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son planning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초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Planning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양찬호;이지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7-195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계획의 특징과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 등의 교수학습 자료, 수업 계획 일지를 수집하였으며, 수업 계획의 요소별로 예비교사들의 수업 계획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차시 계획에만 초점을 맞추어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수업 목표는 수업 계획에서 부차적인 요소로 간주되었으며, 주로 인지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어 기술되었다. 교수학습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은 수업 계획의 출발점이 되었는데,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중등학교에서의 학습 경험을 반성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이론을 수용하여 수업 계획에 활용하였다. 교수학습 활동으로 실험 활동을 계획한 경우에는 교과서에 수록된 실험 활동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으나, 실험 외의 활동은 자신의 개인적 경험에 의존하여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교수학습 평가를 수업 계획의 요소로 인식하지 못하여 이를 계획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예비과학교사 교육에서 수업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해 예비 초등교사들이 작성한 수업과정안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Plann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Develop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나지연;장병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54-6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planning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develop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lesson plans and lesson planning journals written by the 53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ed an implicit and contextual approach to develop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enhancing scientific communication were mainly conducted in words or in writing. There were many activities express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oughts and present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in the lesson plan.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s did not include the evaluation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In their lesson plans, there are a lot of mutual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eam and whole students, and inter-students within teams together, and students' individual activities from requests of teachers. We foun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difficulties when they planned the science lesson to develop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less likely to refer to specialized material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when planning their classes.

포토샵 레이어 기능을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수업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 Lesson Using Photoshop Layers)

  • 박하나;허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61-373
    • /
    • 2014
  • 동양회화 수업이 소홀히 여겨지는 이유는 교사의 부담과 용구의 준비와 사용의 번거로움 때문이다. 이러한 부담감은 매체의 전환으로 극복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양회화 수업의 단점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며 효과적인 구도 수업을 위한 방안으로 포토샵 프로그램의 레이어를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 수업을 제시하였다. 포토샵을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 수업 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1학년 60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수업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대다수(75%)가 동양회화 구도 수업에 포토샵 수업이 적절하며, 포토샵을 활용한다면 주제에 상관없이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58.3%로 포토샵에 높은 흥미를 나타내었다.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의 장점으로 직접 그리지 않아 부담이 적은 점(33.3%),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점(30%), 준비물이 없는 점(26.6%) 등을 답하여 포토샵 활용이 기존 동양회화수업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초임 교사와 경력 교사의 다학문적 통합과학 수업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Multidisciplinary Integrated Science Lesson by Beginning Teacher and Experienced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 이유미;손연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552-566
    • /
    • 2010
  • This paper is an in-depth case study to analyze integrated elementary science lesson planning and practical teaching by two teachers at an urban elementary schools. One is an experienced teacher and the other is a beginning teacher. For this study, researchers asked teachers to design 5 stages of lesson planning after sharing basic theories about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The first of the 5 lesson planning stages is curriculum analysis and choice of integrated science topic. The second stage is constructing the frame of integrated science lesson contents, and the third is drawing a diagram of the integrated science lesson development. The fourth stage is making a table of lesson plans, and the last stage is writing integrated science lesson plans. Then, the teachers implemented the lessons they created. They taught students one unit of science which is composed of 8 lessons. Difficulties that teachers meet during designing plans and integrated science class were analyzed. 5 staged lesson planning, video transcriptions, teacher interview about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researchers' checklists, reports of inspection classes, teachers' self evaluation, and students interviews were used for this study. One of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both experienced and beginning teachers had many difficulties in deciding on time to teach and contents of science and other subjects, as well a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whole topics of integrated science teaching. The beginning teacher especially had greater issues with developing definite teaching-learning strategy to conduct thoughts and views for integrated science at the whole unit and each lesson. However, the experienced teacher was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by utilizing integrated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to develop students' integrated thinking ability during the instruction of other subject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that both teachers could deeply understand the need and valu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planning and teaching 8 lessons, and that they could have self-confidence with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t may be possible that this study could help the development of pre- and in-service program for improvement of integrated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 PDF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riteria for Self-Assessment of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 김소형;김용석;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2호
    • /
    • pp.171-192
    • /
    • 2016
  • As teachers' competency is evaluated based on their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self-assessm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what 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 in the process of self-assessment. This study used a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To draw the self-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self-reported assessmen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e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distribution across the criteria and check the ratio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r each element. As a result, it was disclose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ed eight elements in self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nded to consid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more than Subject-Matter Knowledge (SMK).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in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rogram.

초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 장명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91-20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in planning a science lesson. The participants were six senior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the midwestern area of Korea. Data regarding their planning strategies were gathered through both thinking-aloud and observation.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ree of the teachers had little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reviewing unit contents or prior learning for planning a science lesson; five student teachers relied heavily on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eachers' guidebooks without considering their appropriateness; all teachers exhibited an intention of composing different activities or teaching approaches from teachers' guidebooks; only two teachers thought about learners' prior knowledge or understanding levels; five and three teachers had poor understanding of discovery learning models and importance of teacher's questioning, respectively; and five teachers paid little attention to assessment.

  • PDF

소수 나눗셈 수업의 계획, 실행, 비평 과정에서 초등교사의 성찰과 실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flection and Practice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the Process of Planning, Executing and Criticizing a Lesson on Division with Decimals)

  • 김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3호
    • /
    • pp.309-327
    • /
    • 2018
  • 이 연구는 소수 나눗셈 수업을 중심으로 초등교사의 수업 성찰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초등교사가 수학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동료교사들과 자신의 수업을 비평하는 과정에서 어떤 고민을 하고 있으며 그 초점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수업을 계획하는 교사,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 동료교사와 자신의 수업을 비평하는 교사로 구분하고, 수학 목표, 과제의 실행, 수학적 표현, 수학적 담론, 질문의 설정, 개념적 이해와 절차적 능숙함, 생산적인 어려움, 학생 사고의 증거 활용 등의 8가지 측면을 따라 각 시기의 초등교사의 성찰과 실천을 분석하였다.

교사가 수업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초등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What Teachers Consider Important in Lesson Desig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Lesson Plan of Elementary Mathematics)

  • 선우진;방정숙;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5-36
    • /
    • 2021
  • 수학 수업을 잘 설계하는 능력은 좋은 수학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토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직교사들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자유기술식으로 응답하게 했고, 현직교사들에게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제공한 후 그 수업지도안의 장점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게 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현직교사들은 자신이 평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예비교사가 작성한 수학 수업지도안을 분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업지도안의 장점을 분석하거나 개선사항에 대한 피드백 의견을 제안할 때 수학 수업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수업 전략 및 자료의 측면을 자세하게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직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주요 결과를 토대로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케이스기반플랜기법에 의한 적응력있는 레슨플렌생성기 (An Adaptive Lesson Plan Generator Based on Case-Based Planning)

  • 이재인
    • 인지과학
    • /
    • 제4권2호
    • /
    • pp.85-114
    • /
    • 1994
  • 지능형 교수 시스템(ITS:lntelligent Tutoring System)의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의 교수법의 제어에 관한 연구이다. 즉 전체 학습목적 또는 학습주제의 선정(curriculmplan),선정된 학습목적에 적합한 레슨플랜(lesson plan),자연스런 대화진행(discourse plan)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본 논문에서는 위의 세가지 플랜 중 레슨플랜에 케이스 기반 플랜기법(casebased planing)을 적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기존의 레슨플랜생성기는 학습목적이 결정될 때마다 그에 적합한 레슨플랜을 생성하였다.이와달리 본 연구에서는 이미 기억된 플랜이 있으면 그 플랜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수정하여 사용하고 기억된 플랜이 없으면 새로 생성할 수 있는 학습목적에 적응력 있는 레슨 플랜생성기를 개발하였다.연구의 대상으로는 미적분학의 부정적분으로 하였고 제시된 문제의 일반형을 유추하기 위하여 기술언어와 커리큘럼트리(curriculum tree)를 고안하였다.본 연구결과는 다른 분야 ITS의 레슨플랜생서기 개발에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적분을 교육하는 실제 학습현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백워드 수업설계에 기초한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 '가족생활 설계' 영역의 체제적 수업개발 (Systematic Development of Instruction for Family Life Planning of High School Curriculum for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Based on Backward Design)

  • 유세종;이연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33-54
    • /
    • 2018
  • This study devised an instruction that applies the content factors of Family Life Planning to backward design by exploring the fundamental concepts of backward design and the structure of developing a systematic instruction. Furthermore, it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developed instruction by examining its validity with the help of experts and to find the method of applying it to the curriculum. The lesson desig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Making a unit outline, 2) Identifying the expected results (Shaping the objectives), 3) Deciding acceptable evidence (Planning evaluation), 4) Making a detailed blueprint for class tasks, 5) Planning learning experience, 6) Making a learning experience plan per time, 7) Checking the lesson design. Second, exper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internal validity test about the process of the systematic lesson development of Family Life Design based on a backward design. The results were shown to be valid because the average was 3.7 out of a perfect score 4 and the CVI of all was over 0.9. The result of the IRA was also score 1, meaning that most of the experts agre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The details of the lesson design were clear at every stage and the tasks and the results of each stage were specific. This study included most of the necessary stages for a backward design.