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fe adjustment in Korea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ors of emtional intelligence, humor sense, and ego resilience on adjustment to the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 박성희;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56-26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으로 자료수집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12일까지였고, 최종 408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3.24{\pm}.49$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학년(t=2.687, p<.001), 연령(F=3.187, p=.042), 성적(F=18.551, p<.001), 전공만족(F=61.347, p<.001), 교우관계(F=28.27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감성지능, 유머감각,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은 감성지능(r=.421, p<.001), 유머감각(r=.360, p<.001), 자아탄력성(r=.418, p<.0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t=-5.241, p<.001), 성적(t=3.833), p<.001), 전공만족(t=6.768, p<.001), 교우관계(t=2.923, p=.014), 감성지능(t=2.674, p=.008), 자아탄력성(t=4.345, p<.001)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1.7%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의 확인하고,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대학 1·2학년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Freshman and sophomore year in university students.)

  • 정지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85-39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1·2학년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공만족도, 직전학기 성적, 음주, 흡연,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수인 긍정성,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수 중 물질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9.6%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활 적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53-26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C시 지역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대상은 207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26.2%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관련성에서는 셀프리더십은 학년과 성적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감성지능은 학년과 인터넷사용시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인터넷사용시간에서 차이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에서는 학년에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인 과정인 셀프리더십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수준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tion Level and School Life Adjustment)

  • 이미순;문재우;박재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52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ctio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s. Methods: The response rate is 94.8% (474 cases). The internet addition was measured by K Scale. The various methods of analysis were used, for example,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mean score of internet addiction level is 2.07 in 5 Likert scale. the internet addiction level of the 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p<.05).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of internet addiction groups by K Scale, 11 students (2.3%) are included in high risk group, 27 students (5.7%) are in potential risk group, 436 students (92.0%) are in general group. Third,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very high. The difference of social support by internet addictio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by internet addiction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in general groups are more higher than in high risk group and in potential risk group (p<.01). Fourth, the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by internet addiction groups was very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students in general groups are more higher than in high risk group and in potential risk group (p<.01). Fifth, the internet addict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life adjustment (p<.01). Finally,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net addiction affects negatively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support of teacher among three types of them affects positively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And the social self-efficacy among two types of them affects positively on the school adjustment (p<.01). Conclusion: to adjust desirably the school environment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ptimal and efficient management of internet addiction was needed in the future and the improvement and promo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as also demanded.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Nursing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오은진;박순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94-10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J시, M시 소재의 간호대학생 685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 1일부터 25일까지 25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regression,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성인애착은 7점 만점에 회피애착 4.80점(${\pm}0.91$), 불안애착 4.51점(${\pm}0.76$),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3.51점(${\pm}0.49$),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3.15점(${\pm}0.46$)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은 대학생활적응(r=.437, p<.01), 대인관계능력(r=.585, p<.01)과 양의 관계이었고,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r=.355, p<.01)과 양의 관계에 있었다.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증가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았으며(B=.225, p=.027), 대인관계능력이 증가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고(B=.145, p=.040), 성인애착이 높아짐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이 높게 나타났다(B=.396, p=.021). 또한, 대인관계능력은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매개역할을 하였다(Z=3.560, p<.001). 이에 대한 설명력은 34.2%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을 포함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 생의 의미, 공감능력, 극복력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 The Meaning of Life, Empathy Skills, Resilience)

  • 이종란;박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66-7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생의 의미와 공감능력, 극복력을 확인하고 각 변수 간 상관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에 있는 2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1일에서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생의 의미는 공감능력, 극복력, 대학생활 적응 정도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공감능력은 극복력, 대학생활 적응 정도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극복력은 대학생활 적응 정도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로 나타나 생의 의미, 공감능력, 극복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성별, 학년, 입학 당시 학력, 건강상태, 전공 만족도, 스트레스, 가족 경제력, 생의 의미, 극복력으로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44.8%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생의 의미 향상, 공감능력 증진, 극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정서문제 및 휴대전화의존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선택이론의 관점에서-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Emotional Problems, Smart phone Dependen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from a perspective of choice theory-)

  • 박인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63-268
    • /
    • 2016
  • 본 논문은 Glasser(1998)의 선택이론 관점에서 청소년의 정서문제와 휴대전화의존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의 관계구조를 검증함으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자료 중 2차년도 자료가 활용되었다. 분석대상은 중학생 2,075명으로 남학생 1,015명(48.9%), 여학생 1,060명(51.1%)이었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공동체의식이었고, 선택이론을 근거로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적응과 휴대전화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은 정서문제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향상을 위해 공동체의식 함양, 휴대전화의존과 정서문제를 완화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교사 증원과 비정규직의 개선 등을 논의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who took Blended Learning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신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392-40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1, 2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133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3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차이검증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대인관계와 의사소통능력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간호학과 선택동기 순이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44.3%이었다. 결론적으로,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일수 있도록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인성,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racte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 임미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60-5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인성, 비판적 사고성향, 전문직 자아개념, 대학생활적응정도를 알아보고,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J와 C도에 소재하는 2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66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6년 5월 25일부터 6월 10일까지 실시하였고, SPSS 21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5점 만점에 3.27(${\pm}0.56$), 인성은 6점 만점에 4.34(${\pm}0.59$)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 만점에 3.48(${\pm}0.40$),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2.76(${\pm}0.32$)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전공만족도(F=18.263, 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은 인성(r=.512, p<0.001), 비판적 사고성향(r=.508, p<0.001), 전문직 자아개념(r=.614, p<0.001)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에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성, 비판적 사고성향 및 전문적 자아개념임을 확인하였고, 이들 세 변인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43%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인성함양을 위한 프로그램과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내에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전문직 자아개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aterna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n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 목소리;서보림;정재경;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41-352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aterna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n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and investigated if multi-cultural adolescents' ego-resili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school adjustment. We used panel data from the fifth wave (2015)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Participants were 1,297 multi-cultural adolescents (639 boys, 658 girls) who are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have foreign mothers. SPSS 25.0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stimated with Mplus 5.1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higher level of materna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related to higher level of ego-resiliency and school adjustmen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Second, materna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via ego-resil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would help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increasing the level of ego-resilienc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roving ego-resiliency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help in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education for maternal parenting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