 두께가 0.5 mm인 Taconic TLY-5 기판위에 설계되었다. 제안된 단일 안테나의 크기는 3.4 mm×3.4 mm이며 전체 기판의 크기는 15.11 mm×15.11 mm이며 1×2 배열안테나의 경우 각각 3.15 mm×3.15 mm이며 전체 기판의 크기는 21.50 mm×13.97 mm이다. 제작 및 측정결과, 1×2 배열안테나의 경우, 입력포트가 1일 때 수직편파의 경우, 편파분리도는 14.23 dB에서 20.79 dB 사이 값을 얻었으며 수평편파의 경우, 편파분리도는 14.31 dB에서 22.74 dB 사이 값을 얻었다. 입력포트가 2일 때 수직편파의 경우, 편파분리도는 15.75 dB에서 25.88 dB 사이 값을 얻었으며 수평편파의 경우, 편파분리도는 14.70 dB에서 22.82 dB 사이 값을 얻었다.

Probing the millimeter/radio polarization of active galactic nuclei

  • Trippe, Sascha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34.1-34.1
    • /
    • 2012
  • I present an analysis of the linear polarization of six active galactic nuclei (AGN). We monitored our targets from 2007 to 2011 in the observatory-frame frequency range 80-253 GHz with the Plateau de Bure Interferometer (PdBI). We find average degrees of polarization in the range 2-7%; this indicates that the polarization signals are effectively averaged out by the emitter geometries. We see indication for the presence of strong shocks and/or variability of the emitter geometries. We attempt to derive rotation measures for all sources, leading to actual measurements for two targets which find the highest rotation measures reported to date for AGN.

  • PDF

PIN 다이오드를 이용한 편파 변환 마이크로스트립 원형 패치 안테나 (A Circular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Switchable Polarization Using PIN Diodes)

  • 이건준;장태언;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0-6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PIN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편파 변환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원형 패치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안테나의 방사 패치에 두 개의 튜닝 스터브를 일정 거리를 두어 배치하고 PIN 다이오드로 각각의 튜닝 스터브를 방사 패치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단락과 개방으로 스위칭함으로써 편파 변환 특성을 갖도록 하였다. 각각의 PIN 다이오드의 on/off 특성에 따라 안테나의 방사 특성은 두 주파수대의 선형 편파와 원형 편파, 우화전 원형 편파와 좌회전 원형 편파의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PIN 다이오드가 모두 on 또는 모두 off일 때 선형 편파가 발생하게 되고, 둘 중에 하나만 on되면 원형 편파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안테나 측정 결과, 선형 편파일 경우에는 -10 dB 임피던스 대역폭은 각각 57.0 MHz($2.4\%$)와 50.0 MHz($2.1\%$)이며 방사 패턴에 있어서는 -15 dB 이하의 교차 편차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원편파로 동작하는 경우, 좌${\cdot}$우 회전 편파에 대하여 모두 약 $1.3\%$의 축비 대역폭을 가졌으며 축비의 최소값은 0.2와 0.9 dB로 측정되었다.

The Circular Polarization Diversity Effect Considering XPD Factor in an Indoor Radio Propagation Environment

  • Ahn Je-Sung;Ha Deock-Ho;Cho Pyung-Dong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6권1호
    • /
    • pp.24-29
    • /
    • 2006
  • In this paper, we analyzed new two-branch polarization diversity at the receiving end of a mobile link which a transmitter emits circularly polarized wave. To analyz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nsidered by XPD(Cross Polarization Discrimination) between the two received signals, a simple theoretical model of circular polarization diversity is adopted and experimental measurements are also conducted. From both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sed circular polarization diversity scheme i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linear polarization diversity.

다성분 복소트레이스를 이용한 분극필터 (Polarization Filters Using the Multicomponent Complex Trace Analysis)

  • 김기영;이소영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94
    • /
    • 2006
  • 다성분 탄성파 자료의 신호/잡음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다성분 복소트레이스 분석법을 이용한 분극필터를 개발하였다. 이 필터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실체파 신호의 수평/수직 진폭비와 레일리파 타원율을 이용하여 각 시간 샘플의 선형 및 타원형 성분이 정량적으로 계산되며 낮은 신호/잡음비에도 이상적으로 작동하는 특징이 있다. 합성파 뿐만 아니라 실제 자료에 적용시킨 결과, 기존 분극필터보다 타원형 입자운동의 레일리파가 잘 제거되어 선형의 P파 및 S파 신호를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포토폴리머에서 편광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메모리의 다중화 (Polarization multiplexing of holography memory in photopolymer)

  • 정현섭;김남;신창원;김은경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5-276
    • /
    • 2007
  • 체적형 홀로그래픽 메모리는 고용량의 저장밀도와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는 장점을 가지고있다. 더 높은 저장밀도를 얻기 위해 다양한 다중화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일정한 공간에 여러 개의 정보를 한꺼번에 저장할 수 있는 다중화 기법에는 각도에 따른 다중화, 기록 위치에 따른 다중화, 위상 변화에 따른 다중화를 비롯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대부분의 다중화 기법들은 홀로그램을 저장할 때 순차적으로 기록하게 된다. 하지만 포토폴리머에 한번 정보가 저장되면 그 위에 다시 기록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한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빛의 편광성분을 이용해 다중화 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Detection of Tendon Tears by Degree of Linear Polarization Imaging

  • Kim, Ji-Hoon;Oh, Jung-Hwan;Kang, Hyun-Wook;Lee, Ho;Kim, Jee-Hyu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3권4호
    • /
    • pp.472-477
    • /
    • 2009
  • A Stokes polarimetry imaging (SPI) system was developed and utilized to detect tendon tears by constructing the degree of linear polarization (DOLP) image maps after linearly polarized light illumination. The micro and partial-thickness tears of turkey tendons were made and imaged by the SPI system at different incident polarization angles (IPA) with different mechanical loads on the tendon. The micro and partial-thickness tendon tears were detected by the DOLP images due to weak birefringence around the tears. The tendon tears were detected by a highest DOLP contrast at longest visible wavelength (Red, 650 ${\pm}$ 50 nm). All polarized images showed modulated DOLP as the incident polarization angle (IPA) was varied. The varying DOLP allowed the optimal detection of the micro and partial-thickness tendon tears at a certain IPA. The SPI system with variable IPA and spectral information can improve the detection of the tendon tears by higher visibility of fiber orientations, and thereby improv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tendon related injuries.

Design and Fabrication of Dual Linear Polarization Antenna for mmWave Application using FR-4 Substrate

  • Choi, Tea-Il;Yoon, Joong-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71-7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mmWave 대역에서 이중 직선편파 특성을 갖는 1×2 배열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급전구조를 갖도록 하였으며 유전율은 4.3이고 두께가 0.4 mm인 RF-4 유전체 기판위에 설계되었다. 제안된 1×2 배열안테나의 패치안테나 크기는 각각 2.33 mm×2.33 mm이며 전체 기판의 크기는 13.0 mm×6.90 mm이다. 제작 및 측정결과, 급전 위치가 포트 1일 때 1.13 GHz (28.52~29.65 GHz) 그리고 급전위치가 포트 2일 때 1.08 GHz (28.45~29.53 GHz) 임피던스 대역폭을 얻었다. 급전위치가 포트가 1일 때 편파분리도는 수직편파의 경우, 7.68 dBi에서 16.90 dBi 범위의 수평편파의 경우, 7.46 dBi에서 15.97 dBi 범위의 측정값을 얻었다. 급전위치가 포트 2일 때 편파분리도는 수직편파의 경우, 8.59 dBi에서 13.72 dBi 범위의 수평편파의 경우, 03 dBi에서 14.0 dBi 범위의 측정값을 각각 얻었다.

Spur-line과 PM Diode를 이용한 편파변환 특성을 갖는 정사각형 패치 안테나 (Square Patch Antanna with Switchable Polarization Using Spur-line and PIN Diode)

  • 장태언;성영제;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178-118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정사각형 패치 안테나에 핀 다이오드(PIN diode)를 사용하여 편파변환 특성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정사각형 패치면 위에 한 쌍의 스퍼라인(spur-line)과 스퍼라인 위에 핀 다이오드를 삽입한 구조이다. 스퍼라인은 핀 다이오드의 on/off특성에 의해 I형 슬롯라인(slot-line)과 L형 스퍼라인의 형태로 변환되어 편파 변환 특성을 나타내었다. 안테나의 측정 결과 선형편파로 동작할 때에는 -15 dB 이상의 낮은 교차 편파 특성을 나타내었고, 원형편파로 동작할 때에는 0.83 dB의 좋은 축비 특성을 나타내었다. 안테나의 -10 dB대역폭은 on/off상태에 따라 각각 $2.1\%$$4.1\%$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원형편파로 동작하는 안테나의 축비 대역폭은 $3.5\%$의 비교적 넓은 대역폭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안된 안테나는 동일한 대역폭 안에서 편파 변환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단일 안테나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재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