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based education approach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2초

문헌정보교육학의 학문적 생성 담론 (The Discourse for Academic Generation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cience')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23-241
    • /
    • 2008
  • 본고는 문헌정보학과 교육학의 통합 연구를 기반으로 문헌정보교육학의 학문적 생성 담론을 다룬다.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역할이 학교 교육 속에서 정착되기 위한 기초로, 문헌정보교육학의 연구 영역과 과제를 논의하고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 연구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 학교도서관의 연구 영역은 문헌정보학적 측면과 교육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통합한다. 학교도서관의 연구 추세는 국내 학회지의 논문 게재 빈도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통합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문헌정보교육학의 정립 이론은 도서관기반교육론과도서관기반학습, 연결거점론, 통합거점론, Top456접근법, 교육과정기반접근법, 관점접근법,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육학 등을 제시한다. 연구 논점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초, 운영, 전자도서관 구축, 교육 활동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우리나라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현실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문헌정보교육학의 관점에서 제공한다.

초·중등학교 (A Study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9-99
    • /
    • 2002
  • 교육인적자원부는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담은 초ㆍ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승인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들이 실시하는 도서관이용지도,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협동수업 등을 모두 통합하여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한 것이다. 학교 교육은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모든 교육 활동은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편성 내용을 바탕으로 연결거점론, 통합거점론, Top456접근법, 교육과정기반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오픈 에듀케이션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도서관의 접근 방안 (Conceptual Study on Open Education and Library's Approach to Open Education)

  • 한승희;이혜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87-208
    • /
    • 2020
  • 오픈 에듀케이션이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교육 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운동이다. 점차 확산되고 있는 오픈 에듀케이션 환경에서 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오픈 에듀케이션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고찰하고, 오픈 에듀케이션 환경에서 도서관이 어떻게 교육적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그 접근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의 관점에서 도서관이 오픈 에듀케이션의 실행과 확산의 주체가 되고, 이를 위한 역할과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지침이 될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교수 - 학습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e of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for School Libraries)

  • 함명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7-219
    • /
    • 2002
  • 교육은 인간 행동의 계획적인 변화이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학습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그 심리적 기제를 설명하는 법칙이나 이론적 체계는 학습이론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학교교육을 지원하는 기본 시설로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수-학습이론과 어떤 관련이 있고,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은 어떻게 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객관적 통찰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탐구와 학문적 탐구를 위한 기반이 된다. 본고에서는 학습이론의 큰 흐름인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한습이론, 구성주의 학습이론 등을 중심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수-학습 이론적 기반을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초를 도서관기반교육접근법 (LBEA)으로 정립하고 있다.

  • PDF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s in School Library Use Educ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40
    • /
    • 2003
  •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계발이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주된 목적임을 밝히고자 한다. 다음으로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교육적 역할인 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학교도서관의 연합운영체계 구축 2. 정보교육의 문화교육차원에서 재정립 3. 교육과정 기반 협동수업을 통한 이용교육 전개

  • PDF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Re-approach to the Concept of Data Literacy and Its Application to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59-1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터러시라는 개념에 대한 재접근을 시도하는 연구로 개념에 대한 정리와 함께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이유와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데이터 리터러시는 다른 리터러시 개념들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미래사회 인류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데이터기반 문제해결능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정의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데이터 리터러시를 적용할 때 교육 서비스와 연구지원 서비스 측면 모두에 활용을 제안하였으며 각각의 구체적 서비스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기반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규정하고 여타 다른 리터러시와의 차이점을 구분함으로써 데이터 리터러시가 왜 현대 사회에 이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활용 능력인가를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제안으로 마무리했다.

폐암(肺癌)의 한방치료 임상연구 방법론 (Clinical research methodology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lung cancer : Evidence-based approach)

  • 김경석;김세현;어완규;전성하;엄석기;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62
    • /
    • 2010
  • Background : I investigated clinical research methodolog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for treatment of lung cancer with Evidence Based Medicine(EBM) approach. Methods : I conducted the internet search of National Central Librar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for Korean theses and papers, and MEDLINE for the outside articles. Conclusion : In addition to outcomes of clinical trial, abundant clinician's experience and patients' preference are also considered. Pragmatic trials and quasi-experimental trials are better than clinical trials to plan clinical design of TKM for lung cancer and appropriate endpoints includes overall survival, disease-free survival, patient reporting outcome.

LGBTQ의 인권과 도서관서비스 (LGBTQ's Human Rights and Library Service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1-4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LGBTQ의 인권을 기저로 LGBTQ Friendly Library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세계인권선언서(UDHR)와 미국도서관협회(ALA) 및 국제도서관연맹(IFLA)의 활동과 기존의 학술기사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로 우리나라 도서관의 LGBTQ 서비스 정책 수립에 필요한 7가지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LGBTQ의 인권 향상과 도서관의 의무 선언, 2) 도서관인의 교육 강화, 3) 다양한 정보요구의 수집과 장서의 확대, 4) 정보검색 및 접근 도구의 개발, 5) 도서관 환경의 안전성과 시설사용의 평등성의 보장, 6) NGO와의 협력 네트워크의 구축, 마지막으로 7) LGBTQ 어린이 및 청소년의 지원.

광역시 도서관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 of Library focused on Ulsan-shi)

  • 황태주;김다해;임호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74-181
    • /
    • 2012
  • In 2010 there are 759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they have been increased constantly for the recent four to five years. In order to make them as cultural spaces in local communities, Korean government is now plann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up to 900 and to build small to medium-sized multiple purpose libraries rather than large and single purpose ones. Especially in the case of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which are main libraries in those areas, they should be designed to play major functions of cultural experience, exhibition, and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to meet the basic needs of providing books for public reading and of building and developing branch libraries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Above all, in order to make a public library as a center of local culture, a space planning focused on increasing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is required. It is essential to conduct a survey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residential users and reflect their opinions. In this regard, our research process was constructed as follows. First, precedent studies on a certain densely populated area were reviewed.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in Ulsan city to figure out the needs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ctual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better space planning approach for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cities based on the analysis.

  • PDF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의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amework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by Reading)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95-117
    • /
    • 2014
  • 인성교육에 있어서 독서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서 강조하고 있으나 정작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 혹은 프레임워크는 전무한 실정이다.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독서교육의 관점과 인성교육의 관점을 함께 고려한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서교육을 담당하는 사서교사가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서 및 인성과 관련된 핵심 변인으로서 인성 덕목, 인성교육에 적합한 독서자료, 독서전략, 수업 방법으로 구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를 분석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는 분석 내용과 동일하게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인성 덕목, 인성교육에 적합한 독서자료, 인성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인성교육에 적합한 수업방법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